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리스크에…해외 완성차 업계, 북미 생산 확대 추진

입력 2025.07.27 (11:09) 수정 2025.07.27 (11: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고자 북미 생산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2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보고서에 따르면 폭스바겐과 도요타 등 주요 해외 완성차 회사들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단기적으로는 캐나다, 멕시코 생산을 활용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미국 중심으로 생산 구조를 짜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으로 25% 관세 조치를 확대했습니다.

다만 자유무역협정의 하나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라 멕시코·캐나다산 제품이 원산지 요건을 충족할 경우 관세를 면제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멕시코와 캐나다 생산 거점을 통해 연간 4억~5억 달러 규모 관세 부담 중 최소 30%를 상쇄할 계획입니다.

스텔란티스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조립공장을 기존처럼 운영하면서 일부 모델은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포드는 USMCA 기준을 충족하고자 멕시코와 미국 내 유통 경로를 재설계하고 있습니다.

도요타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있는 북미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장기적으로 미국 내 부가가치를 높이고 공급망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미국 중심 생산 구조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보고서는 "고율 관세 회피와 무관세 혜택 유지를 위한 압력이 강화되면서 북미 중심으로의 공급망 재편 압력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면서 "미국 내 생산은 비용 부담이 크지만, 자동화 가능성과 정책적 유인을 고려하면 장기적 대응 전략으로 재평가되는 추세"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자동차 기업도 현지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글로벌 업계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코트라가 업계와 전문 자문기관 관계자 총 29명을 심층 인터뷰 한 결과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이른바 빅3 완성차 회사 관계자들은 한국 기업이 수출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현지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한 관계자는 "가격만으로는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는 시장 환경"이라면서 "한국 기업도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로서 현지화를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세 리스크에…해외 완성차 업계, 북미 생산 확대 추진
    • 입력 2025-07-27 11:09:30
    • 수정2025-07-27 11:17:26
    경제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고자 북미 생산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2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보고서에 따르면 폭스바겐과 도요타 등 주요 해외 완성차 회사들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단기적으로는 캐나다, 멕시코 생산을 활용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미국 중심으로 생산 구조를 짜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5월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으로 25% 관세 조치를 확대했습니다.

다만 자유무역협정의 하나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라 멕시코·캐나다산 제품이 원산지 요건을 충족할 경우 관세를 면제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멕시코와 캐나다 생산 거점을 통해 연간 4억~5억 달러 규모 관세 부담 중 최소 30%를 상쇄할 계획입니다.

스텔란티스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조립공장을 기존처럼 운영하면서 일부 모델은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포드는 USMCA 기준을 충족하고자 멕시코와 미국 내 유통 경로를 재설계하고 있습니다.

도요타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있는 북미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장기적으로 미국 내 부가가치를 높이고 공급망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미국 중심 생산 구조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보고서는 "고율 관세 회피와 무관세 혜택 유지를 위한 압력이 강화되면서 북미 중심으로의 공급망 재편 압력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면서 "미국 내 생산은 비용 부담이 크지만, 자동화 가능성과 정책적 유인을 고려하면 장기적 대응 전략으로 재평가되는 추세"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자동차 기업도 현지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글로벌 업계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코트라가 업계와 전문 자문기관 관계자 총 29명을 심층 인터뷰 한 결과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이른바 빅3 완성차 회사 관계자들은 한국 기업이 수출 중심 접근에서 벗어나 현지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한 관계자는 "가격만으로는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는 시장 환경"이라면서 "한국 기업도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로서 현지화를 추진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