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5억 달러 내고 트럼프와 합의 수순?
입력 2025.08.13 (05:08)
수정 2025.08.13 (05: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명문 하버드대가 교내 반유대주의 대처에 미흡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5억 달러, 우리 돈 7천억원에 육박하는 벌금 성격의 합의금을 내고 각종 연방 보조금 지원을 복원하는 합의에 근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버드대학이 수년에 걸쳐 총 5억 달러(약 6천900억원)를 '직원 및 직업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합의안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최종 조건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합의가 타결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결해왔던 연방 연구지원금 지급을 재개하고 하버드대를 상대로 한 각종 법 위반 의혹 조사를 중단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학내 반유대주의를 방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컬럼비아대와 역시 벌금 성격의 2억 달러(약 2천800억원) 납부 합의를 하고 연방 보조금 지원을 재개한 바 있습니다.
하버드대의 합의안이 초안대로 이뤄질 경우 미국 주요 대학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한 벌금액 중 최대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를 상대로 반유대주의 대응 미비에 대한 책임과 더불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와 입학·채용 과정에 정부 입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학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다가 대학 측이 이를 거부하자 '괘씸죄'를 물어 각종 지원 차단, 외국인 유학생 등록 차단 추진 등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해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 외에 다른 명문 대학들을 상대로 반유대주의 조사를 벌였고, 컬럼비아대, 브라운대 등 일부 대학과는 합의를 이룬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버드대학이 수년에 걸쳐 총 5억 달러(약 6천900억원)를 '직원 및 직업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합의안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최종 조건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합의가 타결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결해왔던 연방 연구지원금 지급을 재개하고 하버드대를 상대로 한 각종 법 위반 의혹 조사를 중단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학내 반유대주의를 방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컬럼비아대와 역시 벌금 성격의 2억 달러(약 2천800억원) 납부 합의를 하고 연방 보조금 지원을 재개한 바 있습니다.
하버드대의 합의안이 초안대로 이뤄질 경우 미국 주요 대학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한 벌금액 중 최대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를 상대로 반유대주의 대응 미비에 대한 책임과 더불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와 입학·채용 과정에 정부 입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학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다가 대학 측이 이를 거부하자 '괘씸죄'를 물어 각종 지원 차단, 외국인 유학생 등록 차단 추진 등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해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 외에 다른 명문 대학들을 상대로 반유대주의 조사를 벌였고, 컬럼비아대, 브라운대 등 일부 대학과는 합의를 이룬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버드, 5억 달러 내고 트럼프와 합의 수순?
-
- 입력 2025-08-13 05:08:18
- 수정2025-08-13 05:11:56

미국 명문 하버드대가 교내 반유대주의 대처에 미흡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5억 달러, 우리 돈 7천억원에 육박하는 벌금 성격의 합의금을 내고 각종 연방 보조금 지원을 복원하는 합의에 근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버드대학이 수년에 걸쳐 총 5억 달러(약 6천900억원)를 '직원 및 직업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합의안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최종 조건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합의가 타결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결해왔던 연방 연구지원금 지급을 재개하고 하버드대를 상대로 한 각종 법 위반 의혹 조사를 중단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학내 반유대주의를 방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컬럼비아대와 역시 벌금 성격의 2억 달러(약 2천800억원) 납부 합의를 하고 연방 보조금 지원을 재개한 바 있습니다.
하버드대의 합의안이 초안대로 이뤄질 경우 미국 주요 대학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한 벌금액 중 최대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를 상대로 반유대주의 대응 미비에 대한 책임과 더불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와 입학·채용 과정에 정부 입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학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다가 대학 측이 이를 거부하자 '괘씸죄'를 물어 각종 지원 차단, 외국인 유학생 등록 차단 추진 등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해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 외에 다른 명문 대학들을 상대로 반유대주의 조사를 벌였고, 컬럼비아대, 브라운대 등 일부 대학과는 합의를 이룬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월스트리트저널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버드대학이 수년에 걸쳐 총 5억 달러(약 6천900억원)를 '직원 및 직업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합의안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최종 조건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합의가 타결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동결해왔던 연방 연구지원금 지급을 재개하고 하버드대를 상대로 한 각종 법 위반 의혹 조사를 중단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학내 반유대주의를 방치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컬럼비아대와 역시 벌금 성격의 2억 달러(약 2천800억원) 납부 합의를 하고 연방 보조금 지원을 재개한 바 있습니다.
하버드대의 합의안이 초안대로 이뤄질 경우 미국 주요 대학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한 벌금액 중 최대 규모가 될 전망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를 상대로 반유대주의 대응 미비에 대한 책임과 더불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와 입학·채용 과정에 정부 입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학내 정책 변경을 요구했다가 대학 측이 이를 거부하자 '괘씸죄'를 물어 각종 지원 차단, 외국인 유학생 등록 차단 추진 등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해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 외에 다른 명문 대학들을 상대로 반유대주의 조사를 벌였고, 컬럼비아대, 브라운대 등 일부 대학과는 합의를 이룬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