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도 30도 넘는데 선풍기뿐”…폭염 사투 가락시장 노동자들

입력 2025.07.26 (07:16) 수정 2025.07.26 (07: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같은 폭염엔 밤 기온도 30도을 넘나드는데요.

그냥 누워만 있어도 무더운데, 밤새 무거운 농산물을 날라야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열대야가 덮친 가락시장,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몰을 앞둔 가락시장.

경매장 내부 기온은 여전히 35도를 넘습니다.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흘러내리지만, 트럭을 가득 채운 시금치 상자를 옮기려면 잠시도 멈출 수 없습니다.

한 상자씩 들고 내리고를 반복하다 보면 얼굴이 붉어지고, 온몸은 땀으로 흠뻑 젖습니다.

[최창영/하역 노동자 : "차 안에는 더 더워요. 바람도 안 들어가고… 밤새 하니까 끝날 때까지 하고 나면 사람이 축축 쳐져요. 땀을 많이 흘리니까."]

시금치부터 얼갈이무, 감자, 고구마까지.

농산물을 하역하다 보면 어느덧 해가 지지만 온도는 떨어질 줄 모릅니다.

차량은 수시로 드나들며 열기를 내뿜는 데다, 에어컨도 없기 때문입니다.

선풍기로 버티는 것도 한계입니다.

최근 이 구역만 대형 선풍기를 천장에 추가로 설치했지만, 밤 10시 넘어서도 실내 온도가 30도를 넘습니다.

그나마 경매장 옆 대기실에 에어컨이 있지만, 경매 시작 전 하역을 마쳐야 하니, 제대로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실제 가락시장 하역 노동자 10명 중 8명은 휴식 시간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임근범/하역 노동자 : "쉴 틈이 없어요. 계속 물품이 들어오니까. 앞으로가 문제죠. 8월엔 더 더우니까. 그게 겁이 나는 거죠."]

여기에 천 명이 넘는 가락시장 노동자 상당수가 고령층이라, 온열질환도 우려됩니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측은 "휴식 시간을 지키도록 안내하고 있고, 이동형 에어컨 설치 등 방법을 고민해 보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이호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밤에도 30도 넘는데 선풍기뿐”…폭염 사투 가락시장 노동자들
    • 입력 2025-07-26 07:16:37
    • 수정2025-07-26 07:24:24
    뉴스광장
[앵커]

요즘같은 폭염엔 밤 기온도 30도을 넘나드는데요.

그냥 누워만 있어도 무더운데, 밤새 무거운 농산물을 날라야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열대야가 덮친 가락시장,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일몰을 앞둔 가락시장.

경매장 내부 기온은 여전히 35도를 넘습니다.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땀이 흘러내리지만, 트럭을 가득 채운 시금치 상자를 옮기려면 잠시도 멈출 수 없습니다.

한 상자씩 들고 내리고를 반복하다 보면 얼굴이 붉어지고, 온몸은 땀으로 흠뻑 젖습니다.

[최창영/하역 노동자 : "차 안에는 더 더워요. 바람도 안 들어가고… 밤새 하니까 끝날 때까지 하고 나면 사람이 축축 쳐져요. 땀을 많이 흘리니까."]

시금치부터 얼갈이무, 감자, 고구마까지.

농산물을 하역하다 보면 어느덧 해가 지지만 온도는 떨어질 줄 모릅니다.

차량은 수시로 드나들며 열기를 내뿜는 데다, 에어컨도 없기 때문입니다.

선풍기로 버티는 것도 한계입니다.

최근 이 구역만 대형 선풍기를 천장에 추가로 설치했지만, 밤 10시 넘어서도 실내 온도가 30도를 넘습니다.

그나마 경매장 옆 대기실에 에어컨이 있지만, 경매 시작 전 하역을 마쳐야 하니, 제대로 이용하기 어렵습니다.

실제 가락시장 하역 노동자 10명 중 8명은 휴식 시간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임근범/하역 노동자 : "쉴 틈이 없어요. 계속 물품이 들어오니까. 앞으로가 문제죠. 8월엔 더 더우니까. 그게 겁이 나는 거죠."]

여기에 천 명이 넘는 가락시장 노동자 상당수가 고령층이라, 온열질환도 우려됩니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측은 "휴식 시간을 지키도록 안내하고 있고, 이동형 에어컨 설치 등 방법을 고민해 보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이호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