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 협상, 8월 1일 마무리…한국과 생산적 협상 계속”

입력 2025.07.26 (12:07) 수정 2025.07.26 (1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 유럽연합의 무역 합의가 임박했다는 관측 속에,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일까지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정부 대표단이 미국 측과 협상을 이어간 가운데, 미 백악관은 '한국과의 생산적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양민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스코틀랜드 순방에 나선 트럼프 미 대통령은 유럽연합 EU와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반반' 정도라고 평가했습니다.

오는 27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의 관세 협상 최종 담판을 앞두고, 미국에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라며 양보를 더 압박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EU와 협정을 체결할 확률은 반반쯤 된다고 봅니다. 어쩌면 그보다 낮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들은 협정을 정말 간절히 원하고 있어요."]

양측 간엔 미국이 EU에 부과한 30% 상호 관세를 15%로 낮추고, 철강과 알루미늄엔 50%의 품목 관세를 매기는 합의안이 유력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미국과 일본이 발표한 무역 합의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상호 관세 발효를 예고한 다음 달 1일에는 거의 모든 협상이 마무리될 거라면서 각국과의 협상 상황도 언급했습니다.

캐나다에 대해선 관세만 부과할 뿐 협상이 없을 거 같다고 했고, 중국과는 거래의 골격은 갖췄다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한국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는데, 미 백악관은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이 '생산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미 협상 상황 관련 질의에 "불공정한 무역 장벽을 낮추고 미국 기업들을 위한 시장 접근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과 계속해서 생산적인 협상을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겁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확정 시한인 다음 달 1일 전에 협상을 타결한다는 목표로 막바지 합의에 총력전을 펴고 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우리 정부 대표단은 미국 현지에서 러트닉 상무장관과 이틀 연속 만나는 등 주요 쟁점에 대한 협상을 이어갔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이승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관세 협상, 8월 1일 마무리…한국과 생산적 협상 계속”
    • 입력 2025-07-26 12:07:12
    • 수정2025-07-26 12:13:50
    뉴스 12
[앵커]

미국과 유럽연합의 무역 합의가 임박했다는 관측 속에,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일까지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정부 대표단이 미국 측과 협상을 이어간 가운데, 미 백악관은 '한국과의 생산적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양민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스코틀랜드 순방에 나선 트럼프 미 대통령은 유럽연합 EU와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반반' 정도라고 평가했습니다.

오는 27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의 관세 협상 최종 담판을 앞두고, 미국에 더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라며 양보를 더 압박한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EU와 협정을 체결할 확률은 반반쯤 된다고 봅니다. 어쩌면 그보다 낮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들은 협정을 정말 간절히 원하고 있어요."]

양측 간엔 미국이 EU에 부과한 30% 상호 관세를 15%로 낮추고, 철강과 알루미늄엔 50%의 품목 관세를 매기는 합의안이 유력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미국과 일본이 발표한 무역 합의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상호 관세 발효를 예고한 다음 달 1일에는 거의 모든 협상이 마무리될 거라면서 각국과의 협상 상황도 언급했습니다.

캐나다에 대해선 관세만 부과할 뿐 협상이 없을 거 같다고 했고, 중국과는 거래의 골격은 갖췄다고 평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한국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는데, 미 백악관은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이 '생산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미 협상 상황 관련 질의에 "불공정한 무역 장벽을 낮추고 미국 기업들을 위한 시장 접근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과 계속해서 생산적인 협상을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겁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확정 시한인 다음 달 1일 전에 협상을 타결한다는 목표로 막바지 합의에 총력전을 펴고 있습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우리 정부 대표단은 미국 현지에서 러트닉 상무장관과 이틀 연속 만나는 등 주요 쟁점에 대한 협상을 이어갔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김은주/자료조사:이승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