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 협상? 평화 안올 것”…우크라 전선에선 회의론

입력 2025.08.12 (02:57) 수정 2025.08.12 (02: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휴전과 관련한 미국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을 앞뒀지만, 우크라이나 전방은 평화와는 전혀 동떨어진 분위기라고 AP 통신이 현지시각 11일 보도했습니다.

전선의 우크라이나 병사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휴전을 중재하고 나선 지 몇 개월이 지나도록 결과는 나타나지 않자 오는 15일 알래스카 회담에 대해서도 회의적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영토 교환'을 언급하고 주요 외신은 동부 도네츠크주 전체를 러시아에 내주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이 지역의 장병들 사이에서는 혼란과 거부감이 일고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상당수 군인은 휴전 협상이 되더라도 전쟁 종식은 없이 러시아가 잠깐 전투를 멈추고 전열을 재정비한 뒤 더 큰 공세를 재개하게 될 것으로 봤습니다.

제148여단의 병사 드미트로 로비니우코우는 "최소한 지금의 교전이 중단되면 어떤 형태로든 합의가 나왔다는 첫 징후가 될 것"이라며 "하지만 현재로선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병사들이 회의론에 빠진 이유 중 하나는 러시아가 협상 중일 때 최전선에서는 오히려 공세를 더욱 강화해 왔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해 휴전 아니면 제재를 경고했던 시한(8월 8일) 직전 러시아군은 몇 시간에 걸쳐 포격을 퍼부었습니다.

실제로 미·러 정상의 알래스카 회담이 결정된 이후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동부 공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자국군의 적극적인 작전으로 도네츠크 페도리우카 마을을 추가로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제68여단의 미르츠헤는 협상 소식이 나올 때마다 포크로우스크 인근에서 러시아의 적대행위는 더 거세진다면서 "평화 협상이 시작될 때마다 전선은 더 무서워진다"고 토로했습니다.

제59여단의 지휘관인 세르히 필리모노우도 종전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면서 포크로우스크를 둘러싼 전투에서 부대의 전열을 갖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분투하는 상황에 현재 회담과 관련해 오가는 뉴스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 러시아가 멈출 것이라는 환상은 없다"며 "휴전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평화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선에서 45㎞ 떨어진 곳에서 훈련 중인 우크라이나 병사 콤라드도 전쟁이 곧 끝날 것이라는 기대는 없다면서 "물러설 곳이 없다는 생각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휴전 협상? 평화 안올 것”…우크라 전선에선 회의론
    • 입력 2025-08-12 02:57:19
    • 수정2025-08-12 02:57:42
    국제
우크라이나 휴전과 관련한 미국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을 앞뒀지만, 우크라이나 전방은 평화와는 전혀 동떨어진 분위기라고 AP 통신이 현지시각 11일 보도했습니다.

전선의 우크라이나 병사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휴전을 중재하고 나선 지 몇 개월이 지나도록 결과는 나타나지 않자 오는 15일 알래스카 회담에 대해서도 회의적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영토 교환'을 언급하고 주요 외신은 동부 도네츠크주 전체를 러시아에 내주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이 지역의 장병들 사이에서는 혼란과 거부감이 일고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상당수 군인은 휴전 협상이 되더라도 전쟁 종식은 없이 러시아가 잠깐 전투를 멈추고 전열을 재정비한 뒤 더 큰 공세를 재개하게 될 것으로 봤습니다.

제148여단의 병사 드미트로 로비니우코우는 "최소한 지금의 교전이 중단되면 어떤 형태로든 합의가 나왔다는 첫 징후가 될 것"이라며 "하지만 현재로선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병사들이 회의론에 빠진 이유 중 하나는 러시아가 협상 중일 때 최전선에서는 오히려 공세를 더욱 강화해 왔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향해 휴전 아니면 제재를 경고했던 시한(8월 8일) 직전 러시아군은 몇 시간에 걸쳐 포격을 퍼부었습니다.

실제로 미·러 정상의 알래스카 회담이 결정된 이후에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동부 공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자국군의 적극적인 작전으로 도네츠크 페도리우카 마을을 추가로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제68여단의 미르츠헤는 협상 소식이 나올 때마다 포크로우스크 인근에서 러시아의 적대행위는 더 거세진다면서 "평화 협상이 시작될 때마다 전선은 더 무서워진다"고 토로했습니다.

제59여단의 지휘관인 세르히 필리모노우도 종전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면서 포크로우스크를 둘러싼 전투에서 부대의 전열을 갖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분투하는 상황에 현재 회담과 관련해 오가는 뉴스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 러시아가 멈출 것이라는 환상은 없다"며 "휴전이 있을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평화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선에서 45㎞ 떨어진 곳에서 훈련 중인 우크라이나 병사 콤라드도 전쟁이 곧 끝날 것이라는 기대는 없다면서 "물러설 곳이 없다는 생각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