[단독] 국정위 “방첩사 수사권, 국방부로 넘겨라”…정보수집 기능도 박탈할 듯
입력 2025.07.17 (18:45)
수정 2025.07.17 (1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국군방첩사령부의 수사권과 군 관련 정보 수집 권한을 박탈하는 방안을 국방부에 통보한 거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 국정위 "방첩사 수사권, 국방부 조사본부로 넘겨라"
국정위는 이달 15일 방첩사와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를 불러, 방첩사 수사 기능을 국방부 조사본부(CIC)로 옮기겠다는 방침을 전달했습니다.
국군방첩사령부령(대통령령)에 따라 방첩사는 내란·외환죄, 반란·이적죄, 국가보안법·군사기밀보호법·남북교류협력법 등의 위반 등 10개 혐의에 대한 수사권을 갖고 있습니다.
국정위는 방첩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 측근인 여인형 사령관 지휘하에 12·3 계엄 당시 국회의원 체포와 조사를 준비하는 등의 핵심 역할을 한 만큼, 수사 기능을 완전히 박탈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거로 알려졌습니다.

■ 광범위 정보수집 권한도 박탈할 듯…"사실상 해체"
국정위는 방첩사의 광범위한 정보 수집 권한도 합동참모본부 등으로 이관하기로 결론내렸습니다.
대통령령에 따르면, 방첩사는 △국방부ㆍ방위사업청ㆍ병무청 △각군ㆍ합동참모본부ㆍ합동부대ㆍ관련기관 △방위사업체ㆍ연구기관 △군인과 군무원 및 임용예정자 △방산업체 관계자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안이 확정되면 방첩사의 3대 핵심 기능인 수사, 보안, 방첩 기능 중 상당수가 무력화됩니다.
국정기획위 핵심 관계자는 " 계엄 국면뿐 아니라 기존에 유지돼 왔던 방첩사의 과도한 권력을 사실상 해체해서 재구성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종 개혁 방안은 새로운 국방부 장관이 취임하면 협의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국방부 조사본부, '무소불위' 될 것" 내부 반발
반면, 복수의 군 관계자는 KBS에 "국방부 조사본부가 안보수사권까지 갖게 되면 과거 무소불위의 '보안사령부'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며 "비대해진 조사본부를 견제할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계염 국면에서 여인형 사령관 책임이 컸지만, 그렇다고 방첩사를 사실상 해체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또한 "방첩사는 신원조회 등을 거쳐서 별도로 수사관을 선발하고 양성 과정도 다르다"며 "국방부로 수사 기능이 통합되더라도 방첩사 직원들은 업무 특수성을 고려해 조직에 남을 가능성이 높고, 안보 수사 공백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국군 기무사령부(방첩사 전신)에서 수사권을 박탈하려다가 무산됐는데 이같은 우려를 고려한 거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신임 국방장관 취임 이후 국방부와 협의를 마무리하고, 최종 안을 대통령실에 보고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국정위 “방첩사 수사권, 국방부로 넘겨라”…정보수집 기능도 박탈할 듯
-
- 입력 2025-07-17 18:45:32
- 수정2025-07-17 18:52:58

국정기획위원회가 국군방첩사령부의 수사권과 군 관련 정보 수집 권한을 박탈하는 방안을 국방부에 통보한 거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 국정위 "방첩사 수사권, 국방부 조사본부로 넘겨라"
국정위는 이달 15일 방첩사와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를 불러, 방첩사 수사 기능을 국방부 조사본부(CIC)로 옮기겠다는 방침을 전달했습니다.
국군방첩사령부령(대통령령)에 따라 방첩사는 내란·외환죄, 반란·이적죄, 국가보안법·군사기밀보호법·남북교류협력법 등의 위반 등 10개 혐의에 대한 수사권을 갖고 있습니다.
국정위는 방첩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 측근인 여인형 사령관 지휘하에 12·3 계엄 당시 국회의원 체포와 조사를 준비하는 등의 핵심 역할을 한 만큼, 수사 기능을 완전히 박탈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거로 알려졌습니다.

■ 광범위 정보수집 권한도 박탈할 듯…"사실상 해체"
국정위는 방첩사의 광범위한 정보 수집 권한도 합동참모본부 등으로 이관하기로 결론내렸습니다.
대통령령에 따르면, 방첩사는 △국방부ㆍ방위사업청ㆍ병무청 △각군ㆍ합동참모본부ㆍ합동부대ㆍ관련기관 △방위사업체ㆍ연구기관 △군인과 군무원 및 임용예정자 △방산업체 관계자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안이 확정되면 방첩사의 3대 핵심 기능인 수사, 보안, 방첩 기능 중 상당수가 무력화됩니다.
국정기획위 핵심 관계자는 " 계엄 국면뿐 아니라 기존에 유지돼 왔던 방첩사의 과도한 권력을 사실상 해체해서 재구성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종 개혁 방안은 새로운 국방부 장관이 취임하면 협의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국방부 조사본부, '무소불위' 될 것" 내부 반발
반면, 복수의 군 관계자는 KBS에 "국방부 조사본부가 안보수사권까지 갖게 되면 과거 무소불위의 '보안사령부'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며 "비대해진 조사본부를 견제할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계염 국면에서 여인형 사령관 책임이 컸지만, 그렇다고 방첩사를 사실상 해체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또한 "방첩사는 신원조회 등을 거쳐서 별도로 수사관을 선발하고 양성 과정도 다르다"며 "국방부로 수사 기능이 통합되더라도 방첩사 직원들은 업무 특수성을 고려해 조직에 남을 가능성이 높고, 안보 수사 공백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국군 기무사령부(방첩사 전신)에서 수사권을 박탈하려다가 무산됐는데 이같은 우려를 고려한 거로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신임 국방장관 취임 이후 국방부와 협의를 마무리하고, 최종 안을 대통령실에 보고할 예정입니다.
-
-
원동희 기자 eastshine@kbs.co.kr
원동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재명 정부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