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현금깡’…‘카드색’ 논란에 대통령 질타도
입력 2025.07.23 (23:20)
수정 2025.07.23 (23: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1,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일부 지자체에선 이른바 '현금깡' 등 부정 사용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선불카드에 개인정보를 노출시킨 곳도 나오는 등 각종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지역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글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지급된 제주 지역 화폐 '탐나는전'의 거래 글이 보입니다.
금액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2명 몫인 36만 원, 2만 원 내린 가격에 판다고 제시했습니다.
또 다른 중고거래 글.
18만 원짜리 선불카드를 16만 원에 다른 상품권과 교환하자며 거래를 제안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개인 간 거래로 현금화하는 부정행위, 이른바 '현금깡'을 유도하는 겁니다.
[강민주/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팀장 : "(현금깡 금지) 안내문 게시와 그 내용이 올라왔을 경우에 바로 삭제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해 둔 상태입니다."]
광주시가 발급한 소비쿠폰 선불카드도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상위 10%와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가 지급받는 선불카드 색깔이 다르게 제작됐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자/음성변조 : "색깔로 나누고 차등해서 저 사람은 더 없이 살고 저 카드(사용자)는 조금 더 있는 사람이고."]
부산시도 선불카드에 지급액을 명시했는데, 개인의 경제 사정이 드러나도록 했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논란이 이어지자, 이재명 대통령은 "공급자 중심의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자 인권 감수성이 매우 부족한 조치"라고 질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선불카드 금액 표기 부분 등에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하고, 추가 제작 시 카드 외관을 통해 지급 금액이 드러나지 않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박석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1,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일부 지자체에선 이른바 '현금깡' 등 부정 사용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선불카드에 개인정보를 노출시킨 곳도 나오는 등 각종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지역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글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지급된 제주 지역 화폐 '탐나는전'의 거래 글이 보입니다.
금액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2명 몫인 36만 원, 2만 원 내린 가격에 판다고 제시했습니다.
또 다른 중고거래 글.
18만 원짜리 선불카드를 16만 원에 다른 상품권과 교환하자며 거래를 제안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개인 간 거래로 현금화하는 부정행위, 이른바 '현금깡'을 유도하는 겁니다.
[강민주/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팀장 : "(현금깡 금지) 안내문 게시와 그 내용이 올라왔을 경우에 바로 삭제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해 둔 상태입니다."]
광주시가 발급한 소비쿠폰 선불카드도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상위 10%와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가 지급받는 선불카드 색깔이 다르게 제작됐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자/음성변조 : "색깔로 나누고 차등해서 저 사람은 더 없이 살고 저 카드(사용자)는 조금 더 있는 사람이고."]
부산시도 선불카드에 지급액을 명시했는데, 개인의 경제 사정이 드러나도록 했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논란이 이어지자, 이재명 대통령은 "공급자 중심의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자 인권 감수성이 매우 부족한 조치"라고 질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선불카드 금액 표기 부분 등에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하고, 추가 제작 시 카드 외관을 통해 지급 금액이 드러나지 않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박석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쿠폰 ‘현금깡’…‘카드색’ 논란에 대통령 질타도
-
- 입력 2025-07-23 23:20:00
- 수정2025-07-23 23:24:58

[앵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1,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일부 지자체에선 이른바 '현금깡' 등 부정 사용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선불카드에 개인정보를 노출시킨 곳도 나오는 등 각종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지역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글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지급된 제주 지역 화폐 '탐나는전'의 거래 글이 보입니다.
금액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2명 몫인 36만 원, 2만 원 내린 가격에 판다고 제시했습니다.
또 다른 중고거래 글.
18만 원짜리 선불카드를 16만 원에 다른 상품권과 교환하자며 거래를 제안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개인 간 거래로 현금화하는 부정행위, 이른바 '현금깡'을 유도하는 겁니다.
[강민주/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팀장 : "(현금깡 금지) 안내문 게시와 그 내용이 올라왔을 경우에 바로 삭제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해 둔 상태입니다."]
광주시가 발급한 소비쿠폰 선불카드도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상위 10%와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가 지급받는 선불카드 색깔이 다르게 제작됐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자/음성변조 : "색깔로 나누고 차등해서 저 사람은 더 없이 살고 저 카드(사용자)는 조금 더 있는 사람이고."]
부산시도 선불카드에 지급액을 명시했는데, 개인의 경제 사정이 드러나도록 했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논란이 이어지자, 이재명 대통령은 "공급자 중심의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자 인권 감수성이 매우 부족한 조치"라고 질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선불카드 금액 표기 부분 등에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하고, 추가 제작 시 카드 외관을 통해 지급 금액이 드러나지 않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박석수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자가 1,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일부 지자체에선 이른바 '현금깡' 등 부정 사용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선불카드에 개인정보를 노출시킨 곳도 나오는 등 각종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지역 중고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글입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지급된 제주 지역 화폐 '탐나는전'의 거래 글이 보입니다.
금액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2명 몫인 36만 원, 2만 원 내린 가격에 판다고 제시했습니다.
또 다른 중고거래 글.
18만 원짜리 선불카드를 16만 원에 다른 상품권과 교환하자며 거래를 제안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개인 간 거래로 현금화하는 부정행위, 이른바 '현금깡'을 유도하는 겁니다.
[강민주/제주특별자치도 경제정책팀장 : "(현금깡 금지) 안내문 게시와 그 내용이 올라왔을 경우에 바로 삭제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해 둔 상태입니다."]
광주시가 발급한 소비쿠폰 선불카드도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상위 10%와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가 지급받는 선불카드 색깔이 다르게 제작됐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자/음성변조 : "색깔로 나누고 차등해서 저 사람은 더 없이 살고 저 카드(사용자)는 조금 더 있는 사람이고."]
부산시도 선불카드에 지급액을 명시했는데, 개인의 경제 사정이 드러나도록 했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논란이 이어지자, 이재명 대통령은 "공급자 중심의 행정 편의주의적 발상이자 인권 감수성이 매우 부족한 조치"라고 질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선불카드 금액 표기 부분 등에 스티커를 부착하도록 하고, 추가 제작 시 카드 외관을 통해 지급 금액이 드러나지 않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박석수
-
-
임연희 기자 yhlim@kbs.co.kr
임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