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보복 관세에 인도 총리 “농업 양보 안 해”

입력 2025.08.07 (16:21) 수정 2025.08.07 (16: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복성 관세 공격의 타깃이 된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향후 미국과 무역 협상 때 핵심 쟁점인 농업 분야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현지 시각 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모디 총리는 이날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행사에서 “우리는 농민 복지가 최우선”이라며 “인도는 농민, 유제품 산업, 어민 복지를 결코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는 개인적으로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모디 총리의 언급은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이 25% 국가별 관세(상호 관세)에 25%를 더한 보복성 추가 관세를 3주 후부터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겠다고 밝힌 뒤 나온 첫 발언입니다.

모디 총리가 미국 관세나 무역 협상과 관련한 내용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양국 협상의 주요 쟁점인 농산물과 유제품 분야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도 입장에서 미국산 농산물과 유제품 등에 부과하는 관세를 대폭 낮추면 모디 정부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 생계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도에서 농업은 전체 인구의 약 42%가 생계를 의존하는 분야입니다.

인도 외교부의 경제 관계 담당 차관보인 다무 라비는 취재진에 “미국의 관세 인상은 논리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며 “일시적 문제이고 시간이 지나면 세계가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상호 관세 26%를 부과했고 이후 양국은 5차례 협상을 했지만,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미국산 농산물과 유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인하하는 문제와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인도가 중단하는 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이면서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습니다.

지난해 미국은 인도와 무역에서 45억 8천 달러(약 6조 2천300억 원)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석유 거래를 강하게 비판하며 국가별 상호 관세 25%뿐만 아니라 별도 제재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인도는 현재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원유 수입국이며 러시아에서 전체 원유의 38%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보복 관세에 인도 총리 “농업 양보 안 해”
    • 입력 2025-08-07 16:21:30
    • 수정2025-08-07 16:24:06
    국제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복성 관세 공격의 타깃이 된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향후 미국과 무역 협상 때 핵심 쟁점인 농업 분야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현지 시각 7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모디 총리는 이날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행사에서 “우리는 농민 복지가 최우선”이라며 “인도는 농민, 유제품 산업, 어민 복지를 결코 양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나는 개인적으로 그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모디 총리의 언급은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이 25% 국가별 관세(상호 관세)에 25%를 더한 보복성 추가 관세를 3주 후부터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겠다고 밝힌 뒤 나온 첫 발언입니다.

모디 총리가 미국 관세나 무역 협상과 관련한 내용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양국 협상의 주요 쟁점인 농산물과 유제품 분야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도 입장에서 미국산 농산물과 유제품 등에 부과하는 관세를 대폭 낮추면 모디 정부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 생계가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도에서 농업은 전체 인구의 약 42%가 생계를 의존하는 분야입니다.

인도 외교부의 경제 관계 담당 차관보인 다무 라비는 취재진에 “미국의 관세 인상은 논리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며 “일시적 문제이고 시간이 지나면 세계가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상호 관세 26%를 부과했고 이후 양국은 5차례 협상을 했지만,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미국산 농산물과 유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인하하는 문제와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인도가 중단하는 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이면서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습니다.

지난해 미국은 인도와 무역에서 45억 8천 달러(약 6조 2천300억 원)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인도와 러시아의 석유 거래를 강하게 비판하며 국가별 상호 관세 25%뿐만 아니라 별도 제재도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인도는 현재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원유 수입국이며 러시아에서 전체 원유의 38%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