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량 개선 극조생종 벼’ 개발…“식량부족 원조국에 지원”

입력 2025.08.11 (21:47) 수정 2025.08.11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존 쌀 품종보다 빨리 자라고, 수확량은 30% 정도 많은 극조생종 벼를 국내 대학이 개발했습니다.

식량이 부족한 해외 저개발 국가를 돕는데 쓸 계획이라고 합니다.

김민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드넓은 황금빛 들녘이 바람에 일렁입니다.

빼곡하게 영근 알곡은 수확의 계절을 앞당긴 듯합니다.

부지런히 벼베기에 나선 농부는 힘든 것도 잊습니다.

[한태희/농부 : "날씨가 걱정이었는데 수확하게 돼서 마음이 뿌듯합니다."]

이 벼는 국내 한 대학이 개발한 '극조생종 다수확' 품종입니다.

모내기를 하고 석 달 정도 지나면 수확할 수 있어 기존 조생종과 비교해 한 달가량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수확량도 30% 정도 많다고 대학 측은 설명했습니다.

벼 생육기간이 짧을수록 논에 다른 작물을 심을 수도 있어 농지 활용에도 유리합니다.

[김태완/한경국립대 식물생태화학연구소장 : "대체로 조생종 품종은 생육 시기는 짧지만 수량이 떨어지는 이런 경향이 있습니다. 400kg 내지 450kg 정도밖에는 안 되는데 이번에 개발한 품종은 300평당 600kg이 넘는…"]

특히, 이 품종은 기존 품종을 개량한 것이 아닌 야생 볍씨를 수집해 육성한 것이어서 종자 개발과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원희/한경국립대학교 총장 : "개발도상국과 기술 협력을 많이 하고 있는데 개발도상국의 식량 자급자족에도 지원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학 측은 병충해 저항성 등을 추가로 연구한 뒤 정식 품종 등록을 거쳐 해외 식량 원조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민아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김민섭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확량 개선 극조생종 벼’ 개발…“식량부족 원조국에 지원”
    • 입력 2025-08-11 21:47:00
    • 수정2025-08-11 21:53:54
    뉴스 9
[앵커]

기존 쌀 품종보다 빨리 자라고, 수확량은 30% 정도 많은 극조생종 벼를 국내 대학이 개발했습니다.

식량이 부족한 해외 저개발 국가를 돕는데 쓸 계획이라고 합니다.

김민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드넓은 황금빛 들녘이 바람에 일렁입니다.

빼곡하게 영근 알곡은 수확의 계절을 앞당긴 듯합니다.

부지런히 벼베기에 나선 농부는 힘든 것도 잊습니다.

[한태희/농부 : "날씨가 걱정이었는데 수확하게 돼서 마음이 뿌듯합니다."]

이 벼는 국내 한 대학이 개발한 '극조생종 다수확' 품종입니다.

모내기를 하고 석 달 정도 지나면 수확할 수 있어 기존 조생종과 비교해 한 달가량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수확량도 30% 정도 많다고 대학 측은 설명했습니다.

벼 생육기간이 짧을수록 논에 다른 작물을 심을 수도 있어 농지 활용에도 유리합니다.

[김태완/한경국립대 식물생태화학연구소장 : "대체로 조생종 품종은 생육 시기는 짧지만 수량이 떨어지는 이런 경향이 있습니다. 400kg 내지 450kg 정도밖에는 안 되는데 이번에 개발한 품종은 300평당 600kg이 넘는…"]

특히, 이 품종은 기존 품종을 개량한 것이 아닌 야생 볍씨를 수집해 육성한 것이어서 종자 개발과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원희/한경국립대학교 총장 : "개발도상국과 기술 협력을 많이 하고 있는데 개발도상국의 식량 자급자족에도 지원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대학 측은 병충해 저항성 등을 추가로 연구한 뒤 정식 품종 등록을 거쳐 해외 식량 원조 사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민아입니다.

촬영기자:김현민/영상편집:김민섭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