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5년 만에 세수 감소할 듯…“미 관세 등 영향”

입력 2025.08.13 (15:37) 수정 2025.08.13 (15: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이완 올해 세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5년 만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13일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타이완 재정부는 올해 1∼7월 총세수가 2조 3천21억 타이완 달러(약 106조 4천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1%(490억 타이완 달러·약 2조 2천억 원) 덜 걷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올해 전체 세수가 코로나19 사태 당시인 2020년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관계자는 올해 1∼7월 영업소득세 납부 금액이 6천356억 타이완 달러(약 29조 3천억 원)로 지난해보다 3.6% 감소하고, 증권거래세는 1천394억 타이완 달러(약 6조 4천억 원)로 20.0%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차량 구매와 보유 시 부과되는 관세와 화물세가 각각 24.0%, 23.2% 감소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인한 충격으로 투자와 신차 구입 등 소비가 보수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그는 영업소득세, 종합소득세 등의 납부 기간 연장과 무이자 할부 연장 조치 등으로 인한 여파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류쉰룽 재정부 통계처 부처장은 외부 경제 환경 불확실성이 매우 커 내달 증권거래세와 영업소득세 납부 상황을 지켜봐야 올해 세수 감소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타이완 재정부는 지난 2월 지난해 세수가 3조 7천619억 타이완 달러(약 173조 6천억 원)에 달해 5천283억 타이완 달러 초과 징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021년 이후 4년 연속 초과 세수가 이뤄져 누적 초과 징수액이 1조 8천707억 타이완 달러(약 86조 3천억 원)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이완, 5년 만에 세수 감소할 듯…“미 관세 등 영향”
    • 입력 2025-08-13 15:37:45
    • 수정2025-08-13 15:42:18
    국제
타이완 올해 세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5년 만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13일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타이완 언론에 따르면 타이완 재정부는 올해 1∼7월 총세수가 2조 3천21억 타이완 달러(약 106조 4천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1%(490억 타이완 달러·약 2조 2천억 원) 덜 걷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올해 전체 세수가 코로나19 사태 당시인 2020년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관계자는 올해 1∼7월 영업소득세 납부 금액이 6천356억 타이완 달러(약 29조 3천억 원)로 지난해보다 3.6% 감소하고, 증권거래세는 1천394억 타이완 달러(약 6조 4천억 원)로 20.0%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차량 구매와 보유 시 부과되는 관세와 화물세가 각각 24.0%, 23.2% 감소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미국발 ‘관세 폭탄’으로 인한 충격으로 투자와 신차 구입 등 소비가 보수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그는 영업소득세, 종합소득세 등의 납부 기간 연장과 무이자 할부 연장 조치 등으로 인한 여파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류쉰룽 재정부 통계처 부처장은 외부 경제 환경 불확실성이 매우 커 내달 증권거래세와 영업소득세 납부 상황을 지켜봐야 올해 세수 감소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타이완 재정부는 지난 2월 지난해 세수가 3조 7천619억 타이완 달러(약 173조 6천억 원)에 달해 5천283억 타이완 달러 초과 징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2021년 이후 4년 연속 초과 세수가 이뤄져 누적 초과 징수액이 1조 8천707억 타이완 달러(약 86조 3천억 원)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