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모집 시작됐지만…‘갈등의 골’ 여전

입력 2025.08.11 (21:39) 수정 2025.08.11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1일)부터 전국 수련병원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시작했습니다.

만 3천여 명을 뽑는데, 그동안 병원을 지켜온 교수와 간호사들은 속내가 복잡합니다.

여전한 갈등의 골을 어떻게 봉합하느냐가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진선민 기잡니다.

[리포트]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에 따라 전국 수련병원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들어갔습니다.

사직 전공의 1만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벌써부터 의료 현장에선 진통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전국 병원의 PA 간호사는 만 8천여 명.

그동안 전공의 업무를 대신해 온 PA 간호사들과 복귀 전공의들의 업무 배분이 아직 안갯속입니다.

[대학병원 PA 간호사/음성변조 : "아무것도 지금 정리된 게 없어요. 업무 정리를 어떻게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다들 하시니까…."]

[복귀 전공의/음성변조 : "저는 깜짝 놀랐어요. (PA 간호사들이) 이 정도로 할 수가 있구나. 특히 내과 계신 분은 거의 (전공의) 2년 차 정도의…."]

병원 입장에선 전공의들이 복귀하면 인건비 부담도 늘게 됩니다.

[대학병원 교수/음성변조 : "PA(간호사)까지 충원을 했는데 (전공의들한테) 인건비가 또 나가잖아요. 운영자 입장으로서 일부 푸념을 하는 거지 그렇다고 제자들을 안 받을 수가 있나요."]

의정 갈등 1년 6개월, 제자이자 후배인 전공의들부터 손가락질을 당하면서 마음의 상처도 컸습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선 투쟁을 주도한 특정 전공의 복귀를 반대하는 기류까지 포착되고 있습니다.

[A의과대학 교수 : "앙금이 서로 남아 있는 부분은 어쩔 수가 없죠. 분위기 자체가 대학 병원에 남는 사람들을 제대로 교육하지, 어차피 떠날 전공의를 교육할 의사는 별로 없다…."]

이번에도 지역이나 필수 의료 분야에선 전공의 지원율이 저조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환자단체는 전공의들이 다시 집단행동에 나설 수 있다며 환자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강정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공의 모집 시작됐지만…‘갈등의 골’ 여전
    • 입력 2025-08-11 21:39:07
    • 수정2025-08-11 21:47:00
    뉴스 9
[앵커]

오늘(11일)부터 전국 수련병원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시작했습니다.

만 3천여 명을 뽑는데, 그동안 병원을 지켜온 교수와 간호사들은 속내가 복잡합니다.

여전한 갈등의 골을 어떻게 봉합하느냐가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진선민 기잡니다.

[리포트]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에 따라 전국 수련병원들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들어갔습니다.

사직 전공의 1만여 명 가운데 상당수가 지원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벌써부터 의료 현장에선 진통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전국 병원의 PA 간호사는 만 8천여 명.

그동안 전공의 업무를 대신해 온 PA 간호사들과 복귀 전공의들의 업무 배분이 아직 안갯속입니다.

[대학병원 PA 간호사/음성변조 : "아무것도 지금 정리된 게 없어요. 업무 정리를 어떻게 할지는 아직 모르겠다고 다들 하시니까…."]

[복귀 전공의/음성변조 : "저는 깜짝 놀랐어요. (PA 간호사들이) 이 정도로 할 수가 있구나. 특히 내과 계신 분은 거의 (전공의) 2년 차 정도의…."]

병원 입장에선 전공의들이 복귀하면 인건비 부담도 늘게 됩니다.

[대학병원 교수/음성변조 : "PA(간호사)까지 충원을 했는데 (전공의들한테) 인건비가 또 나가잖아요. 운영자 입장으로서 일부 푸념을 하는 거지 그렇다고 제자들을 안 받을 수가 있나요."]

의정 갈등 1년 6개월, 제자이자 후배인 전공의들부터 손가락질을 당하면서 마음의 상처도 컸습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선 투쟁을 주도한 특정 전공의 복귀를 반대하는 기류까지 포착되고 있습니다.

[A의과대학 교수 : "앙금이 서로 남아 있는 부분은 어쩔 수가 없죠. 분위기 자체가 대학 병원에 남는 사람들을 제대로 교육하지, 어차피 떠날 전공의를 교육할 의사는 별로 없다…."]

이번에도 지역이나 필수 의료 분야에선 전공의 지원율이 저조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환자단체는 전공의들이 다시 집단행동에 나설 수 있다며 환자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진선민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강정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