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막으니 한국으로…상반기 마약 밀수 8배 늘어
입력 2025.07.29 (10:05)
수정 2025.07.29 (1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마약 밀수 적발 건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 강화 조치로 인해 중남미와 북미, 유럽발 밀수가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 단계에서 총 617건, 2,680kg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약 8,933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적발 건수는 70%, 중량은 800% 증가했습니다. 중량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적발량입니다.
출발 지역별로는 중남미 지역에서 출발한 선박에서 대규모 마약이 연이어 적발됐습니다.
북미·유럽 지역 발 마약 밀수 적발도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마약 밀매 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중남미발 마약 단속 건수는 9건, 2,298k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중량 기준 7,824% 증가했습니다.
중남미는 선박 등을 이용한 단발성 대형 마약밀수가 적발됐는데, 지난 4월 강릉 옥계항에서 페루발 코카인 1,690kg이 단속됐습니다.
지난 5월 부산신항에서도 에콰도르발 코카인 600kg이 적발됐습니다.
북미는 캐나다발 필로폰 밀수, 미국발 대마 적발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2% 증가했습니다.
유럽 지역은 지난해까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 아니었지만, 올해 프랑스발 케타민 밀수와 영국발 필로폰 밀수가 증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1% 늘었습니다.
아시아는 우리나라로 밀수되는 마약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마약 출발 지역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0% 증가했습니다.
마약 품목별로 보면 코카인, 필로폰, 케타민, 대마 순으로 많이 적발됐습니다.
특히 코카인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적발 중량이 7,941% 증가했습니다.
필로폰은 지난해까지 매년 가장 많이 적발된 품목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적발 중량이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두 번째로 많은 양이 적발됐습니다.
케타민은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부터 적발이 증가해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747% 늘었습니다.
밀수 경로는 건수 기준으로 여행자, 특송화물, 국제우편 순으로 많았습니다.
여행자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건수는 248%, 중량은 156% 증가했습니다.
특송화물은 각각 105%, 44% 증가했는데, 유통 목적 마약밀수의 대형화와 함께 소비 목적의 마약밀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관세청은 분석했습니다.
반면 국제우편은 마약류 반입경로가 특송화물 등으로 바뀌면서 각각 21%, 27% 감소했습니다.
관세청은 "마약밀수 위험정보 입수 범위를 확대하고, 여행자·화물 등 주요 반입경로별 검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활용을 고도화하고,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 등 최신 검색 장비를 확충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주요 마약 출발국 관세당국과 국제 합동단속을 확대하고, 국내외 기관과 마약 위험정보 네트워크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관세청 제공]
특히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 강화 조치로 인해 중남미와 북미, 유럽발 밀수가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 단계에서 총 617건, 2,680kg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약 8,933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적발 건수는 70%, 중량은 800% 증가했습니다. 중량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적발량입니다.
출발 지역별로는 중남미 지역에서 출발한 선박에서 대규모 마약이 연이어 적발됐습니다.
북미·유럽 지역 발 마약 밀수 적발도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마약 밀매 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중남미발 마약 단속 건수는 9건, 2,298k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중량 기준 7,824% 증가했습니다.
중남미는 선박 등을 이용한 단발성 대형 마약밀수가 적발됐는데, 지난 4월 강릉 옥계항에서 페루발 코카인 1,690kg이 단속됐습니다.
지난 5월 부산신항에서도 에콰도르발 코카인 600kg이 적발됐습니다.
북미는 캐나다발 필로폰 밀수, 미국발 대마 적발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2% 증가했습니다.
유럽 지역은 지난해까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 아니었지만, 올해 프랑스발 케타민 밀수와 영국발 필로폰 밀수가 증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1% 늘었습니다.
아시아는 우리나라로 밀수되는 마약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마약 출발 지역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0% 증가했습니다.
마약 품목별로 보면 코카인, 필로폰, 케타민, 대마 순으로 많이 적발됐습니다.
특히 코카인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적발 중량이 7,941% 증가했습니다.
필로폰은 지난해까지 매년 가장 많이 적발된 품목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적발 중량이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두 번째로 많은 양이 적발됐습니다.
케타민은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부터 적발이 증가해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747% 늘었습니다.
밀수 경로는 건수 기준으로 여행자, 특송화물, 국제우편 순으로 많았습니다.
여행자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건수는 248%, 중량은 156% 증가했습니다.
특송화물은 각각 105%, 44% 증가했는데, 유통 목적 마약밀수의 대형화와 함께 소비 목적의 마약밀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관세청은 분석했습니다.
반면 국제우편은 마약류 반입경로가 특송화물 등으로 바뀌면서 각각 21%, 27% 감소했습니다.
관세청은 "마약밀수 위험정보 입수 범위를 확대하고, 여행자·화물 등 주요 반입경로별 검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활용을 고도화하고,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 등 최신 검색 장비를 확충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주요 마약 출발국 관세당국과 국제 합동단속을 확대하고, 국내외 기관과 마약 위험정보 네트워크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관세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막으니 한국으로…상반기 마약 밀수 8배 늘어
-
- 입력 2025-07-29 10:05:42
- 수정2025-07-29 10:10:44

올해 상반기 마약 밀수 적발 건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 강화 조치로 인해 중남미와 북미, 유럽발 밀수가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 단계에서 총 617건, 2,680kg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약 8,933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적발 건수는 70%, 중량은 800% 증가했습니다. 중량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적발량입니다.
