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무상보육 등 각종 정부 지원, 1인당 924만 원
입력 2025.08.18 (15:49)
수정 2025.08.18 (15: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과 무상보육 등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각종 사회서비스의 가치는 연간 924만 원 정도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을 반영한 소득 통계 결과'를 보면, 사회적 현물 이전은 2023년 기준 국민 한 사람당 평균 924만 원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습니다.
사회적 현물 이전은 정부가 국민에게 직접 현금을 주는 대신 각종 서비스 형태나 재화 형태로 제공하는 지원을 말하며, 건강보험·의료급여, 무상급식, 국가장학금, 무상보육 등이 대표적입니다.
2023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가구 평균소득(7천185만 원)의 12.9%였습니다.
가계가 쓸 돈의 13% 정도를 정부가 각종 사회서비스로 대신 부담해 줬다는 뜻입니다.
가구 소득과 비교한 사회적 현물 이전 비율은 2019년 14.9%, 2020년 14.2%, 2021년 13.8%, 2022년 13.6%에 이어 계속 줄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을 반영한 소득 통계 결과'를 보면, 사회적 현물 이전은 2023년 기준 국민 한 사람당 평균 924만 원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습니다.
사회적 현물 이전은 정부가 국민에게 직접 현금을 주는 대신 각종 서비스 형태나 재화 형태로 제공하는 지원을 말하며, 건강보험·의료급여, 무상급식, 국가장학금, 무상보육 등이 대표적입니다.
2023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가구 평균소득(7천185만 원)의 12.9%였습니다.
가계가 쓸 돈의 13% 정도를 정부가 각종 사회서비스로 대신 부담해 줬다는 뜻입니다.
가구 소득과 비교한 사회적 현물 이전 비율은 2019년 14.9%, 2020년 14.2%, 2021년 13.8%, 2022년 13.6%에 이어 계속 줄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통계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건강보험·무상보육 등 각종 정부 지원, 1인당 924만 원
-
- 입력 2025-08-18 15:49:13
- 수정2025-08-18 15:53:41

건강보험과 무상보육 등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각종 사회서비스의 가치는 연간 924만 원 정도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을 반영한 소득 통계 결과'를 보면, 사회적 현물 이전은 2023년 기준 국민 한 사람당 평균 924만 원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습니다.
사회적 현물 이전은 정부가 국민에게 직접 현금을 주는 대신 각종 서비스 형태나 재화 형태로 제공하는 지원을 말하며, 건강보험·의료급여, 무상급식, 국가장학금, 무상보육 등이 대표적입니다.
2023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가구 평균소득(7천185만 원)의 12.9%였습니다.
가계가 쓸 돈의 13% 정도를 정부가 각종 사회서비스로 대신 부담해 줬다는 뜻입니다.
가구 소득과 비교한 사회적 현물 이전 비율은 2019년 14.9%, 2020년 14.2%, 2021년 13.8%, 2022년 13.6%에 이어 계속 줄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통계청 제공]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을 반영한 소득 통계 결과'를 보면, 사회적 현물 이전은 2023년 기준 국민 한 사람당 평균 924만 원으로 1년 전보다 0.1% 증가했습니다.
사회적 현물 이전은 정부가 국민에게 직접 현금을 주는 대신 각종 서비스 형태나 재화 형태로 제공하는 지원을 말하며, 건강보험·의료급여, 무상급식, 국가장학금, 무상보육 등이 대표적입니다.
2023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가구 평균소득(7천185만 원)의 12.9%였습니다.
가계가 쓸 돈의 13% 정도를 정부가 각종 사회서비스로 대신 부담해 줬다는 뜻입니다.
가구 소득과 비교한 사회적 현물 이전 비율은 2019년 14.9%, 2020년 14.2%, 2021년 13.8%, 2022년 13.6%에 이어 계속 줄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통계청 제공]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