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봉 의장 “의회가 행정체제 도민 의견 조사”
입력 2025.08.05 (19:08)
수정 2025.08.05 (19: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항을 겪고 있는 제주형 행정체제개편 문제 해결을 위해 도의회가 직접 도민 의견 수렴에 나섭니다.
이상봉 도의회 의장은 오늘 제441회 임시회 개회사를 통해 행정체제개편이 이른바 제주시 쪼개기 논란으로 좌초 위기에 놓여있다며, 제주시를 동제주와 서제주로 나눌지 말지 여부를, 의회가 주체가 돼 도민 여론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도의회는 이달 14일까지 열흘 일정으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당초 예산보다 3천9백억 원 가량 더 늘어난 제2회 추경 예산안과 안건 등을 심사하게 됩니다.
[이상봉/제주도의회 의장 : "모든 일에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이 모든 과정은, 8월 내에 마무리되어야 합니다. 제주도정 또한 도민적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줄 것을 당부드립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민들이 최종 선택한 공감하고 합의할 수 있는 하나의 안을 중앙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길을 찾아 나가겠습니다."]
이상봉 도의회 의장은 오늘 제441회 임시회 개회사를 통해 행정체제개편이 이른바 제주시 쪼개기 논란으로 좌초 위기에 놓여있다며, 제주시를 동제주와 서제주로 나눌지 말지 여부를, 의회가 주체가 돼 도민 여론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도의회는 이달 14일까지 열흘 일정으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당초 예산보다 3천9백억 원 가량 더 늘어난 제2회 추경 예산안과 안건 등을 심사하게 됩니다.
[이상봉/제주도의회 의장 : "모든 일에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이 모든 과정은, 8월 내에 마무리되어야 합니다. 제주도정 또한 도민적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줄 것을 당부드립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민들이 최종 선택한 공감하고 합의할 수 있는 하나의 안을 중앙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길을 찾아 나가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상봉 의장 “의회가 행정체제 도민 의견 조사”
-
- 입력 2025-08-05 19:08:46
- 수정2025-08-05 19:27:22

난항을 겪고 있는 제주형 행정체제개편 문제 해결을 위해 도의회가 직접 도민 의견 수렴에 나섭니다.
이상봉 도의회 의장은 오늘 제441회 임시회 개회사를 통해 행정체제개편이 이른바 제주시 쪼개기 논란으로 좌초 위기에 놓여있다며, 제주시를 동제주와 서제주로 나눌지 말지 여부를, 의회가 주체가 돼 도민 여론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도의회는 이달 14일까지 열흘 일정으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당초 예산보다 3천9백억 원 가량 더 늘어난 제2회 추경 예산안과 안건 등을 심사하게 됩니다.
[이상봉/제주도의회 의장 : "모든 일에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이 모든 과정은, 8월 내에 마무리되어야 합니다. 제주도정 또한 도민적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줄 것을 당부드립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민들이 최종 선택한 공감하고 합의할 수 있는 하나의 안을 중앙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길을 찾아 나가겠습니다."]
이상봉 도의회 의장은 오늘 제441회 임시회 개회사를 통해 행정체제개편이 이른바 제주시 쪼개기 논란으로 좌초 위기에 놓여있다며, 제주시를 동제주와 서제주로 나눌지 말지 여부를, 의회가 주체가 돼 도민 여론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도의회는 이달 14일까지 열흘 일정으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당초 예산보다 3천9백억 원 가량 더 늘어난 제2회 추경 예산안과 안건 등을 심사하게 됩니다.
[이상봉/제주도의회 의장 : "모든 일에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이 모든 과정은, 8월 내에 마무리되어야 합니다. 제주도정 또한 도민적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줄 것을 당부드립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민들이 최종 선택한 공감하고 합의할 수 있는 하나의 안을 중앙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길을 찾아 나가겠습니다."]
-
-
강정훈 기자 dagajew@kbs.co.kr
강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