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회담 재개해야”…조계종, 광복 80주년 기념 남북 화합 기원 법회

입력 2025.08.14 (17:19) 수정 2025.08.14 (17: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남북 화합과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법회가 열렸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오늘(14일) 오후 서울 강남구 봉은사에서 ‘8·15 광복 80주년 기념 남북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기원법회’를 봉행했습니다.

참가자들은 법회장에 설치된 한반도가 그려진 패널에 연꽃을 붙이는 퍼포먼스를 하며 남북의 화합과 평화를 발원했습니다.

특사 교환을 포함해 고위급 회담을 재개하라고 남북 양측을 향해 촉구하는 ‘남북 평화를 위한 대화 재개 촉구문’도 발표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촉구문에서 “불안정한 안보 환경에서 대화 중단과 연락 채널 단절은 한반도의 군사 위기를 반복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며 종교계를 포함한 민간 교류도 적극적으로 보장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들은 또 “서로를 자극하거나 긴장시키는 모든 적대행위를 중단하는 것은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기 위한 선제 조건”이라며 남북이 서로를 향한 모든 정치·군사적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우리는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던 수많은 이들의 희생을 기억한다”며 “우리는 그 정신을 되새기며, 분단의 고통을 넘어 한반도 평화를 이루기 위한 새로운 책무를 다해야 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불교는 전쟁과 대립을 멈추고 평화를 실천하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한다”며 “조계종과 불교계는 남북 화해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늘 민간교류의 창구가 되었고, 앞으로도 자비와 지혜의 실천자로서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에 앞장설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김남중 차관이 대독한 축사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묶인 남북 불교계의 연대, 민족의 화해를 언제나 같은 자리에서 지탱해 온 불심 역시 새로운 남북 관계를 만들어가는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민간 부문이 다시 만나 대화하고 작은 일부터 소통하는 것이 신뢰를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첫 번째 과제”라며 “정부는 남북 주민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일관성 있게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불교조계종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북 고위급 회담 재개해야”…조계종, 광복 80주년 기념 남북 화합 기원 법회
    • 입력 2025-08-14 17:19:17
    • 수정2025-08-14 17:21:36
    문화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남북 화합과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법회가 열렸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오늘(14일) 오후 서울 강남구 봉은사에서 ‘8·15 광복 80주년 기념 남북의 평화와 화합을 위한 기원법회’를 봉행했습니다.

참가자들은 법회장에 설치된 한반도가 그려진 패널에 연꽃을 붙이는 퍼포먼스를 하며 남북의 화합과 평화를 발원했습니다.

특사 교환을 포함해 고위급 회담을 재개하라고 남북 양측을 향해 촉구하는 ‘남북 평화를 위한 대화 재개 촉구문’도 발표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촉구문에서 “불안정한 안보 환경에서 대화 중단과 연락 채널 단절은 한반도의 군사 위기를 반복적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며 종교계를 포함한 민간 교류도 적극적으로 보장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들은 또 “서로를 자극하거나 긴장시키는 모든 적대행위를 중단하는 것은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기 위한 선제 조건”이라며 남북이 서로를 향한 모든 정치·군사적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우리는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던 수많은 이들의 희생을 기억한다”며 “우리는 그 정신을 되새기며, 분단의 고통을 넘어 한반도 평화를 이루기 위한 새로운 책무를 다해야 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불교는 전쟁과 대립을 멈추고 평화를 실천하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한다”며 “조계종과 불교계는 남북 화해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늘 민간교류의 창구가 되었고, 앞으로도 자비와 지혜의 실천자로서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에 앞장설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김남중 차관이 대독한 축사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묶인 남북 불교계의 연대, 민족의 화해를 언제나 같은 자리에서 지탱해 온 불심 역시 새로운 남북 관계를 만들어가는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민간 부문이 다시 만나 대화하고 작은 일부터 소통하는 것이 신뢰를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는 첫 번째 과제”라며 “정부는 남북 주민들 간의 교류와 협력을 일관성 있게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한불교조계종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