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고용 쇼크·트럼프 상호관세 우려에 하락 출발

입력 2025.08.01 (23:30) 수정 2025.08.01 (23: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지시각 1일 뉴욕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정된 관세 조치에 대한 경계심 속에 하락 출발했습니다.

이날 오전 9시 40분 기준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4.10포인트(1.39%) 하락한 43,516.88에,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00.88포인트(1.59%) 내린 6,238.51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73.36포인트(1.77%) 하락한 20,749.09에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달 새 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눈에 띄게 약해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천명 증가해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10만명)을 밑돌았고, 5∼6월 일자리 증가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25만8천명 하향 조정됐습니다.

클리어브릿지 인베스트먼트의 제프리 슐츠 경제·시장 전략 책임자는 "고용 창출이 사실상 멈춘 수준이고, 여기에 관세라는 역풍까지 더해질 경우 향후 몇 달 내 마이너스 고용 증가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는 경기침체 우려를 다시 자극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럽증시도 큰 폭으로 하락 중입니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2.77% 하락하고 있습니다.

독일 DAX지수는 2.59%, 영국 FTSE 지수는 0.91%, 프랑스 CAC40 지수는 2.85% 하락하고 있습니다.

국제 유가도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날 오전 9시 48분 현재 근월물인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65% 하락한 배럴당 68.81달러,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74% 내린 배럴당 71.17달러를 기록 중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욕증시, 고용 쇼크·트럼프 상호관세 우려에 하락 출발
    • 입력 2025-08-01 23:30:44
    • 수정2025-08-01 23:37:12
    국제
현지시각 1일 뉴욕증시는 경기 둔화 우려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정된 관세 조치에 대한 경계심 속에 하락 출발했습니다.

이날 오전 9시 40분 기준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4.10포인트(1.39%) 하락한 43,516.88에,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00.88포인트(1.59%) 내린 6,238.51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73.36포인트(1.77%) 하락한 20,749.09에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달 새 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눈에 띄게 약해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천명 증가해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10만명)을 밑돌았고, 5∼6월 일자리 증가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25만8천명 하향 조정됐습니다.

클리어브릿지 인베스트먼트의 제프리 슐츠 경제·시장 전략 책임자는 "고용 창출이 사실상 멈춘 수준이고, 여기에 관세라는 역풍까지 더해질 경우 향후 몇 달 내 마이너스 고용 증가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는 경기침체 우려를 다시 자극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럽증시도 큰 폭으로 하락 중입니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2.77% 하락하고 있습니다.

독일 DAX지수는 2.59%, 영국 FTSE 지수는 0.91%, 프랑스 CAC40 지수는 2.85% 하락하고 있습니다.

국제 유가도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날 오전 9시 48분 현재 근월물인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65% 하락한 배럴당 68.81달러,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74% 내린 배럴당 71.17달러를 기록 중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