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추모위 출범…김 총리 “기억하고 책임지고 바꿀 것”
입력 2025.08.04 (18:04)
수정 2025.08.04 (1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추모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공식 추모사업 추진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오늘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추모위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하고 책임지는, 공감하는 공동체로 나아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참사 이후 정부는 밀집사고 예방 대책이나 인파 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왔다”면서 “제도 정비만으로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는 차원에서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추모위원회 구성은 지난 1월 ‘이태원 특별법 시행령’의 국무회의 의결에 따른 것으로 김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정부 측 위원으로 참여합니다.
민간위원으로는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상임활동가와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공감 변호사 등 유가족 단체의 추천을 받은 6명이 위촉됐습니다.
오늘 첫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세칙을 정하고 추모공원 및 기념관 등 추모시설 조성, 추모 행사, 추모재단 설립 등 사업 전반에 관한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김 총리는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위원회가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는 오늘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추모위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하고 책임지는, 공감하는 공동체로 나아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참사 이후 정부는 밀집사고 예방 대책이나 인파 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왔다”면서 “제도 정비만으로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는 차원에서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추모위원회 구성은 지난 1월 ‘이태원 특별법 시행령’의 국무회의 의결에 따른 것으로 김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정부 측 위원으로 참여합니다.
민간위원으로는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상임활동가와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공감 변호사 등 유가족 단체의 추천을 받은 6명이 위촉됐습니다.
오늘 첫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세칙을 정하고 추모공원 및 기념관 등 추모시설 조성, 추모 행사, 추모재단 설립 등 사업 전반에 관한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김 총리는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위원회가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참사 추모위 출범…김 총리 “기억하고 책임지고 바꿀 것”
-
- 입력 2025-08-04 18:04:21
- 수정2025-08-04 18:05:17

정부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추모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공식 추모사업 추진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오늘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추모위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하고 책임지는, 공감하는 공동체로 나아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참사 이후 정부는 밀집사고 예방 대책이나 인파 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왔다”면서 “제도 정비만으로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는 차원에서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추모위원회 구성은 지난 1월 ‘이태원 특별법 시행령’의 국무회의 의결에 따른 것으로 김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정부 측 위원으로 참여합니다.
민간위원으로는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상임활동가와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공감 변호사 등 유가족 단체의 추천을 받은 6명이 위촉됐습니다.
오늘 첫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세칙을 정하고 추모공원 및 기념관 등 추모시설 조성, 추모 행사, 추모재단 설립 등 사업 전반에 관한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김 총리는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위원회가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는 오늘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추모위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하고 책임지는, 공감하는 공동체로 나아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참사 이후 정부는 밀집사고 예방 대책이나 인파 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왔다”면서 “제도 정비만으로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는 차원에서 계속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추모위원회 구성은 지난 1월 ‘이태원 특별법 시행령’의 국무회의 의결에 따른 것으로 김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정부 측 위원으로 참여합니다.
민간위원으로는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상임활동가와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공감 변호사 등 유가족 단체의 추천을 받은 6명이 위촉됐습니다.
오늘 첫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세칙을 정하고 추모공원 및 기념관 등 추모시설 조성, 추모 행사, 추모재단 설립 등 사업 전반에 관한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김 총리는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위원회가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서지영 기자 sjy@kbs.co.kr
서지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태원 참사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