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캐나다산 유채씨·할로겐화부틸고무에 임시 반덤핑 조치

입력 2025.08.12 (17:56) 수정 2025.08.12 (18: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12일 캐나다산 유채씨와 할로겐화부틸고무, 일본산 할로겐화부틸고무를 대상으로 잠정 덤핑 판정을 내리고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게재한 반덤핑 조사 예비판정 고시문에서 "조사 결과 캐나다산 유채씨에 덤핑이 있어 중국 내 해당 산업에 실질적 피해가 발생했으며, 덤핑과 피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초기 판단을 내렸다"며 관련 규정에 따라 보증금 형태로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4일부터 캐나다산 유채씨를 수입할 때 수입업자는 75.8%의 보증금을 중국 세관에 내야 합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알루미늄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같은 해 9월 캐나다산 유채씨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습니다.

유채씨는 카놀라유 원료로 캐나다가 최대 수출국 중 하나이며, 중국은 캐나다산 유채씨의 주요 수입국입니다.

이와 함께 중국 상무부는 이날 캐나다·일본·인도산 할로겐화부틸고무 반덤핑 조사 예비판정 결과도 발표했습니다.

상무부는 캐나다산과 일본산 수입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덤핑이 있어 국내 산업에 피해를 야기했다며 14일부터 캐나다산에는 26.2∼40.5%, 일본산에는 13.8∼30.1%의 보증금을 각각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인도산 할로겐화부틸고무는 수입량이 미미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반덤핑 조사를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할로겐화부틸고무는 튜브가 없는 튜브리스타이어와 약병 마개, 충격 방지 패드, 접착제 등 제품 소재로 사용됩니다.

중국은 지난해 9월부터 이들 3개국에서 수입하는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진행해왔습니다.

상무부는 또한 관련 업계 신청에 따라 캐나다산 완두콩 전분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이날부터 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는 향후 1년간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 6개월 연장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 캐나다 관계는 2018년 12월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이 미국 요청에 따라 밴쿠버에서 체포된 사건 이후 악화했습니다.

2023년에는 중국이 중국계 캐나다 정치인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서로 상대국 외교관을 추방하며 갈등이 격화했고, 지난해부터 주고받은 맞불 관세와 중국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캐나다인 4명의 올해 사형 집행 등으로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캐나다산 유채씨·할로겐화부틸고무에 임시 반덤핑 조치
    • 입력 2025-08-12 17:56:08
    • 수정2025-08-12 18:01:11
    국제
중국 상무부는 12일 캐나다산 유채씨와 할로겐화부틸고무, 일본산 할로겐화부틸고무를 대상으로 잠정 덤핑 판정을 내리고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게재한 반덤핑 조사 예비판정 고시문에서 "조사 결과 캐나다산 유채씨에 덤핑이 있어 중국 내 해당 산업에 실질적 피해가 발생했으며, 덤핑과 피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초기 판단을 내렸다"며 관련 규정에 따라 보증금 형태로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14일부터 캐나다산 유채씨를 수입할 때 수입업자는 75.8%의 보증금을 중국 세관에 내야 합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캐나다가 중국산 전기차에 100%, 철강·알루미늄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같은 해 9월 캐나다산 유채씨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습니다.

유채씨는 카놀라유 원료로 캐나다가 최대 수출국 중 하나이며, 중국은 캐나다산 유채씨의 주요 수입국입니다.

이와 함께 중국 상무부는 이날 캐나다·일본·인도산 할로겐화부틸고무 반덤핑 조사 예비판정 결과도 발표했습니다.

상무부는 캐나다산과 일본산 수입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덤핑이 있어 국내 산업에 피해를 야기했다며 14일부터 캐나다산에는 26.2∼40.5%, 일본산에는 13.8∼30.1%의 보증금을 각각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인도산 할로겐화부틸고무는 수입량이 미미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반덤핑 조사를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할로겐화부틸고무는 튜브가 없는 튜브리스타이어와 약병 마개, 충격 방지 패드, 접착제 등 제품 소재로 사용됩니다.

중국은 지난해 9월부터 이들 3개국에서 수입하는 할로겐화부틸고무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진행해왔습니다.

상무부는 또한 관련 업계 신청에 따라 캐나다산 완두콩 전분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이날부터 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는 향후 1년간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 6개월 연장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 캐나다 관계는 2018년 12월 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의 멍완저우 부회장이 미국 요청에 따라 밴쿠버에서 체포된 사건 이후 악화했습니다.

2023년에는 중국이 중국계 캐나다 정치인을 사찰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서로 상대국 외교관을 추방하며 갈등이 격화했고, 지난해부터 주고받은 맞불 관세와 중국에서 사형선고를 받은 캐나다인 4명의 올해 사형 집행 등으로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