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과거사 문제 언급한 이 대통령…“할 수 있는 최선 다해야”
입력 2025.08.03 (18:46)
수정 2025.08.03 (19: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와 관련해 “약간 예민한 문제이긴 한데 우리는 항상 일본에게 ‘사과하라’, ‘보상하라’ 요구하는 데 공식적으로 가해한 일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습니다.
그러면서 “베트남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이달 공개한 제26차 국무회의 속기록(6월 19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베트남 국민들은 사과하라고 하지 않느냐”고 말했습니다.
이에 회의에 참석한 조태열 당시 외교부 장관은 “이전 정부에서도 사과의 의사를 표시했는데 베트남 정부에서 거절했다”며 “한·베트남 관계는 미래를 향해서 가는 것이지, 과거사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베트남 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개별적으로 탄원하거나 진행 중인 것들이 몇 건 있는데 그런 것에 대해서는 정부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외국인 근로자를 받을 때 베트남에서도 우리나라에 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인도적 차원에서 베트남 쪽을 많이 받아준다든지”라며 일종의 인센티브(우대책)를 줄 수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참석한 당시 고용노동부 김민석 차관은 “작년부터 경기가 안 좋아서 13만 명의 쿼터 중 상반기까지 2만 9,000명 정도이고 수요가 없다”고 했고, 이 대통령은 “오겠다는 공급은 많다는 것 같은데 그럴 때 베트남에 대해서 인센티브를 주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본인이 한국 참전 군인이나 군무원 관련자의 자식인데 아버지를 찾겠다는 것이 아니고 한국에서 일 해보겠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며 “이런 사람들에 대해선 웬만하면 다 받아주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행정기관 입장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것도 문제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런데 굳이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쪽은 좀 쉽게 들어올 수 있게 해주면 되는 것 아닌지 고민을 해봐야 한다”며 “이제 베트남이 대한민국에 무언가를 부탁하는 시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은 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그러면서 “베트남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이달 공개한 제26차 국무회의 속기록(6월 19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베트남 국민들은 사과하라고 하지 않느냐”고 말했습니다.
이에 회의에 참석한 조태열 당시 외교부 장관은 “이전 정부에서도 사과의 의사를 표시했는데 베트남 정부에서 거절했다”며 “한·베트남 관계는 미래를 향해서 가는 것이지, 과거사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베트남 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개별적으로 탄원하거나 진행 중인 것들이 몇 건 있는데 그런 것에 대해서는 정부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외국인 근로자를 받을 때 베트남에서도 우리나라에 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인도적 차원에서 베트남 쪽을 많이 받아준다든지”라며 일종의 인센티브(우대책)를 줄 수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참석한 당시 고용노동부 김민석 차관은 “작년부터 경기가 안 좋아서 13만 명의 쿼터 중 상반기까지 2만 9,000명 정도이고 수요가 없다”고 했고, 이 대통령은 “오겠다는 공급은 많다는 것 같은데 그럴 때 베트남에 대해서 인센티브를 주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본인이 한국 참전 군인이나 군무원 관련자의 자식인데 아버지를 찾겠다는 것이 아니고 한국에서 일 해보겠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며 “이런 사람들에 대해선 웬만하면 다 받아주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행정기관 입장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것도 문제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런데 굳이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쪽은 좀 쉽게 들어올 수 있게 해주면 되는 것 아닌지 고민을 해봐야 한다”며 “이제 베트남이 대한민국에 무언가를 부탁하는 시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은 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베트남 과거사 문제 언급한 이 대통령…“할 수 있는 최선 다해야”
-
- 입력 2025-08-03 18:46:02
- 수정2025-08-03 19:12:57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문제와 관련해 “약간 예민한 문제이긴 한데 우리는 항상 일본에게 ‘사과하라’, ‘보상하라’ 요구하는 데 공식적으로 가해한 일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습니다.
그러면서 “베트남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이달 공개한 제26차 국무회의 속기록(6월 19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베트남 국민들은 사과하라고 하지 않느냐”고 말했습니다.
이에 회의에 참석한 조태열 당시 외교부 장관은 “이전 정부에서도 사과의 의사를 표시했는데 베트남 정부에서 거절했다”며 “한·베트남 관계는 미래를 향해서 가는 것이지, 과거사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베트남 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개별적으로 탄원하거나 진행 중인 것들이 몇 건 있는데 그런 것에 대해서는 정부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외국인 근로자를 받을 때 베트남에서도 우리나라에 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인도적 차원에서 베트남 쪽을 많이 받아준다든지”라며 일종의 인센티브(우대책)를 줄 수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참석한 당시 고용노동부 김민석 차관은 “작년부터 경기가 안 좋아서 13만 명의 쿼터 중 상반기까지 2만 9,000명 정도이고 수요가 없다”고 했고, 이 대통령은 “오겠다는 공급은 많다는 것 같은데 그럴 때 베트남에 대해서 인센티브를 주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본인이 한국 참전 군인이나 군무원 관련자의 자식인데 아버지를 찾겠다는 것이 아니고 한국에서 일 해보겠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며 “이런 사람들에 대해선 웬만하면 다 받아주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행정기관 입장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것도 문제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런데 굳이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쪽은 좀 쉽게 들어올 수 있게 해주면 되는 것 아닌지 고민을 해봐야 한다”며 “이제 베트남이 대한민국에 무언가를 부탁하는 시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은 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그러면서 “베트남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이달 공개한 제26차 국무회의 속기록(6월 19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베트남 국민들은 사과하라고 하지 않느냐”고 말했습니다.
이에 회의에 참석한 조태열 당시 외교부 장관은 “이전 정부에서도 사과의 의사를 표시했는데 베트남 정부에서 거절했다”며 “한·베트남 관계는 미래를 향해서 가는 것이지, 과거사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베트남 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개별적으로 탄원하거나 진행 중인 것들이 몇 건 있는데 그런 것에 대해서는 정부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외국인 근로자를 받을 때 베트남에서도 우리나라에 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 인도적 차원에서 베트남 쪽을 많이 받아준다든지”라며 일종의 인센티브(우대책)를 줄 수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참석한 당시 고용노동부 김민석 차관은 “작년부터 경기가 안 좋아서 13만 명의 쿼터 중 상반기까지 2만 9,000명 정도이고 수요가 없다”고 했고, 이 대통령은 “오겠다는 공급은 많다는 것 같은데 그럴 때 베트남에 대해서 인센티브를 주자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본인이 한국 참전 군인이나 군무원 관련자의 자식인데 아버지를 찾겠다는 것이 아니고 한국에서 일 해보겠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라며 “이런 사람들에 대해선 웬만하면 다 받아주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행정기관 입장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것도 문제일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런데 굳이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 그쪽은 좀 쉽게 들어올 수 있게 해주면 되는 것 아닌지 고민을 해봐야 한다”며 “이제 베트남이 대한민국에 무언가를 부탁하는 시대는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은 해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