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2면] 독일 청년층의 ‘외로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입력 2025.07.28 (15:33)
수정 2025.07.28 (15: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신들은 지금 어떤 뉴스에 주목하고 있을까요?
뉴스 너머의 뉴스 뉴스의 2면, 함께 만나 보시죠.
도이체벨레는 '외로움'을 느끼는 독일 젊은 층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전 세계 6명 중 1명이 외로움을 호소했는데요.
청소년들은 5명 중 1명꼴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말 독일의 공공건강보험사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독일인 가운데 60%가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고, 특히 18~39살까지 연령대에선 응답자가 68%나 됐습니다.
독일의 한 사회학자는 외로움을 겪는 젊은 층의 경우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권위주의적 사고는 강력한 지도자를 긍정하고 복종과 질서를 중시하면서 소수자 등 다름에 대해 배척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16~23살까지 독일 청년들은 특히 음모론에 취약하며 정치적 폭력 사용을 용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반복적으로 거절당하고 있다 느끼고, 모임에서 누구와도 소통하지 못한 채 좌절감을 안고 집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험들이 원망을 낳게 되고, 그들은 이를 불공정하다고 인식하면서 쉽게 넘기지 못한 채, 타인을 탓하고 결국엔 분노에 사로잡히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김주은
뉴스 너머의 뉴스 뉴스의 2면, 함께 만나 보시죠.
도이체벨레는 '외로움'을 느끼는 독일 젊은 층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전 세계 6명 중 1명이 외로움을 호소했는데요.
청소년들은 5명 중 1명꼴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말 독일의 공공건강보험사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독일인 가운데 60%가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고, 특히 18~39살까지 연령대에선 응답자가 68%나 됐습니다.
독일의 한 사회학자는 외로움을 겪는 젊은 층의 경우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권위주의적 사고는 강력한 지도자를 긍정하고 복종과 질서를 중시하면서 소수자 등 다름에 대해 배척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16~23살까지 독일 청년들은 특히 음모론에 취약하며 정치적 폭력 사용을 용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반복적으로 거절당하고 있다 느끼고, 모임에서 누구와도 소통하지 못한 채 좌절감을 안고 집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험들이 원망을 낳게 되고, 그들은 이를 불공정하다고 인식하면서 쉽게 넘기지 못한 채, 타인을 탓하고 결국엔 분노에 사로잡히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김주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의 2면] 독일 청년층의 ‘외로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
- 입력 2025-07-28 15:33:14
- 수정2025-07-28 15:37:25

외신들은 지금 어떤 뉴스에 주목하고 있을까요?
뉴스 너머의 뉴스 뉴스의 2면, 함께 만나 보시죠.
도이체벨레는 '외로움'을 느끼는 독일 젊은 층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전 세계 6명 중 1명이 외로움을 호소했는데요.
청소년들은 5명 중 1명꼴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말 독일의 공공건강보험사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독일인 가운데 60%가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고, 특히 18~39살까지 연령대에선 응답자가 68%나 됐습니다.
독일의 한 사회학자는 외로움을 겪는 젊은 층의 경우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권위주의적 사고는 강력한 지도자를 긍정하고 복종과 질서를 중시하면서 소수자 등 다름에 대해 배척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16~23살까지 독일 청년들은 특히 음모론에 취약하며 정치적 폭력 사용을 용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반복적으로 거절당하고 있다 느끼고, 모임에서 누구와도 소통하지 못한 채 좌절감을 안고 집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험들이 원망을 낳게 되고, 그들은 이를 불공정하다고 인식하면서 쉽게 넘기지 못한 채, 타인을 탓하고 결국엔 분노에 사로잡히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김주은
뉴스 너머의 뉴스 뉴스의 2면, 함께 만나 보시죠.
도이체벨레는 '외로움'을 느끼는 독일 젊은 층이 늘어나고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전 세계 6명 중 1명이 외로움을 호소했는데요.
청소년들은 5명 중 1명꼴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말 독일의 공공건강보험사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독일인 가운데 60%가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고, 특히 18~39살까지 연령대에선 응답자가 68%나 됐습니다.
독일의 한 사회학자는 외로움을 겪는 젊은 층의 경우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권위주의적 사고는 강력한 지도자를 긍정하고 복종과 질서를 중시하면서 소수자 등 다름에 대해 배척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16~23살까지 독일 청년들은 특히 음모론에 취약하며 정치적 폭력 사용을 용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반복적으로 거절당하고 있다 느끼고, 모임에서 누구와도 소통하지 못한 채 좌절감을 안고 집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험들이 원망을 낳게 되고, 그들은 이를 불공정하다고 인식하면서 쉽게 넘기지 못한 채, 타인을 탓하고 결국엔 분노에 사로잡히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래픽:강민수/자료조사:권애림/영상편집:김주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