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통상협의 취소’ 속 조현 외교장관 다음 주 방미할 듯
입력 2025.07.24 (16:31)
수정 2025.07.24 (16: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만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미 외교당국은 조현 장관의 방미 계획을 조율 중으로, 다음주 워싱턴에서 한미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세협상이 한미 간 최대 현안인 데다 국방비 인상 등 안보 관련 협의도 이와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만큼,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 시한인 8월 1일 이전에 외교장관회담이 열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장관 회담에선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현지시간으로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의 ‘2+2 통상 협의’는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돌연 취소됐습니다.
오늘 미국 출장에서 돌아오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카운터파트인 루비오 장관과 만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겸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면회담이 빠르게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 전화 통화는 건너 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미측과 전화 통화 없이 방미부터 한 경우는 전례를 찾기 어려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와 관련해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조속한 교류를 위해 미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미 외교당국은 조현 장관의 방미 계획을 조율 중으로, 다음주 워싱턴에서 한미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세협상이 한미 간 최대 현안인 데다 국방비 인상 등 안보 관련 협의도 이와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만큼,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 시한인 8월 1일 이전에 외교장관회담이 열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장관 회담에선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현지시간으로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의 ‘2+2 통상 협의’는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돌연 취소됐습니다.
오늘 미국 출장에서 돌아오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카운터파트인 루비오 장관과 만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겸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면회담이 빠르게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 전화 통화는 건너 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미측과 전화 통화 없이 방미부터 한 경우는 전례를 찾기 어려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와 관련해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조속한 교류를 위해 미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2 통상협의 취소’ 속 조현 외교장관 다음 주 방미할 듯
-
- 입력 2025-07-24 16:31:27
- 수정2025-07-24 16:41:41

조현 외교부 장관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만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미 외교당국은 조현 장관의 방미 계획을 조율 중으로, 다음주 워싱턴에서 한미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세협상이 한미 간 최대 현안인 데다 국방비 인상 등 안보 관련 협의도 이와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만큼,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 시한인 8월 1일 이전에 외교장관회담이 열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장관 회담에선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현지시간으로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의 ‘2+2 통상 협의’는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돌연 취소됐습니다.
오늘 미국 출장에서 돌아오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카운터파트인 루비오 장관과 만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겸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면회담이 빠르게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 전화 통화는 건너 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미측과 전화 통화 없이 방미부터 한 경우는 전례를 찾기 어려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와 관련해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조속한 교류를 위해 미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미 외교당국은 조현 장관의 방미 계획을 조율 중으로, 다음주 워싱턴에서 한미외교장관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세협상이 한미 간 최대 현안인 데다 국방비 인상 등 안보 관련 협의도 이와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만큼,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 시한인 8월 1일 이전에 외교장관회담이 열리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장관 회담에선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서 현지시간으로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될 예정이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의 ‘2+2 통상 협의’는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돌연 취소됐습니다.
오늘 미국 출장에서 돌아오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카운터파트인 루비오 장관과 만나지 못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겸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면회담이 빠르게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조 장관은 루비오 장관과 전화 통화는 건너 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미측과 전화 통화 없이 방미부터 한 경우는 전례를 찾기 어려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와 관련해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2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고위급 교류와 관련해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조속한 교류를 위해 미측과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