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AI 활용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착수
입력 2025.08.18 (08:28)
수정 2025.08.18 (09: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광주시가 추진 중인 AI 관련 사업들이 정부의 새 국정운영 방향과 맞물리면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당장 다음 달 인공지능 모빌리티 시범도시 연구용역이 시작되고,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 용역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인공지능 사업 육성이 차기 정부 성장 동력으로 비중 있게 소개됐습니다.
[정태호/국정기획위 경제1분과위원장/지난 13일 : "우리 사회를 AI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해서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만들겠습니다."]
이에 따라 광주시의 AI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첫 단추로, 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다음 달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연구용역에 착수합니다.
2030년까지 도로·신호·관제를 AI로 통합하고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을 활용해 미래형 이동 체계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 규모가 1조 5천억 원에 이릅니다.
[최태주/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 : "자율주행이라든가 AI라든가 이런 것들을 도시 전체에서 실증해 보는 사업입니다. 기본 기획 용역을 통해서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그와 관련해서 예비타당성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 자동차 제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또 다른 국정과제 이행 사업도 추진됩니다.
광주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인공지능 기반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용역을 마치고, 국비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두 사업이 최종 본예산을 확보해 궤도에 오르면 현재 2단계 사업이 추진 중인 AI국가시범도시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른 자치단체도 AI와 미래차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어떻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느냐가 앞으로의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영상편집:이성훈
광주시가 추진 중인 AI 관련 사업들이 정부의 새 국정운영 방향과 맞물리면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당장 다음 달 인공지능 모빌리티 시범도시 연구용역이 시작되고,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 용역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인공지능 사업 육성이 차기 정부 성장 동력으로 비중 있게 소개됐습니다.
[정태호/국정기획위 경제1분과위원장/지난 13일 : "우리 사회를 AI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해서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만들겠습니다."]
이에 따라 광주시의 AI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첫 단추로, 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다음 달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연구용역에 착수합니다.
2030년까지 도로·신호·관제를 AI로 통합하고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을 활용해 미래형 이동 체계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 규모가 1조 5천억 원에 이릅니다.
[최태주/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 : "자율주행이라든가 AI라든가 이런 것들을 도시 전체에서 실증해 보는 사업입니다. 기본 기획 용역을 통해서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그와 관련해서 예비타당성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 자동차 제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또 다른 국정과제 이행 사업도 추진됩니다.
광주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인공지능 기반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용역을 마치고, 국비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두 사업이 최종 본예산을 확보해 궤도에 오르면 현재 2단계 사업이 추진 중인 AI국가시범도시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른 자치단체도 AI와 미래차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어떻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느냐가 앞으로의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영상편집:이성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시 ‘AI 활용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착수
-
- 입력 2025-08-18 08:27:59
- 수정2025-08-18 09:28:59

[앵커]
광주시가 추진 중인 AI 관련 사업들이 정부의 새 국정운영 방향과 맞물리면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당장 다음 달 인공지능 모빌리티 시범도시 연구용역이 시작되고,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 용역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인공지능 사업 육성이 차기 정부 성장 동력으로 비중 있게 소개됐습니다.
[정태호/국정기획위 경제1분과위원장/지난 13일 : "우리 사회를 AI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해서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만들겠습니다."]
이에 따라 광주시의 AI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첫 단추로, 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다음 달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연구용역에 착수합니다.
2030년까지 도로·신호·관제를 AI로 통합하고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을 활용해 미래형 이동 체계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 규모가 1조 5천억 원에 이릅니다.
[최태주/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 : "자율주행이라든가 AI라든가 이런 것들을 도시 전체에서 실증해 보는 사업입니다. 기본 기획 용역을 통해서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그와 관련해서 예비타당성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 자동차 제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또 다른 국정과제 이행 사업도 추진됩니다.
광주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인공지능 기반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용역을 마치고, 국비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두 사업이 최종 본예산을 확보해 궤도에 오르면 현재 2단계 사업이 추진 중인 AI국가시범도시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른 자치단체도 AI와 미래차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어떻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느냐가 앞으로의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영상편집:이성훈
광주시가 추진 중인 AI 관련 사업들이 정부의 새 국정운영 방향과 맞물리면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당장 다음 달 인공지능 모빌리티 시범도시 연구용역이 시작되고,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 용역도 추진키로 했습니다.
손민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인공지능 사업 육성이 차기 정부 성장 동력으로 비중 있게 소개됐습니다.
[정태호/국정기획위 경제1분과위원장/지난 13일 : "우리 사회를 AI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해서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만들겠습니다."]
이에 따라 광주시의 AI 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첫 단추로, 광주시와 국토교통부가 다음 달 'AI 모빌리티 국가 시범도시' 연구용역에 착수합니다.
2030년까지 도로·신호·관제를 AI로 통합하고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을 활용해 미래형 이동 체계의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 규모가 1조 5천억 원에 이릅니다.
[최태주/광주시 인공지능산업실장 : "자율주행이라든가 AI라든가 이런 것들을 도시 전체에서 실증해 보는 사업입니다. 기본 기획 용역을 통해서 전반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그와 관련해서 예비타당성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여기에 더해 AI 기반 자동차 제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또 다른 국정과제 이행 사업도 추진됩니다.
광주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인공지능 기반 미래차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용역을 마치고, 국비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두 사업이 최종 본예산을 확보해 궤도에 오르면 현재 2단계 사업이 추진 중인 AI국가시범도시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른 자치단체도 AI와 미래차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어떻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느냐가 앞으로의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영상편집:이성훈
-
-
손민주 기자 hand@kbs.co.kr
손민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