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등 15개국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동참 호소
입력 2025.07.31 (04:41)
수정 2025.07.31 (04: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등 15개국이 유엔 장관급 회의를 계기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위한 의지를 표명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장 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은 30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뉴욕에서 14개 국가와 함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지지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며 "이를 지지하지 않은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15개국은 28∼29일 이틀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국가 해법을 위한 장관급 회의가 종료된 후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프랑스 외에 캐나다, 호주, 안도라, 핀란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스페인, 몰타가 공동 성명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이미 인정했거나 인정할 의사를 표명한 국가"라며 "두국가 해법을 향한 필수 단계로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인정하지 않은 모든 국가에 이 선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이어 "이스라엘과 아직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은 국가들에는 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가자지구의 '전후 질서'를 위한 체계 구축에 전념할 것을 천명한다"며 이 전후 질서의 목표로 ▲가자지구의 재건 ▲하마스의 무장 해제 ▲팔레스타인 통치 구조에서 하마스의 배제 보장을 내걸었습니다.
이번 유엔 장관급 회의에서 사우디, 카타르, 이집트 등 아랍권은 하마스에게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무기를 반납하라고 요구했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주저하던 영국 정부는 프랑스의 뒤를 따라 전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휴전에 동의하지 않고, 두 국가 해법을 위한 장기적 평화 과정을 약속하지 않는다면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장 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은 30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뉴욕에서 14개 국가와 함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지지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며 "이를 지지하지 않은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15개국은 28∼29일 이틀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국가 해법을 위한 장관급 회의가 종료된 후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프랑스 외에 캐나다, 호주, 안도라, 핀란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스페인, 몰타가 공동 성명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이미 인정했거나 인정할 의사를 표명한 국가"라며 "두국가 해법을 향한 필수 단계로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인정하지 않은 모든 국가에 이 선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이어 "이스라엘과 아직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은 국가들에는 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가자지구의 '전후 질서'를 위한 체계 구축에 전념할 것을 천명한다"며 이 전후 질서의 목표로 ▲가자지구의 재건 ▲하마스의 무장 해제 ▲팔레스타인 통치 구조에서 하마스의 배제 보장을 내걸었습니다.
이번 유엔 장관급 회의에서 사우디, 카타르, 이집트 등 아랍권은 하마스에게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무기를 반납하라고 요구했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주저하던 영국 정부는 프랑스의 뒤를 따라 전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휴전에 동의하지 않고, 두 국가 해법을 위한 장기적 평화 과정을 약속하지 않는다면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프랑스 등 15개국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동참 호소
-
- 입력 2025-07-31 04:41:21
- 수정2025-07-31 04:41:44

프랑스 등 15개국이 유엔 장관급 회의를 계기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위한 의지를 표명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
장 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은 30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뉴욕에서 14개 국가와 함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지지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며 "이를 지지하지 않은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15개국은 28∼29일 이틀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국가 해법을 위한 장관급 회의가 종료된 후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프랑스 외에 캐나다, 호주, 안도라, 핀란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스페인, 몰타가 공동 성명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이미 인정했거나 인정할 의사를 표명한 국가"라며 "두국가 해법을 향한 필수 단계로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인정하지 않은 모든 국가에 이 선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이어 "이스라엘과 아직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은 국가들에는 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가자지구의 '전후 질서'를 위한 체계 구축에 전념할 것을 천명한다"며 이 전후 질서의 목표로 ▲가자지구의 재건 ▲하마스의 무장 해제 ▲팔레스타인 통치 구조에서 하마스의 배제 보장을 내걸었습니다.
이번 유엔 장관급 회의에서 사우디, 카타르, 이집트 등 아랍권은 하마스에게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무기를 반납하라고 요구했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주저하던 영국 정부는 프랑스의 뒤를 따라 전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휴전에 동의하지 않고, 두 국가 해법을 위한 장기적 평화 과정을 약속하지 않는다면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장 노엘 바로 프랑스 외무장관은 30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뉴욕에서 14개 국가와 함께 프랑스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지지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며 "이를 지지하지 않은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15개국은 28∼29일 이틀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 주도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국가 해법을 위한 장관급 회의가 종료된 후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프랑스 외에 캐나다, 호주, 안도라, 핀란드,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스페인, 몰타가 공동 성명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이미 인정했거나 인정할 의사를 표명한 국가"라며 "두국가 해법을 향한 필수 단계로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인정하지 않은 모든 국가에 이 선언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호소했습니다.
이어 "이스라엘과 아직 관계를 정상화하지 않은 국가들에는 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가자지구의 '전후 질서'를 위한 체계 구축에 전념할 것을 천명한다"며 이 전후 질서의 목표로 ▲가자지구의 재건 ▲하마스의 무장 해제 ▲팔레스타인 통치 구조에서 하마스의 배제 보장을 내걸었습니다.
이번 유엔 장관급 회의에서 사우디, 카타르, 이집트 등 아랍권은 하마스에게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무기를 반납하라고 요구했다고 AFP 통신은 전했습니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에 주저하던 영국 정부는 프랑스의 뒤를 따라 전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휴전에 동의하지 않고, 두 국가 해법을 위한 장기적 평화 과정을 약속하지 않는다면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지선 기자 3rdline@kbs.co.kr
김지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