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필리핀에 19% 상호 관세 무역 합의 타결”…정부, 곧 미국서 2+2 담판

입력 2025.07.23 (10:17) 수정 2025.07.23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필리핀과도 무역협상을 타결했다며 상호 관세를 19%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는 오는 25일 미국에서 2+2 협의를 통해 막판 합의에 나섭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필리핀에 19%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막판 쟁점을 조율한 걸로 보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마르코스 대통령은 너무 강경해요. 하지만 우리는 결국 합의에 이르게 될 겁니다. 그는 정말 강한, 아주 강한 협상가입니다."]

당초 미국은 필리핀에 상호 관세 17%를 부과했다가, 최근 서한을 보내 20%로 상향했는데 결국 다시 1%P를 내린 겁니다.

대신 필리핀은 미국에 무관세로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과 필리핀이 군사적으로 협력할 거라고도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필리핀은 한동안 중국 쪽으로 기울었죠. 그런데 그게 필리핀에 좋지는 않았을 겁니다."]

우리 정부도 막판 총력전에 나섰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에 이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미국에 도착했습니다.

여한구 본부장은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함께 오는 25일 미국 측과 2+2 협의를 갖고 담판에 나섭니다.

특히 이번엔 종전 멤버였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신 통상 실무를 총괄하는 통상교섭본부장이 직접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측의 요청이 반영된 건데 더 세밀한 합의를 도출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구윤철/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어제 : "미국 쪽에서 재무장관 그다음에 USTR 이렇게 요청이 와서 저희도 그렇게 하기로 하고…."]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내일, 조현 외교부 장관도 빠르면 이번 주 미국을 찾아 각각 카운터파트를 설득할 예정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문수빈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필리핀에 19% 상호 관세 무역 합의 타결”…정부, 곧 미국서 2+2 담판
    • 입력 2025-07-23 10:17:52
    • 수정2025-07-23 19:47:06
    아침뉴스타임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필리핀과도 무역협상을 타결했다며 상호 관세를 19%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는 오는 25일 미국에서 2+2 협의를 통해 막판 합의에 나섭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필리핀에 19%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고 밝혔습니다.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막판 쟁점을 조율한 걸로 보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마르코스 대통령은 너무 강경해요. 하지만 우리는 결국 합의에 이르게 될 겁니다. 그는 정말 강한, 아주 강한 협상가입니다."]

당초 미국은 필리핀에 상호 관세 17%를 부과했다가, 최근 서한을 보내 20%로 상향했는데 결국 다시 1%P를 내린 겁니다.

대신 필리핀은 미국에 무관세로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과 필리핀이 군사적으로 협력할 거라고도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필리핀은 한동안 중국 쪽으로 기울었죠. 그런데 그게 필리핀에 좋지는 않았을 겁니다."]

우리 정부도 막판 총력전에 나섰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에 이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미국에 도착했습니다.

여한구 본부장은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함께 오는 25일 미국 측과 2+2 협의를 갖고 담판에 나섭니다.

특히 이번엔 종전 멤버였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신 통상 실무를 총괄하는 통상교섭본부장이 직접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측의 요청이 반영된 건데 더 세밀한 합의를 도출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구윤철/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어제 : "미국 쪽에서 재무장관 그다음에 USTR 이렇게 요청이 와서 저희도 그렇게 하기로 하고…."]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내일, 조현 외교부 장관도 빠르면 이번 주 미국을 찾아 각각 카운터파트를 설득할 예정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자료조사:문수빈 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