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할 수 있어요”…장애인이 만드는 ‘친환경 현수막’
입력 2025.08.04 (23:32)
수정 2025.08.04 (23: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거리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은 이제 일상의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자체들도 앞다퉈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고 있는데요.
여기에 해당 지역에 사는 장애인을 고용해 의미를 더한 곳이 있습니다.
추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쇄기가 좌우로 움직일 때마다 서서히 글자가 완성됩니다.
10분 만에 6m 길이의 현수막이 탄생합니다.
구청에서 내년도 입시 설명회를 연다는 내용인데, 뇌병변 장애인 김은성 씨가 도안을 그렸습니다.
불편한 팔 대신, 책상 아래 페달을 발로 밟아 컴퓨터 자판을 입력합니다.
장애를 얻은 이후 다시는 일하기 힘들 거라고 생각한 때도 있었습니다.
[김은성/디자이너/뇌병변 장애인 : "전에 아파서 '어떻게 하나, 어떻게 하면 일을 할까' 계속하다가 공부를 하고 '아, 이제 일을 할 수 있겠구나….'"]
이 현수막은 유해 물질이 적게 들어간 친환경 소재로 제작됐습니다.
난립하는 현수막이 '공해' 수준이라는 지적에, 자치단체에서 조례를 제정해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기 시작한 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에 장애인이 참여한 건 처음입니다.
[김경율/직원/발달장애인 : "(현수막 끈이) 이렇게 묶여서 나가는 것도 있고, 제품에 묶여서 (나가기도 하고….) 제가 제작한 게 나가니까 좋죠."]
대부분 이 지역에 사는 뇌병변 장애인과 발달 장애인 등 11명이 일자리를 얻었습니다.
[유기학/노원교육복지재단 '다모인' 원장 : "새로운 모델을 지속적으로 도입해서, 관내에 근로를 희망하는 장애인 분들은 모두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이 제작한 현수막은 관내 친환경 현수막 전용 게시대 33곳에 연말까지 게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 박상욱/영상편집:양다운
거리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은 이제 일상의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자체들도 앞다퉈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고 있는데요.
여기에 해당 지역에 사는 장애인을 고용해 의미를 더한 곳이 있습니다.
추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쇄기가 좌우로 움직일 때마다 서서히 글자가 완성됩니다.
10분 만에 6m 길이의 현수막이 탄생합니다.
구청에서 내년도 입시 설명회를 연다는 내용인데, 뇌병변 장애인 김은성 씨가 도안을 그렸습니다.
불편한 팔 대신, 책상 아래 페달을 발로 밟아 컴퓨터 자판을 입력합니다.
장애를 얻은 이후 다시는 일하기 힘들 거라고 생각한 때도 있었습니다.
[김은성/디자이너/뇌병변 장애인 : "전에 아파서 '어떻게 하나, 어떻게 하면 일을 할까' 계속하다가 공부를 하고 '아, 이제 일을 할 수 있겠구나….'"]
이 현수막은 유해 물질이 적게 들어간 친환경 소재로 제작됐습니다.
난립하는 현수막이 '공해' 수준이라는 지적에, 자치단체에서 조례를 제정해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기 시작한 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에 장애인이 참여한 건 처음입니다.
[김경율/직원/발달장애인 : "(현수막 끈이) 이렇게 묶여서 나가는 것도 있고, 제품에 묶여서 (나가기도 하고….) 제가 제작한 게 나가니까 좋죠."]
대부분 이 지역에 사는 뇌병변 장애인과 발달 장애인 등 11명이 일자리를 얻었습니다.
[유기학/노원교육복지재단 '다모인' 원장 : "새로운 모델을 지속적으로 도입해서, 관내에 근로를 희망하는 장애인 분들은 모두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이 제작한 현수막은 관내 친환경 현수막 전용 게시대 33곳에 연말까지 게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 박상욱/영상편집:양다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도 할 수 있어요”…장애인이 만드는 ‘친환경 현수막’
-
- 입력 2025-08-04 23:32:11
- 수정2025-08-04 23:35:24

[앵커]
거리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은 이제 일상의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자체들도 앞다퉈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고 있는데요.
