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관세 맞은’ 남아공 “미국에 무역협상 수정안 제출”
입력 2025.08.12 (18:51)
수정 2025.08.12 (18: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외교적 불화를 겪는 와중에 ‘30% 관세 폭탄’을 맞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가 미국 측에 관세 인하를 위한 무역 협상 수정안을 제출하기로 했습니다.
파크스 타우 남아공 통상산업경제부 장관은 12일(현지시간) 프리토리아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내각이 미국과 무역 협상 기반이 될 수정된 제안을 제출하도록 승인했다”며 이같이 밝히고 “오늘 중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타우 장관은 “새로운 제안은 지난 5월 제출된 이전 제안을 기반으로 하며 미국이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서 제기한 문제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일부 위생·식물 검역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새 제안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남아공은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구매와 미국 산업에 33억 달러(약 4조6천억원) 투자 등의 제안을 토대로 지난 5월부터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무위에 그쳤고, 지난 7일부터 30%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습니다.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관세율입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남아공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으로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은 자동차, 철강 제품, 감귤류 등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로 특히 농업과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며 일자리 10만 개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에 남아공은 수출 다변화로 대응하면서도 미국과 관세 인하를 위한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악화일로로 치달은 양국 관계를 감안할 때 합의가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파크스 타우 남아공 통상산업경제부 장관은 12일(현지시간) 프리토리아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내각이 미국과 무역 협상 기반이 될 수정된 제안을 제출하도록 승인했다”며 이같이 밝히고 “오늘 중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타우 장관은 “새로운 제안은 지난 5월 제출된 이전 제안을 기반으로 하며 미국이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서 제기한 문제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일부 위생·식물 검역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새 제안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남아공은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구매와 미국 산업에 33억 달러(약 4조6천억원) 투자 등의 제안을 토대로 지난 5월부터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무위에 그쳤고, 지난 7일부터 30%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습니다.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관세율입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남아공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으로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은 자동차, 철강 제품, 감귤류 등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로 특히 농업과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며 일자리 10만 개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에 남아공은 수출 다변화로 대응하면서도 미국과 관세 인하를 위한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악화일로로 치달은 양국 관계를 감안할 때 합의가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 관세 맞은’ 남아공 “미국에 무역협상 수정안 제출”
-
- 입력 2025-08-12 18:51:51
- 수정2025-08-12 18:55:46

미국과 외교적 불화를 겪는 와중에 ‘30% 관세 폭탄’을 맞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가 미국 측에 관세 인하를 위한 무역 협상 수정안을 제출하기로 했습니다.
파크스 타우 남아공 통상산업경제부 장관은 12일(현지시간) 프리토리아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내각이 미국과 무역 협상 기반이 될 수정된 제안을 제출하도록 승인했다”며 이같이 밝히고 “오늘 중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타우 장관은 “새로운 제안은 지난 5월 제출된 이전 제안을 기반으로 하며 미국이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서 제기한 문제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일부 위생·식물 검역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새 제안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남아공은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구매와 미국 산업에 33억 달러(약 4조6천억원) 투자 등의 제안을 토대로 지난 5월부터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무위에 그쳤고, 지난 7일부터 30%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습니다.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관세율입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남아공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으로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은 자동차, 철강 제품, 감귤류 등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로 특히 농업과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며 일자리 10만 개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에 남아공은 수출 다변화로 대응하면서도 미국과 관세 인하를 위한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악화일로로 치달은 양국 관계를 감안할 때 합의가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파크스 타우 남아공 통상산업경제부 장관은 12일(현지시간) 프리토리아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내각이 미국과 무역 협상 기반이 될 수정된 제안을 제출하도록 승인했다”며 이같이 밝히고 “오늘 중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타우 장관은 “새로운 제안은 지난 5월 제출된 이전 제안을 기반으로 하며 미국이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서 제기한 문제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면서 일부 위생·식물 검역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새 제안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남아공은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구매와 미국 산업에 33억 달러(약 4조6천억원) 투자 등의 제안을 토대로 지난 5월부터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무위에 그쳤고, 지난 7일부터 30%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습니다.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관세율입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남아공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으로 미국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은 자동차, 철강 제품, 감귤류 등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로 특히 농업과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며 일자리 10만 개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에 남아공은 수출 다변화로 대응하면서도 미국과 관세 인하를 위한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악화일로로 치달은 양국 관계를 감안할 때 합의가 쉽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서영민 기자 seo0177@gmail.com
서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