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관세 여파 소비 위축”…미국 성장세 둔화 전망
입력 2025.07.23 (04:03)
수정 2025.07.23 (04: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관세 영향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둔화 국면으로 향하고 있다고 미국의 은행 골드만삭스가 경고했습니다.
미국 CNBC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고객에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 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며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습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 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최근 소매 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어 내년 중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에 머물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습니다.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CNBC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고객에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 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며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습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 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최근 소매 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어 내년 중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에 머물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습니다.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골드만삭스 “관세 여파 소비 위축”…미국 성장세 둔화 전망
-
- 입력 2025-07-23 04:03:36
- 수정2025-07-23 04:06:27

미국 경제가 관세 영향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둔화 국면으로 향하고 있다고 미국의 은행 골드만삭스가 경고했습니다.
미국 CNBC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고객에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 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며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습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 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최근 소매 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어 내년 중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에 머물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습니다.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미국 CNBC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고객에 보낸 메모에서 "관세 관련 가격 인상이 실질 소득을 점점 잠식하면서 금융 여건 완화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를 상쇄할 것"이라며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1.1%로 제시했습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일회성 가격 인상이라도 실질 소득을 잠식할 것"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소비 지출 흐름이 이미 불안정해 보이는 시점에 일어나고 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최근 소매 판매 지표가 견조하게 나타난 것과 달리 전반적인 소비는 올해 상반기 중 정체 상태에 머물렀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경기침체 기간 외엔 드문 현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미국의 평균 관세율 전망치를 종전의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어 내년 중 평균 관세율이 추가로 3%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의 준거로 삼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해 3.3%에 머물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습니다.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은 30% 수준으로 평가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비관적인 경기 전망은 최근 미국이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