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미국 측 거절로 루비오 면담 불발 오보’…다양한 인사들과 협의”

입력 2025.07.24 (17:31) 수정 2025.07.24 (17: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흘 간 일정으로 미국을 찾았던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미국 측 거절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의 면담이 불발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오보라며 반박했습니다.

위 실장은 오늘(24일) 서면 브리핑을 내고 “‘미국 측이 거절하여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면담이 불발되었다’는 일부 보도는 당사자인 위 실장과 루비오 보좌관의 명예뿐 아니라, 민감한 협상 국면에서 한미 간 신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오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관세 부과 시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한미 간 안보와 경제를 아우르는 총론적 협의를 통해 이후 진행될 경제 분야 각론 협의를 지원하기 위한 차원에서 방미했다”며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뿐 아니라,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 겸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러트닉 상무장관,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 등 다양한 인사들과 협의를 가졌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루비오 보좌관과 지난 21일 오후 협의를 위해 백악관 웨스트윙에 약속된 시간에 방문했다”며 “이 자리에는 미국 NSC 내 고위 인사인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과 니담 국무장관 비서실장도 동석하고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위 실장은 “다만, 면담 직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루비오 보좌관을 긴급 호출했다”며 “이에 따라 우선 루비오 보좌관을 기다리면서 동석자들과 한미 간 현안에 대한 충분한 의견 교환과 입장 전달했고 루비오 보좌관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회의가 길어져 참석할 수 없게 되자 추가 협의를 진행하기로 하고 구체 시간과 방식을 실무적으로 조율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루비오 보좌관 측으로부터 지난 22일 미-필리핀 정상 행사 등으로 대면 협의가 어려우니 유선 협의를 진행했으면 한다고 연락을 받았다”며 “정상을 수시로 보좌하는 국가안보보좌관으로서의 직무 특성을 감안, 루비오 보좌관의 입장을 존중키로 하고 추가 협의를 유선으로 실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위 실장은 “유선 협의는 충분히 진행되었으며, 루비오 보좌관은 면담을 고대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호출로 참석하지 못했다고 세 차례나 사과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루비오 보좌관이) 어제와 오늘 협의한 내용을 트럼프 대통령 및 관계 장관과도 충실히 공유하겠다고 하면서 적극적으로 협의에 임했다”며 “앞으로도 어떤 방식으로든 긴밀히 소통을 이어 나가자고 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성락 “‘미국 측 거절로 루비오 면담 불발 오보’…다양한 인사들과 협의”
    • 입력 2025-07-24 17:31:46
    • 수정2025-07-24 17:39:22
    정치
나흘 간 일정으로 미국을 찾았던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미국 측 거절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의 면담이 불발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오보라며 반박했습니다.

위 실장은 오늘(24일) 서면 브리핑을 내고 “‘미국 측이 거절하여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면담이 불발되었다’는 일부 보도는 당사자인 위 실장과 루비오 보좌관의 명예뿐 아니라, 민감한 협상 국면에서 한미 간 신뢰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오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관세 부과 시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한미 간 안보와 경제를 아우르는 총론적 협의를 통해 이후 진행될 경제 분야 각론 협의를 지원하기 위한 차원에서 방미했다”며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뿐 아니라,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 겸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러트닉 상무장관,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 등 다양한 인사들과 협의를 가졌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루비오 보좌관과 지난 21일 오후 협의를 위해 백악관 웨스트윙에 약속된 시간에 방문했다”며 “이 자리에는 미국 NSC 내 고위 인사인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과 니담 국무장관 비서실장도 동석하고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위 실장은 “다만, 면담 직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루비오 보좌관을 긴급 호출했다”며 “이에 따라 우선 루비오 보좌관을 기다리면서 동석자들과 한미 간 현안에 대한 충분한 의견 교환과 입장 전달했고 루비오 보좌관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회의가 길어져 참석할 수 없게 되자 추가 협의를 진행하기로 하고 구체 시간과 방식을 실무적으로 조율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루비오 보좌관 측으로부터 지난 22일 미-필리핀 정상 행사 등으로 대면 협의가 어려우니 유선 협의를 진행했으면 한다고 연락을 받았다”며 “정상을 수시로 보좌하는 국가안보보좌관으로서의 직무 특성을 감안, 루비오 보좌관의 입장을 존중키로 하고 추가 협의를 유선으로 실시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위 실장은 “유선 협의는 충분히 진행되었으며, 루비오 보좌관은 면담을 고대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호출로 참석하지 못했다고 세 차례나 사과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루비오 보좌관이) 어제와 오늘 협의한 내용을 트럼프 대통령 및 관계 장관과도 충실히 공유하겠다고 하면서 적극적으로 협의에 임했다”며 “앞으로도 어떤 방식으로든 긴밀히 소통을 이어 나가자고 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