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반부패 사정에 중국 소수민족 고위층 낙마 이어져
입력 2025.08.18 (11:51)
수정 2025.08.18 (1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반부패 사정 칼날이 무차별적으로 적용돼 과거 관용 대상이었던 소수민족 고위층의 낙마가 이어지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8일 보도했습니다.
지난 1월 치자라 전 시짱(티베트) 자치구 주석에 이어 5월 란톈리 전 광시 좡족 자치구 주석, 7월 류후이 전 닝샤후이주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앞서 2018년에는 양징 전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과 누얼 바이커리 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낙마했습니다.
특히 양징은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을 거쳐 국무위원으로, 누얼 바이커리는 국가에너지국 부국장으로 승진해 소수민족 출신의 중앙 고위직 진출의 상징으로 평가받던 시점에서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의 사정 칼날에 결국 자리를 잃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들은 시 주석이 집권한 2012년 이후 낙마한 소수민족 고위 관리로, 이는 과거 소수민족 고위 관료에 대해 적용돼온 중국 당국의 관대함이 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4억명에 이르는 중국의 전체 인구 가운데 55개 소수민족 인구는 약 1억1천만 명이며, 이들은 과거 국가 단위 입학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았고 형사사건에서도 비교적 관대한 처벌을 받아왔습니다.
미 펜실베이니아대의 현대중국연구센터의 아론 글래스맨 연구원은 "부정부패 사정 작업이 지속되면서 중국에선 이젠 소수민족이라는 점이 더는 면책권을 보장하는 카드가 아니다"라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의 샨 웨이 수석연구원은 "지난 10년 동안 중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별 보호를 하지 않는 쪽으로 변해왔다"면서 "중국 당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권을 주지 않고 한족과 동등하게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당국이 2014년부터 '중화민족 공동체' 육성을 강조하고 통일된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으면서 소수민족 출신의 지방 정부 고위직 진출이 줄어드는 정치적 지형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홍콩 SCMP 캡처]
지난 1월 치자라 전 시짱(티베트) 자치구 주석에 이어 5월 란톈리 전 광시 좡족 자치구 주석, 7월 류후이 전 닝샤후이주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앞서 2018년에는 양징 전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과 누얼 바이커리 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낙마했습니다.
특히 양징은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을 거쳐 국무위원으로, 누얼 바이커리는 국가에너지국 부국장으로 승진해 소수민족 출신의 중앙 고위직 진출의 상징으로 평가받던 시점에서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의 사정 칼날에 결국 자리를 잃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들은 시 주석이 집권한 2012년 이후 낙마한 소수민족 고위 관리로, 이는 과거 소수민족 고위 관료에 대해 적용돼온 중국 당국의 관대함이 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4억명에 이르는 중국의 전체 인구 가운데 55개 소수민족 인구는 약 1억1천만 명이며, 이들은 과거 국가 단위 입학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았고 형사사건에서도 비교적 관대한 처벌을 받아왔습니다.
미 펜실베이니아대의 현대중국연구센터의 아론 글래스맨 연구원은 "부정부패 사정 작업이 지속되면서 중국에선 이젠 소수민족이라는 점이 더는 면책권을 보장하는 카드가 아니다"라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의 샨 웨이 수석연구원은 "지난 10년 동안 중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별 보호를 하지 않는 쪽으로 변해왔다"면서 "중국 당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권을 주지 않고 한족과 동등하게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당국이 2014년부터 '중화민족 공동체' 육성을 강조하고 통일된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으면서 소수민족 출신의 지방 정부 고위직 진출이 줄어드는 정치적 지형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홍콩 SCMP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진핑 반부패 사정에 중국 소수민족 고위층 낙마 이어져
-
- 입력 2025-08-18 11:51:33
- 수정2025-08-18 12:02:19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반부패 사정 칼날이 무차별적으로 적용돼 과거 관용 대상이었던 소수민족 고위층의 낙마가 이어지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8일 보도했습니다.
지난 1월 치자라 전 시짱(티베트) 자치구 주석에 이어 5월 란톈리 전 광시 좡족 자치구 주석, 7월 류후이 전 닝샤후이주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앞서 2018년에는 양징 전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과 누얼 바이커리 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낙마했습니다.
특히 양징은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을 거쳐 국무위원으로, 누얼 바이커리는 국가에너지국 부국장으로 승진해 소수민족 출신의 중앙 고위직 진출의 상징으로 평가받던 시점에서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의 사정 칼날에 결국 자리를 잃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들은 시 주석이 집권한 2012년 이후 낙마한 소수민족 고위 관리로, 이는 과거 소수민족 고위 관료에 대해 적용돼온 중국 당국의 관대함이 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4억명에 이르는 중국의 전체 인구 가운데 55개 소수민족 인구는 약 1억1천만 명이며, 이들은 과거 국가 단위 입학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았고 형사사건에서도 비교적 관대한 처벌을 받아왔습니다.
미 펜실베이니아대의 현대중국연구센터의 아론 글래스맨 연구원은 "부정부패 사정 작업이 지속되면서 중국에선 이젠 소수민족이라는 점이 더는 면책권을 보장하는 카드가 아니다"라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의 샨 웨이 수석연구원은 "지난 10년 동안 중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별 보호를 하지 않는 쪽으로 변해왔다"면서 "중국 당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권을 주지 않고 한족과 동등하게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당국이 2014년부터 '중화민족 공동체' 육성을 강조하고 통일된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으면서 소수민족 출신의 지방 정부 고위직 진출이 줄어드는 정치적 지형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홍콩 SCMP 캡처]
지난 1월 치자라 전 시짱(티베트) 자치구 주석에 이어 5월 란톈리 전 광시 좡족 자치구 주석, 7월 류후이 전 닝샤후이주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중국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앞서 2018년에는 양징 전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과 누얼 바이커리 전 신장 위구르 자치구 주석이 부패 혐의로 낙마했습니다.
특히 양징은 네이멍구 자치구 주석을 거쳐 국무위원으로, 누얼 바이커리는 국가에너지국 부국장으로 승진해 소수민족 출신의 중앙 고위직 진출의 상징으로 평가받던 시점에서 공산당 중앙기율위원회의 사정 칼날에 결국 자리를 잃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들은 시 주석이 집권한 2012년 이후 낙마한 소수민족 고위 관리로, 이는 과거 소수민족 고위 관료에 대해 적용돼온 중국 당국의 관대함이 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4억명에 이르는 중국의 전체 인구 가운데 55개 소수민족 인구는 약 1억1천만 명이며, 이들은 과거 국가 단위 입학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았고 형사사건에서도 비교적 관대한 처벌을 받아왔습니다.
미 펜실베이니아대의 현대중국연구센터의 아론 글래스맨 연구원은 "부정부패 사정 작업이 지속되면서 중국에선 이젠 소수민족이라는 점이 더는 면책권을 보장하는 카드가 아니다"라고 전했습니다.
싱가포르국립대 동아시아연구소의 샨 웨이 수석연구원은 "지난 10년 동안 중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별 보호를 하지 않는 쪽으로 변해왔다"면서 "중국 당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특권을 주지 않고 한족과 동등하게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당국이 2014년부터 '중화민족 공동체' 육성을 강조하고 통일된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으면서 소수민족 출신의 지방 정부 고위직 진출이 줄어드는 정치적 지형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홍콩 SCMP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