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해 대한민국♥” 이주민 소비쿠폰 인증에 우르르…혐오 심각
입력 2025.07.24 (18:08)
수정 2025.07.24 (18: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캄보디아 출신의 이주민 여성이 소비쿠폰을 받았다면서, 자신의 SNS에 인증샷과 함께 "대한민국에 감사한다"는 글을 올렸는데요.
일부 사람들이 이 여성의 SNS에 잇따라 악성 댓글을 달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캄보디아어로 자신을 소개한 사람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았다며 SNS에 인증한 사진입니다.
쿠폰 3장을 쥔 사진과 함께 "감사해 대한민국"이라고 적었고, 태극기와 하트 이모티콘도 표시했습니다.
충남 청양군에서 지급된 건데, 금액으로 볼 때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사는 주민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이 글에는 입에 담기 힘든 혐오 댓글이 잇따라 달렸습니다.
국내에 귀화한 한국 국적자거나, 건강보험료를 내는 영주권자, 결혼 이민자, 난민 인정자 등은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 해당합니다.
[청양군청 소비쿠폰 지급 관계자 : "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결혼 이민자인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조영관/변호사/'이주민센터 친구' 부대표 : "소비쿠폰은 결국 위축된 소비를 진작해서 지역경제를 살리고, 더 많은 경제 선순환을 만들어가기 위한 목적으로 이 사람들은 일상적인 소비를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이거든요. 정책 목적에 부합한 것이어서 혐오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주민들에 대한 혐오를 앞세워 정책을 반대하는 건 한국 사회의 '위험 신호'라며 정부의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논란이 되자, 해당 여성의 SNS에는 소비쿠폰을 받는 게 당연하다, 혐오 댓글이 부끄럽다는 등의 응원 댓글이 잇따라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 대구 경북에서 최악의 산불 피해가 났을 때, 캄보디아의 한 이주민단체는 자신들의 전통명절에 쓰려고 모았던 돈을 기부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영상편집:이성규 여동용
캄보디아 출신의 이주민 여성이 소비쿠폰을 받았다면서, 자신의 SNS에 인증샷과 함께 "대한민국에 감사한다"는 글을 올렸는데요.
일부 사람들이 이 여성의 SNS에 잇따라 악성 댓글을 달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캄보디아어로 자신을 소개한 사람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았다며 SNS에 인증한 사진입니다.
쿠폰 3장을 쥔 사진과 함께 "감사해 대한민국"이라고 적었고, 태극기와 하트 이모티콘도 표시했습니다.
충남 청양군에서 지급된 건데, 금액으로 볼 때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사는 주민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이 글에는 입에 담기 힘든 혐오 댓글이 잇따라 달렸습니다.
국내에 귀화한 한국 국적자거나, 건강보험료를 내는 영주권자, 결혼 이민자, 난민 인정자 등은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 해당합니다.
[청양군청 소비쿠폰 지급 관계자 : "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결혼 이민자인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조영관/변호사/'이주민센터 친구' 부대표 : "소비쿠폰은 결국 위축된 소비를 진작해서 지역경제를 살리고, 더 많은 경제 선순환을 만들어가기 위한 목적으로 이 사람들은 일상적인 소비를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이거든요. 정책 목적에 부합한 것이어서 혐오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주민들에 대한 혐오를 앞세워 정책을 반대하는 건 한국 사회의 '위험 신호'라며 정부의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논란이 되자, 해당 여성의 SNS에는 소비쿠폰을 받는 게 당연하다, 혐오 댓글이 부끄럽다는 등의 응원 댓글이 잇따라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 대구 경북에서 최악의 산불 피해가 났을 때, 캄보디아의 한 이주민단체는 자신들의 전통명절에 쓰려고 모았던 돈을 기부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영상편집:이성규 여동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감사해 대한민국♥” 이주민 소비쿠폰 인증에 우르르…혐오 심각
-
- 입력 2025-07-24 18:08:51
- 수정2025-07-24 18:13:26

[앵커]
캄보디아 출신의 이주민 여성이 소비쿠폰을 받았다면서, 자신의 SNS에 인증샷과 함께 "대한민국에 감사한다"는 글을 올렸는데요.
일부 사람들이 이 여성의 SNS에 잇따라 악성 댓글을 달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캄보디아어로 자신을 소개한 사람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았다며 SNS에 인증한 사진입니다.
쿠폰 3장을 쥔 사진과 함께 "감사해 대한민국"이라고 적었고, 태극기와 하트 이모티콘도 표시했습니다.
충남 청양군에서 지급된 건데, 금액으로 볼 때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사는 주민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이 글에는 입에 담기 힘든 혐오 댓글이 잇따라 달렸습니다.
국내에 귀화한 한국 국적자거나, 건강보험료를 내는 영주권자, 결혼 이민자, 난민 인정자 등은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 해당합니다.
[청양군청 소비쿠폰 지급 관계자 : "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결혼 이민자인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조영관/변호사/'이주민센터 친구' 부대표 : "소비쿠폰은 결국 위축된 소비를 진작해서 지역경제를 살리고, 더 많은 경제 선순환을 만들어가기 위한 목적으로 이 사람들은 일상적인 소비를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이거든요. 정책 목적에 부합한 것이어서 혐오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주민들에 대한 혐오를 앞세워 정책을 반대하는 건 한국 사회의 '위험 신호'라며 정부의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논란이 되자, 해당 여성의 SNS에는 소비쿠폰을 받는 게 당연하다, 혐오 댓글이 부끄럽다는 등의 응원 댓글이 잇따라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 대구 경북에서 최악의 산불 피해가 났을 때, 캄보디아의 한 이주민단체는 자신들의 전통명절에 쓰려고 모았던 돈을 기부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영상편집:이성규 여동용
캄보디아 출신의 이주민 여성이 소비쿠폰을 받았다면서, 자신의 SNS에 인증샷과 함께 "대한민국에 감사한다"는 글을 올렸는데요.
일부 사람들이 이 여성의 SNS에 잇따라 악성 댓글을 달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캄보디아어로 자신을 소개한 사람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았다며 SNS에 인증한 사진입니다.
쿠폰 3장을 쥔 사진과 함께 "감사해 대한민국"이라고 적었고, 태극기와 하트 이모티콘도 표시했습니다.
충남 청양군에서 지급된 건데, 금액으로 볼 때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사는 주민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이 글에는 입에 담기 힘든 혐오 댓글이 잇따라 달렸습니다.
국내에 귀화한 한국 국적자거나, 건강보험료를 내는 영주권자, 결혼 이민자, 난민 인정자 등은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 해당합니다.
[청양군청 소비쿠폰 지급 관계자 : "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결혼 이민자인 경우에는 지급 대상에 포함이 돼요."]
[조영관/변호사/'이주민센터 친구' 부대표 : "소비쿠폰은 결국 위축된 소비를 진작해서 지역경제를 살리고, 더 많은 경제 선순환을 만들어가기 위한 목적으로 이 사람들은 일상적인 소비를 계속하고 있는 사람들이거든요. 정책 목적에 부합한 것이어서 혐오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주민들에 대한 혐오를 앞세워 정책을 반대하는 건 한국 사회의 '위험 신호'라며 정부의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논란이 되자, 해당 여성의 SNS에는 소비쿠폰을 받는 게 당연하다, 혐오 댓글이 부끄럽다는 등의 응원 댓글이 잇따라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 대구 경북에서 최악의 산불 피해가 났을 때, 캄보디아의 한 이주민단체는 자신들의 전통명절에 쓰려고 모았던 돈을 기부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영상편집:이성규 여동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