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암초에 코스피 -3.9%…이재명 정부 최대 낙폭

입력 2025.08.01 (23:01) 수정 2025.08.01 (23: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일) 코스피 지수가 120포인트 넘게 내렸습니다.

대선 이후 꾸준한 우상향 흐름에서 크게 엇나갔는데, 주식 관련 세금을 올리겠다는 세제 개편안이 화근이 된 걸로 보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관련 여론에 신경을 쓰는 기류입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코스피 3,119포인트.

어제보다 126포인트, 4% 가깝게 급락했습니다.

대선 직전 2,700 아래부터 꾸준히 올라 이틀 전 3,250을 넘기며 연고점을 찍었던 기세를 감안하면, 갑작스러운 반전입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하락 폭이 가장 컸는데, 어제 나온 세제개편안이 암초가 된 분위기입니다.

배당소득 세율을 내리긴 했지만, 기대보다는 덜 내렸습니다.

증권거래세 세율을 0.15%에서 0.2%로 되돌리고, 주식 차익에 양도소득세를 매기는 대주주 범위를 더 넓힌다는 방침입니다.

[이형일/기재부 1차관 : "(대주주 기준이) 그 전에 50억 원 이상일 때는 한 6천 명 정도였습니다. 이번에 10억 원 이상으로 하면 2만 4천 명 정도가 됩니다."]

정부는 증시 영향이 적을 거라고 진화했지만, '코스피 5,000'을 약속한 정부 맞냐는 실망감이 확산했습니다.

대주주 범위 확대에 반대한다는 국회 청원이 하루 만에 5만 명 요건을 채우자, 정부·여당은 입법예고 2주 동안 여론을 잘 보겠다며 몸을 낮췄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천천히 내리거나 올릴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외국인 순매도를 키웠습니다.

관세도 한몫했다는 뜻입니다.

[서상영/미래에셋투자증권 연구위원 : "관세 부과가 8월 1일부터 진행이 되기 때문에 미국의 경기 둔화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다. 한국의 수출이 둔화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주가는 빠지는 거죠."]

같은 이유로 달러는 다시 비싸지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두 달 반 만에 1,400원대에 올라섰습니다.

관세 협상 의제 중 하나인 환율 협의가 지연되는 점도 환율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영상취재:김보현/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금 암초에 코스피 -3.9%…이재명 정부 최대 낙폭
    • 입력 2025-08-01 23:01:53
    • 수정2025-08-01 23:05:18
    뉴스라인 W
[앵커]

오늘(1일) 코스피 지수가 120포인트 넘게 내렸습니다.

대선 이후 꾸준한 우상향 흐름에서 크게 엇나갔는데, 주식 관련 세금을 올리겠다는 세제 개편안이 화근이 된 걸로 보입니다.

정부와 여당이 관련 여론에 신경을 쓰는 기류입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코스피 3,119포인트.

어제보다 126포인트, 4% 가깝게 급락했습니다.

대선 직전 2,700 아래부터 꾸준히 올라 이틀 전 3,250을 넘기며 연고점을 찍었던 기세를 감안하면, 갑작스러운 반전입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하락 폭이 가장 컸는데, 어제 나온 세제개편안이 암초가 된 분위기입니다.

배당소득 세율을 내리긴 했지만, 기대보다는 덜 내렸습니다.

증권거래세 세율을 0.15%에서 0.2%로 되돌리고, 주식 차익에 양도소득세를 매기는 대주주 범위를 더 넓힌다는 방침입니다.

[이형일/기재부 1차관 : "(대주주 기준이) 그 전에 50억 원 이상일 때는 한 6천 명 정도였습니다. 이번에 10억 원 이상으로 하면 2만 4천 명 정도가 됩니다."]

정부는 증시 영향이 적을 거라고 진화했지만, '코스피 5,000'을 약속한 정부 맞냐는 실망감이 확산했습니다.

대주주 범위 확대에 반대한다는 국회 청원이 하루 만에 5만 명 요건을 채우자, 정부·여당은 입법예고 2주 동안 여론을 잘 보겠다며 몸을 낮췄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천천히 내리거나 올릴지도 모른다는 전망도 외국인 순매도를 키웠습니다.

관세도 한몫했다는 뜻입니다.

[서상영/미래에셋투자증권 연구위원 : "관세 부과가 8월 1일부터 진행이 되기 때문에 미국의 경기 둔화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다. 한국의 수출이 둔화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주가는 빠지는 거죠."]

같은 이유로 달러는 다시 비싸지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두 달 반 만에 1,400원대에 올라섰습니다.

관세 협상 의제 중 하나인 환율 협의가 지연되는 점도 환율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영상취재:김보현/영상편집:한효정/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