여기에 해당 지역에 사는 장애인을 고용해 의미를 더한 곳이 있습니다.
추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쇄기가 좌우로 움직일 때마다 서서히 글자가 완성됩니다.
10분 만에 6m 길이의 현수막이 탄생합니다.
구청에서 내년도 입시 설명회를 연다는 내용인데, 뇌병변 장애인 김은성 씨가 도안을 그렸습니다.
불편한 팔 대신, 책상 아래 페달을 발로 밟아 컴퓨터 자판을 입력합니다.
장애를 얻은 이후 다시는 일하기 힘들 거라고 생각한 때도 있었습니다.
[김은성/디자이너/뇌병변 장애인 : "전에 아파서 '어떻게 하나, 어떻게 하면 일을 할까' 계속하다가 공부를 하고 '아, 이제 일을 할 수 있겠구나….'"]
이 현수막은 유해 물질이 적게 들어간 친환경 소재로 제작됐습니다.
난립하는 현수막이 '공해' 수준이라는 지적에, 자치단체에서 조례를 제정해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기 시작한 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에 장애인이 참여한 건 처음입니다.
[김경율/직원/발달장애인 : "(현수막 끈이) 이렇게 묶여서 나가는 것도 있고, 제품에 묶여서 (나가기도 하고….) 제가 제작한 게 나가니까 좋죠."]
대부분 이 지역에 사는 뇌병변 장애인과 발달 장애인 등 11명이 일자리를 얻었습니다.
[유기학/노원교육복지재단 '다모인' 원장 : "새로운 모델을 지속적으로 도입해서, 관내에 근로를 희망하는 장애인 분들은 모두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이 제작한 현수막은 관내 친환경 현수막 전용 게시대 33곳에 연말까지 게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 박상욱/영상편집:양다운
거리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은 이제 일상의 골칫거리가 됐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자체들도 앞다퉈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고 있는데요.
여기에 해당 지역에 사는 장애인을 고용해 의미를 더한 곳이 있습니다.
추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쇄기가 좌우로 움직일 때마다 서서히 글자가 완성됩니다.
10분 만에 6m 길이의 현수막이 탄생합니다.
구청에서 내년도 입시 설명회를 연다는 내용인데, 뇌병변 장애인 김은성 씨가 도안을 그렸습니다.
불편한 팔 대신, 책상 아래 페달을 발로 밟아 컴퓨터 자판을 입력합니다.
장애를 얻은 이후 다시는 일하기 힘들 거라고 생각한 때도 있었습니다.
[김은성/디자이너/뇌병변 장애인 : "전에 아파서 '어떻게 하나, 어떻게 하면 일을 할까' 계속하다가 공부를 하고 '아, 이제 일을 할 수 있겠구나….'"]
이 현수막은 유해 물질이 적게 들어간 친환경 소재로 제작됐습니다.
난립하는 현수막이 '공해' 수준이라는 지적에, 자치단체에서 조례를 제정해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기 시작한 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에 장애인이 참여한 건 처음입니다.
[김경율/직원/발달장애인 : "(현수막 끈이) 이렇게 묶여서 나가는 것도 있고, 제품에 묶여서 (나가기도 하고….) 제가 제작한 게 나가니까 좋죠."]
대부분 이 지역에 사는 뇌병변 장애인과 발달 장애인 등 11명이 일자리를 얻었습니다.
[유기학/노원교육복지재단 '다모인' 원장 : "새로운 모델을 지속적으로 도입해서, 관내에 근로를 희망하는 장애인 분들은 모두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장애인들이 제작한 현수막은 관내 친환경 현수막 전용 게시대 33곳에 연말까지 게시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촬영기자:안민식 박상욱/영상편집:양다운
-
-
추재훈 기자 mr.chu@kbs.co.kr
추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