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 제재 우회해 석탄 수출…불법 해상무역 차단할 것”
입력 2025.07.19 (04:28)
수정 2025.07.19 (04: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해상에서 이뤄지는 북한의 대북제재 회피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민관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머리를 맞댔습니다.
현지시간 18일 미 국무부에 따르면 국무부와 '서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해양기구', 코트디부아르 교통부는 16∼17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글로벌 해양 안보 및 제재 집행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했습니다.
25개국의 글로벌 해양 산업계 리더들이 참석한 이 회의에서는 이란과 북한, 그 외 다른 "불량 정권"이 상업적 해상 공급망을 악용해 대량살상무기(WMD) 등의 확산 활동을 도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 집행 강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선박 등록 기관, 각국의 해상 당국, 국제기구, 글로벌 연합체 등은 미국 제재 집행을 개선하고 글로벌 해상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각자 직면한 도전과 교훈, 최선의 관행 등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국무부는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자국에 무기 지원과 파병 등으로 기여한 북한을 감싸고 돌며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이행을 크게 약화시킨 상황에서 대북제재 이행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미국 나름의 국제공조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국무부는 특히 "북한은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석탄과 철광석 수출을 통해 미국과 유엔의 제재를 우회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해상에서의 제재 회피 활동과 불법 해상 무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시간 18일 미 국무부에 따르면 국무부와 '서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해양기구', 코트디부아르 교통부는 16∼17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글로벌 해양 안보 및 제재 집행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했습니다.
25개국의 글로벌 해양 산업계 리더들이 참석한 이 회의에서는 이란과 북한, 그 외 다른 "불량 정권"이 상업적 해상 공급망을 악용해 대량살상무기(WMD) 등의 확산 활동을 도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 집행 강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선박 등록 기관, 각국의 해상 당국, 국제기구, 글로벌 연합체 등은 미국 제재 집행을 개선하고 글로벌 해상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각자 직면한 도전과 교훈, 최선의 관행 등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국무부는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자국에 무기 지원과 파병 등으로 기여한 북한을 감싸고 돌며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이행을 크게 약화시킨 상황에서 대북제재 이행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미국 나름의 국제공조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국무부는 특히 "북한은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석탄과 철광석 수출을 통해 미국과 유엔의 제재를 우회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해상에서의 제재 회피 활동과 불법 해상 무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북, 제재 우회해 석탄 수출…불법 해상무역 차단할 것”
-
- 입력 2025-07-19 04:28:53
- 수정2025-07-19 04:29:16

미국 정부가 해상에서 이뤄지는 북한의 대북제재 회피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민관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머리를 맞댔습니다.
현지시간 18일 미 국무부에 따르면 국무부와 '서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해양기구', 코트디부아르 교통부는 16∼17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글로벌 해양 안보 및 제재 집행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했습니다.
25개국의 글로벌 해양 산업계 리더들이 참석한 이 회의에서는 이란과 북한, 그 외 다른 "불량 정권"이 상업적 해상 공급망을 악용해 대량살상무기(WMD) 등의 확산 활동을 도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 집행 강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선박 등록 기관, 각국의 해상 당국, 국제기구, 글로벌 연합체 등은 미국 제재 집행을 개선하고 글로벌 해상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각자 직면한 도전과 교훈, 최선의 관행 등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국무부는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자국에 무기 지원과 파병 등으로 기여한 북한을 감싸고 돌며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이행을 크게 약화시킨 상황에서 대북제재 이행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미국 나름의 국제공조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국무부는 특히 "북한은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석탄과 철광석 수출을 통해 미국과 유엔의 제재를 우회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해상에서의 제재 회피 활동과 불법 해상 무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시간 18일 미 국무부에 따르면 국무부와 '서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해양기구', 코트디부아르 교통부는 16∼17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글로벌 해양 안보 및 제재 집행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했습니다.
25개국의 글로벌 해양 산업계 리더들이 참석한 이 회의에서는 이란과 북한, 그 외 다른 "불량 정권"이 상업적 해상 공급망을 악용해 대량살상무기(WMD) 등의 확산 활동을 도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재 집행 강화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선박 등록 기관, 각국의 해상 당국, 국제기구, 글로벌 연합체 등은 미국 제재 집행을 개선하고 글로벌 해상안보를 증진하기 위해 각자 직면한 도전과 교훈, 최선의 관행 등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국무부는 밝혔습니다.
이번 회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자국에 무기 지원과 파병 등으로 기여한 북한을 감싸고 돌며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이행을 크게 약화시킨 상황에서 대북제재 이행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미국 나름의 국제공조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국무부는 특히 "북한은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석탄과 철광석 수출을 통해 미국과 유엔의 제재를 우회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해상에서의 제재 회피 활동과 불법 해상 무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