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동결자금 수익’ 3차 지원금 3조원 전달
입력 2025.08.11 (20:38)
수정 2025.08.11 (2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EU) 행정부인 집행위원회가 러시아 동결자산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금 16억 유로(약 3조원)를 우크라이나에 전달했다고 현지시각 11일 밝혔습니다.
이번 지원금은 지난해 7월과 올해 4월에 이은 3차 집행분입니다.
집행위는 “이번 조치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계속해서 우크라이나와 함께하겠다는 EU의 변함없는 약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7개국(G7)과 EU, 호주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대러시아 제재의 하나로 각국에 예치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을 동결했습니다.
전체 규모는 2,600억 유로(약 421조원)에 달합니다.
이 중 78%가량이 EU 역내 중앙예탁기관(CSD)에 묶여 있습니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미국을 포함한 G7과 EU는 러시아 동결자산 원금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금을 담보로 총 450억 유로(약 73조원)를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자금으로 활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참여국이 각자 예산으로 우크라이나에 대출하고 러시아 동결자산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상환받는 방식입니다.
EU의 경우 합의한 450억 유로 가운데 180억 유로를 부담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번 지원금은 지난해 7월과 올해 4월에 이은 3차 집행분입니다.
집행위는 “이번 조치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계속해서 우크라이나와 함께하겠다는 EU의 변함없는 약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7개국(G7)과 EU, 호주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대러시아 제재의 하나로 각국에 예치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을 동결했습니다.
전체 규모는 2,600억 유로(약 421조원)에 달합니다.
이 중 78%가량이 EU 역내 중앙예탁기관(CSD)에 묶여 있습니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미국을 포함한 G7과 EU는 러시아 동결자산 원금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금을 담보로 총 450억 유로(약 73조원)를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자금으로 활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참여국이 각자 예산으로 우크라이나에 대출하고 러시아 동결자산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상환받는 방식입니다.
EU의 경우 합의한 450억 유로 가운데 180억 유로를 부담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U,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동결자금 수익’ 3차 지원금 3조원 전달
-
- 입력 2025-08-11 20:38:45
- 수정2025-08-11 20:46:05

유럽연합(EU) 행정부인 집행위원회가 러시아 동결자산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금 16억 유로(약 3조원)를 우크라이나에 전달했다고 현지시각 11일 밝혔습니다.
이번 지원금은 지난해 7월과 올해 4월에 이은 3차 집행분입니다.
집행위는 “이번 조치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계속해서 우크라이나와 함께하겠다는 EU의 변함없는 약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7개국(G7)과 EU, 호주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대러시아 제재의 하나로 각국에 예치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을 동결했습니다.
전체 규모는 2,600억 유로(약 421조원)에 달합니다.
이 중 78%가량이 EU 역내 중앙예탁기관(CSD)에 묶여 있습니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미국을 포함한 G7과 EU는 러시아 동결자산 원금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금을 담보로 총 450억 유로(약 73조원)를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자금으로 활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참여국이 각자 예산으로 우크라이나에 대출하고 러시아 동결자산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상환받는 방식입니다.
EU의 경우 합의한 450억 유로 가운데 180억 유로를 부담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번 지원금은 지난해 7월과 올해 4월에 이은 3차 집행분입니다.
집행위는 “이번 조치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계속해서 우크라이나와 함께하겠다는 EU의 변함없는 약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7개국(G7)과 EU, 호주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대러시아 제재의 하나로 각국에 예치된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을 동결했습니다.
전체 규모는 2,600억 유로(약 421조원)에 달합니다.
이 중 78%가량이 EU 역내 중앙예탁기관(CSD)에 묶여 있습니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미국을 포함한 G7과 EU는 러시아 동결자산 원금은 건드리지 않으면서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금을 담보로 총 450억 유로(약 73조원)를 우크라이나 군사원조 자금으로 활용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참여국이 각자 예산으로 우크라이나에 대출하고 러시아 동결자산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상환받는 방식입니다.
EU의 경우 합의한 450억 유로 가운데 180억 유로를 부담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