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추락사 포스코 광양제철소 압색…중대재해법 적용되나?

입력 2025.07.24 (19:33) 수정 2025.07.24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포스코 광양제철소 추락사고와 관련해 고용노동부와 경찰이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위험을 지적해 왔지만 포스코가 외면해 왔다는 게 노동계 주장인데, 포스코에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될지 주목됩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벌겋게 녹이 슨 제철소 노후 배관이 아래로 무너졌습니다.

철거 작업을 하던 노동자 2명이 10여 미터 아래로 추락해 1명이 숨지고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지상에 있던 노동자 한 명도 구조물에 부딪혀 부상을 입었습니다.

고용노동부와 경찰은 사고 발생 열흘 만에 광양제철소 현장사무실과 철거공사 업체 등을 압수수색 했습니다.

투입된 인원은 30여 명.

이들은 구조물이 왜 무너졌는지, 위험에 대비한 철거계획을 세웠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입니다.

특히 포스코가 도급인, 즉 '원청'인지를 파악해 산업안전보건법이나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할 수 있을지 따져볼 예정입니다.

노동계는 예고된 인재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사고 시설물은 1996년부터 사용하지 않고 방치돼 붕괴 위험성이 컸는데도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지난 8년 사이 포스코 사업장에서 중대재해 사망자가 17명에 이른다며 특별감독을 요구했습니다.

[조상민/전국플랜트건설노조 조합원 : "위험 작업 허가 절차가 정상적으로 이행되었다면, 만약 사전점검과 위험 요소 제거가 제대로 되었더라면 우리의 동료는 결코 죽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7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안전조치 등 미비점이 없었는지 신속히 확인하고, 잘못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동자 추락사 포스코 광양제철소 압색…중대재해법 적용되나?
    • 입력 2025-07-24 19:33:08
    • 수정2025-07-24 19:42:51
    뉴스 7
[앵커]

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포스코 광양제철소 추락사고와 관련해 고용노동부와 경찰이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위험을 지적해 왔지만 포스코가 외면해 왔다는 게 노동계 주장인데, 포스코에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될지 주목됩니다.

유승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벌겋게 녹이 슨 제철소 노후 배관이 아래로 무너졌습니다.

철거 작업을 하던 노동자 2명이 10여 미터 아래로 추락해 1명이 숨지고 1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지상에 있던 노동자 한 명도 구조물에 부딪혀 부상을 입었습니다.

고용노동부와 경찰은 사고 발생 열흘 만에 광양제철소 현장사무실과 철거공사 업체 등을 압수수색 했습니다.

투입된 인원은 30여 명.

이들은 구조물이 왜 무너졌는지, 위험에 대비한 철거계획을 세웠는지 등을 확인할 계획입니다.

특히 포스코가 도급인, 즉 '원청'인지를 파악해 산업안전보건법이나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할 수 있을지 따져볼 예정입니다.

노동계는 예고된 인재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사고 시설물은 1996년부터 사용하지 않고 방치돼 붕괴 위험성이 컸는데도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지난 8년 사이 포스코 사업장에서 중대재해 사망자가 17명에 이른다며 특별감독을 요구했습니다.

[조상민/전국플랜트건설노조 조합원 : "위험 작업 허가 절차가 정상적으로 이행되었다면, 만약 사전점검과 위험 요소 제거가 제대로 되었더라면 우리의 동료는 결코 죽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7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안전조치 등 미비점이 없었는지 신속히 확인하고, 잘못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승용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