출발 지역별로는 중남미 지역에서 출발한 선박에서 대규모 마약이 연이어 적발됐습니다.
북미·유럽 지역 발 마약 밀수 적발도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마약 밀매 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중남미발 마약 단속 건수는 9건, 2,298k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중량 기준 7,824% 증가했습니다.
중남미는 선박 등을 이용한 단발성 대형 마약밀수가 적발됐는데, 지난 4월 강릉 옥계항에서 페루발 코카인 1,690kg이 단속됐습니다.
지난 5월 부산신항에서도 에콰도르발 코카인 600kg이 적발됐습니다.
북미는 캐나다발 필로폰 밀수, 미국발 대마 적발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2% 증가했습니다.
유럽 지역은 지난해까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 아니었지만, 올해 프랑스발 케타민 밀수와 영국발 필로폰 밀수가 증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1% 늘었습니다.
아시아는 우리나라로 밀수되는 마약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마약 출발 지역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0% 증가했습니다.
마약 품목별로 보면 코카인, 필로폰, 케타민, 대마 순으로 많이 적발됐습니다.
특히 코카인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적발 중량이 7,941% 증가했습니다.
필로폰은 지난해까지 매년 가장 많이 적발된 품목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적발 중량이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두 번째로 많은 양이 적발됐습니다.
케타민은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부터 적발이 증가해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747% 늘었습니다.
밀수 경로는 건수 기준으로 여행자, 특송화물, 국제우편 순으로 많았습니다.
여행자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건수는 248%, 중량은 156% 증가했습니다.
특송화물은 각각 105%, 44% 증가했는데, 유통 목적 마약밀수의 대형화와 함께 소비 목적의 마약밀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관세청은 분석했습니다.
반면 국제우편은 마약류 반입경로가 특송화물 등으로 바뀌면서 각각 21%, 27% 감소했습니다.
관세청은 "마약밀수 위험정보 입수 범위를 확대하고, 여행자·화물 등 주요 반입경로별 검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활용을 고도화하고,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 등 최신 검색 장비를 확충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주요 마약 출발국 관세당국과 국제 합동단속을 확대하고, 국내외 기관과 마약 위험정보 네트워크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관세청 제공]
특히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 강화 조치로 인해 중남미와 북미, 유럽발 밀수가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올해 상반기 국경 단계에서 총 617건, 2,680kg의 마약을 적발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약 8,933만 명이 동시 투약할 수 있는 양입니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적발 건수는 70%, 중량은 800% 증가했습니다. 중량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적발량입니다.
출발 지역별로는 중남미 지역에서 출발한 선박에서 대규모 마약이 연이어 적발됐습니다.
북미·유럽 지역 발 마약 밀수 적발도 증가했습니다.
관세청은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중남미 마약 밀매 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중남미발 마약 단속 건수는 9건, 2,298k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중량 기준 7,824% 증가했습니다.
중남미는 선박 등을 이용한 단발성 대형 마약밀수가 적발됐는데, 지난 4월 강릉 옥계항에서 페루발 코카인 1,690kg이 단속됐습니다.
지난 5월 부산신항에서도 에콰도르발 코카인 600kg이 적발됐습니다.
북미는 캐나다발 필로폰 밀수, 미국발 대마 적발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72% 증가했습니다.
유럽 지역은 지난해까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 아니었지만, 올해 프랑스발 케타민 밀수와 영국발 필로폰 밀수가 증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1% 늘었습니다.
아시아는 우리나라로 밀수되는 마약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마약 출발 지역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0% 증가했습니다.
마약 품목별로 보면 코카인, 필로폰, 케타민, 대마 순으로 많이 적발됐습니다.
특히 코카인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적발 중량이 7,941% 증가했습니다.
필로폰은 지난해까지 매년 가장 많이 적발된 품목으로, 올해 상반기에는 적발 중량이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두 번째로 많은 양이 적발됐습니다.
케타민은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부터 적발이 증가해 올해 상반기에는 지난해보다 747% 늘었습니다.
밀수 경로는 건수 기준으로 여행자, 특송화물, 국제우편 순으로 많았습니다.
여행자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건수는 248%, 중량은 156% 증가했습니다.
특송화물은 각각 105%, 44% 증가했는데, 유통 목적 마약밀수의 대형화와 함께 소비 목적의 마약밀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관세청은 분석했습니다.
반면 국제우편은 마약류 반입경로가 특송화물 등으로 바뀌면서 각각 21%, 27% 감소했습니다.
관세청은 "마약밀수 위험정보 입수 범위를 확대하고, 여행자·화물 등 주요 반입경로별 검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 활용을 고도화하고,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 등 최신 검색 장비를 확충할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주요 마약 출발국 관세당국과 국제 합동단속을 확대하고, 국내외 기관과 마약 위험정보 네트워크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관세청 제공]
-
-
최인영 기자 inyoung@kbs.co.kr
최인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