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장관 “대북 ‘유화책’ 표현은 부정확…정상화·안정화 조치”

입력 2025.08.12 (19:40) 수정 2025.08.12 (2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단행한 전단 살포 중지와 확성기 철거 등 조치에 대해 “대북 ‘유화책’이 아니라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정상화’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오늘(12일) 정부서울청사 장관실에서 열린 ‘경협·교역·금강산기업단체 면담’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선제 조치들을) 대북 유화책이라고 쓰는 언론이 많은데 정확한 표현이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백낙청 선생은 지난 3년을 변칙적 사태, 변칙적 정권이라고 했는데 내치만 변칙적으로 한 게 아니라 남북관계도 완전히 변칙적으로 파괴했다”며 새 정부의 조치들은 “비정상 상태를 정상으로 돌리고자 하는 정상화, 안정화, 신뢰구축 조치”라고 강조했습니다.

면담에서 정 장관은 중단된 지 만 17년이 지난 금강산 관광을 거론하며 “경협사업 참여가 결과적으로 물적, 심적 피해와 고통으로 돌아온 데 대해 안타깝고 송구하다”며 기업인들을 위로했습니다.

그러면서 “금강산 관광이 지속됐더라면 올여름 (북한의) 원산갈마지구 개장과 더불어 한반도 풍경이 달랐을 거라는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거 남쪽 정권을 향해 ‘강 대 강, 선 대 선’ 방침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며 “북한은 자신들을 적으로 삼고 선제타격 운운하고 붕괴론과 흡수통일을 앞세우는 정권에는 강 대 강으로 맞섰지만 상대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선한 조치로 나가면 우리에게 선하게 응대할 것”이라고 낙관했습니다.

이날 면담에는 금강산기업협회, 금강산투자기업협회, 남북경제협력연구소, 남북경제협력협회, 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 등 경협·교역·금강산 기업단체 대표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개성공단 가동 전에 북한에 투자한 기업들이 보험 등 제도 미비로 큰 손실을 봤다며 이제라도 제대로 보상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동영 통일부장관 “대북 ‘유화책’ 표현은 부정확…정상화·안정화 조치”
    • 입력 2025-08-12 19:40:36
    • 수정2025-08-12 20:01:42
    정치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단행한 전단 살포 중지와 확성기 철거 등 조치에 대해 “대북 ‘유화책’이 아니라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정상화’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오늘(12일) 정부서울청사 장관실에서 열린 ‘경협·교역·금강산기업단체 면담’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선제 조치들을) 대북 유화책이라고 쓰는 언론이 많은데 정확한 표현이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백낙청 선생은 지난 3년을 변칙적 사태, 변칙적 정권이라고 했는데 내치만 변칙적으로 한 게 아니라 남북관계도 완전히 변칙적으로 파괴했다”며 새 정부의 조치들은 “비정상 상태를 정상으로 돌리고자 하는 정상화, 안정화, 신뢰구축 조치”라고 강조했습니다.

면담에서 정 장관은 중단된 지 만 17년이 지난 금강산 관광을 거론하며 “경협사업 참여가 결과적으로 물적, 심적 피해와 고통으로 돌아온 데 대해 안타깝고 송구하다”며 기업인들을 위로했습니다.

그러면서 “금강산 관광이 지속됐더라면 올여름 (북한의) 원산갈마지구 개장과 더불어 한반도 풍경이 달랐을 거라는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거 남쪽 정권을 향해 ‘강 대 강, 선 대 선’ 방침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며 “북한은 자신들을 적으로 삼고 선제타격 운운하고 붕괴론과 흡수통일을 앞세우는 정권에는 강 대 강으로 맞섰지만 상대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선한 조치로 나가면 우리에게 선하게 응대할 것”이라고 낙관했습니다.

이날 면담에는 금강산기업협회, 금강산투자기업협회, 남북경제협력연구소, 남북경제협력협회, 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 등 경협·교역·금강산 기업단체 대표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개성공단 가동 전에 북한에 투자한 기업들이 보험 등 제도 미비로 큰 손실을 봤다며 이제라도 제대로 보상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