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유네스코 탈퇴 결정…바이든 재가입 2년 만에 또 탈퇴

입력 2025.07.22 (20:48) 수정 2025.07.22 (20: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네스코(UNESCO)의 친 중국 성향, 다양성 정책 등을 문제 삼으며 유네스코 탈퇴를 결정했습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였던 2023년 6월 유네스코에 재가입한 지 2년 만입니다.

애나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현지 시각 22일 "트럼프 대통령은 유네스코에서 미국을 탈퇴시키기로 결정했다"며 "유네스코는 '워크'(진보 진영의 문화 의제)와 분열적인 문화·사회적 의제를 지지하는데, 이는 미국 국민들이 지난 11월 (대선에서) 선택한 상식적인 정책들과 완전히 맞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나 '미국 우선주의' 원칙을 지키면서 모든 국제기구에서 미국의 회원국 참여가 국익에 부합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직후인 지난 2월 미국의 유네스코 회원국 참여에 대해 90일간 검토할 것을 행정부에 지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부 관계자들은 유네스코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과 친중국, 친팔레스타인 성향에 문제 의식을 느꼈다고 뉴욕포스트는 보도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유네스코의 2023년 '인종차별 대응 지침'(anti-racism toolkit)과 지난해 '남성적 사고방식 전환 이니셔티브'(Transforming MEN'talities initiative) 등이 문제 사례로 지적됐습니다.

아울러 유네스코가 유대교 성지를 '팔레스타인 세계유산'으로 지정한 것과, 각종 문서 등에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점령'했다고 표현하는 것, 하마스에 대한 비판 없이 이스라엘을 주로 비판하는 것 등도 문제로 꼽혔습니다.

이뿐 아니라 중국이 유네스코에 두 번째로 많은 자금을 제공하는 국가로서 유네스코 고위직에 중국 인사들이 포진해 유네스코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고려 요소가 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인 1983년에도 정치화와 예산 낭비를 지적하며 유네스코에서 탈퇴한 바 있습니다. 이후 부시 행정부인 2002년 10월 유네스코에 재가입했습니다.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였던 2017년 10월 반이스라엘 성향을 이유로 유네스코를 전격 탈퇴했습니다.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 6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회원국으로 있어야 한다며 유네스코에 다시 가입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유네스코 탈퇴 결정…바이든 재가입 2년 만에 또 탈퇴
    • 입력 2025-07-22 20:48:39
    • 수정2025-07-22 20:52:21
    정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네스코(UNESCO)의 친 중국 성향, 다양성 정책 등을 문제 삼으며 유네스코 탈퇴를 결정했습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였던 2023년 6월 유네스코에 재가입한 지 2년 만입니다.

애나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현지 시각 22일 "트럼프 대통령은 유네스코에서 미국을 탈퇴시키기로 결정했다"며 "유네스코는 '워크'(진보 진영의 문화 의제)와 분열적인 문화·사회적 의제를 지지하는데, 이는 미국 국민들이 지난 11월 (대선에서) 선택한 상식적인 정책들과 완전히 맞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나 '미국 우선주의' 원칙을 지키면서 모든 국제기구에서 미국의 회원국 참여가 국익에 부합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직후인 지난 2월 미국의 유네스코 회원국 참여에 대해 90일간 검토할 것을 행정부에 지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부 관계자들은 유네스코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과 친중국, 친팔레스타인 성향에 문제 의식을 느꼈다고 뉴욕포스트는 보도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유네스코의 2023년 '인종차별 대응 지침'(anti-racism toolkit)과 지난해 '남성적 사고방식 전환 이니셔티브'(Transforming MEN'talities initiative) 등이 문제 사례로 지적됐습니다.

아울러 유네스코가 유대교 성지를 '팔레스타인 세계유산'으로 지정한 것과, 각종 문서 등에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점령'했다고 표현하는 것, 하마스에 대한 비판 없이 이스라엘을 주로 비판하는 것 등도 문제로 꼽혔습니다.

이뿐 아니라 중국이 유네스코에 두 번째로 많은 자금을 제공하는 국가로서 유네스코 고위직에 중국 인사들이 포진해 유네스코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고려 요소가 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인 1983년에도 정치화와 예산 낭비를 지적하며 유네스코에서 탈퇴한 바 있습니다. 이후 부시 행정부인 2002년 10월 유네스코에 재가입했습니다.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였던 2017년 10월 반이스라엘 성향을 이유로 유네스코를 전격 탈퇴했습니다.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 6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회원국으로 있어야 한다며 유네스코에 다시 가입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