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TV 담당 MS사업부 희망퇴직 실시…“인력선순환 차원”
입력 2025.08.18 (15:11)
수정 2025.08.18 (15: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G전자가 50대 이상 저성과 직원 등을 대상으로 다음 달 중 희망퇴직을 시행합니다.
LG전자 관계자는 “50대 이상이면서 업무 평가가 저조한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면서 “인력 선순환을 위한 조치”라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희망퇴직은 철저히 본인이 원하는 경우를 전제로 진행된다”며 “근속 및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최대 3년치 연봉에 해당하는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희망퇴직은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MS(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서 우선 진행됩니다.
MS 사업부는 올해 2분기 1,91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TV 수요 부진,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 등이 실적 부진 요인으로 꼽힙니다.
LG전자는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도 희망퇴직을 시행한 바 있는데, 당시에도 희망퇴직 신청자는 최대 3년치 연봉을 위로금 등으로 받았습니다.
LG전자 관계자는 “50대 이상이면서 업무 평가가 저조한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면서 “인력 선순환을 위한 조치”라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희망퇴직은 철저히 본인이 원하는 경우를 전제로 진행된다”며 “근속 및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최대 3년치 연봉에 해당하는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희망퇴직은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MS(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서 우선 진행됩니다.
MS 사업부는 올해 2분기 1,91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TV 수요 부진,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 등이 실적 부진 요인으로 꼽힙니다.
LG전자는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도 희망퇴직을 시행한 바 있는데, 당시에도 희망퇴직 신청자는 최대 3년치 연봉을 위로금 등으로 받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LG전자, TV 담당 MS사업부 희망퇴직 실시…“인력선순환 차원”
-
- 입력 2025-08-18 15:11:09
- 수정2025-08-18 15:12:51

LG전자가 50대 이상 저성과 직원 등을 대상으로 다음 달 중 희망퇴직을 시행합니다.
LG전자 관계자는 “50대 이상이면서 업무 평가가 저조한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면서 “인력 선순환을 위한 조치”라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희망퇴직은 철저히 본인이 원하는 경우를 전제로 진행된다”며 “근속 및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최대 3년치 연봉에 해당하는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희망퇴직은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MS(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서 우선 진행됩니다.
MS 사업부는 올해 2분기 1,91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TV 수요 부진,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 등이 실적 부진 요인으로 꼽힙니다.
LG전자는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도 희망퇴직을 시행한 바 있는데, 당시에도 희망퇴직 신청자는 최대 3년치 연봉을 위로금 등으로 받았습니다.
LG전자 관계자는 “50대 이상이면서 업무 평가가 저조한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면서 “인력 선순환을 위한 조치”라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번 희망퇴직은 철저히 본인이 원하는 경우를 전제로 진행된다”며 “근속 및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최대 3년치 연봉에 해당하는 위로금과 자녀 학자금이 지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희망퇴직은 TV 사업 등을 담당하는 MS(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부에서 우선 진행됩니다.
MS 사업부는 올해 2분기 1,91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TV 수요 부진,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 등이 실적 부진 요인으로 꼽힙니다.
LG전자는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도 희망퇴직을 시행한 바 있는데, 당시에도 희망퇴직 신청자는 최대 3년치 연봉을 위로금 등으로 받았습니다.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