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장 개방 안하는 나라에 더 높은 관세”…EU도 15% 관세 합의 접근
입력 2025.07.24 (15:16)
수정 2025.07.24 (15: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을 개방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은 유럽연합과도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각국과 막판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개방을 또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글을 올려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다른 글에서는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항상 관세 수치를 양보할 거라며 시장 개방은 관세의 또 다른 위대한 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과 인도 등 아직 합의하지 않은 국가들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캐롤라인 레빗/미국 백악관 대변인 : "시장을 개방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관세를 부과받고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데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버티던 유럽연합, EU도 합의를 서두르는 모양새입니다.
현지 언론은 미국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가 서한으로 통보한 30%의 절반으로 미국과 일본이 합의한 수준입니다.
한 유럽연합 관계자는 "미일 합의가 판을 흔드는 조건이 됐다"며 "마지못해 이 조건을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펜으로 직접 일본의 대미 투자액을 수정한 듯한 백악관 회의 사진도 공개됐습니다.
대미 투자액 4천억 달러엔 줄이 그어져 있고, 그 위로 5천억 달러라는 새로운 숫자가 들어갔습니다.
최종적으론 5천500억 달러로 늘어났는데, 백악관은 아직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서삼현/그래픽:유건수 최창준/자료조사:문수빈 김나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을 개방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은 유럽연합과도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각국과 막판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개방을 또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글을 올려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다른 글에서는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항상 관세 수치를 양보할 거라며 시장 개방은 관세의 또 다른 위대한 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과 인도 등 아직 합의하지 않은 국가들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캐롤라인 레빗/미국 백악관 대변인 : "시장을 개방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관세를 부과받고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데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버티던 유럽연합, EU도 합의를 서두르는 모양새입니다.
현지 언론은 미국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가 서한으로 통보한 30%의 절반으로 미국과 일본이 합의한 수준입니다.
한 유럽연합 관계자는 "미일 합의가 판을 흔드는 조건이 됐다"며 "마지못해 이 조건을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펜으로 직접 일본의 대미 투자액을 수정한 듯한 백악관 회의 사진도 공개됐습니다.
대미 투자액 4천억 달러엔 줄이 그어져 있고, 그 위로 5천억 달러라는 새로운 숫자가 들어갔습니다.
최종적으론 5천500억 달러로 늘어났는데, 백악관은 아직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서삼현/그래픽:유건수 최창준/자료조사:문수빈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시장 개방 안하는 나라에 더 높은 관세”…EU도 15% 관세 합의 접근
-
- 입력 2025-07-24 15:16:49
- 수정2025-07-24 15:24:24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을 개방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은 유럽연합과도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각국과 막판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개방을 또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글을 올려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다른 글에서는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항상 관세 수치를 양보할 거라며 시장 개방은 관세의 또 다른 위대한 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과 인도 등 아직 합의하지 않은 국가들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캐롤라인 레빗/미국 백악관 대변인 : "시장을 개방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관세를 부과받고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데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버티던 유럽연합, EU도 합의를 서두르는 모양새입니다.
현지 언론은 미국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가 서한으로 통보한 30%의 절반으로 미국과 일본이 합의한 수준입니다.
한 유럽연합 관계자는 "미일 합의가 판을 흔드는 조건이 됐다"며 "마지못해 이 조건을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펜으로 직접 일본의 대미 투자액을 수정한 듯한 백악관 회의 사진도 공개됐습니다.
대미 투자액 4천억 달러엔 줄이 그어져 있고, 그 위로 5천억 달러라는 새로운 숫자가 들어갔습니다.
최종적으론 5천500억 달러로 늘어났는데, 백악관은 아직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서삼현/그래픽:유건수 최창준/자료조사:문수빈 김나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장을 개방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은 유럽연합과도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각국과 막판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개방을 또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글을 올려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다른 글에서는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항상 관세 수치를 양보할 거라며 시장 개방은 관세의 또 다른 위대한 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과 인도 등 아직 합의하지 않은 국가들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캐롤라인 레빗/미국 백악관 대변인 : "시장을 개방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관세를 부과받고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데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입니다."]
버티던 유럽연합, EU도 합의를 서두르는 모양새입니다.
현지 언론은 미국이 EU산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가 서한으로 통보한 30%의 절반으로 미국과 일본이 합의한 수준입니다.
한 유럽연합 관계자는 "미일 합의가 판을 흔드는 조건이 됐다"며 "마지못해 이 조건을 수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펜으로 직접 일본의 대미 투자액을 수정한 듯한 백악관 회의 사진도 공개됐습니다.
대미 투자액 4천억 달러엔 줄이 그어져 있고, 그 위로 5천억 달러라는 새로운 숫자가 들어갔습니다.
최종적으론 5천500억 달러로 늘어났는데, 백악관은 아직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서삼현/그래픽:유건수 최창준/자료조사:문수빈 김나영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