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언론의 고의적 왜곡·허위 정보에는 책임 물어야”
입력 2025.08.18 (16:54)
수정 2025.08.18 (16: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언론이 정부를 감시, 견제하는 역할도 중요하지만 고의적 왜곡 및 허위 정보는 신속하게 수정해야 하며, 그에 따른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게 마땅하다”고 밝혔습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문체부가 마련한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 보고·자유토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국무위원 자유토론에서) 캐나다, 영국 등 국가에서는 정부 광고 등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한다는 보고를 언급하며 정부 광고 효과를 제3의 기관이 검증해 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의 광고 집행이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될 경우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홍보 실적 평가 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각 부처의 자체 홍보 수단 및 운영 실태 파악해 보고해달라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정부 정책을 국민께 정확하게 설명하고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돈을 주고 홍보하는 것보다 직접 국민과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며 “공급자 편의보다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고민해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끝으로 이 대통령은 민감한 핵심 쟁점인 경우, 국민께 알리는 공론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면서 최대한 속도를 내더라도 졸속화되지 않게 잘 챙겨달라고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디지털 광고 비율에 대한 이야기가 유튜브 광고 집행을 늘린다는 뜻인가’를 묻는 말에는 “오늘은 보고 차원이었는데, 제가 말을 추상화한 게 아니라 정말 디지털, 이렇게 얘기가 나왔다”며 “구체적인 매체명이나 플랫폼 명이 나온 게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문체부가 마련한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 보고·자유토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국무위원 자유토론에서) 캐나다, 영국 등 국가에서는 정부 광고 등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한다는 보고를 언급하며 정부 광고 효과를 제3의 기관이 검증해 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의 광고 집행이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될 경우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홍보 실적 평가 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각 부처의 자체 홍보 수단 및 운영 실태 파악해 보고해달라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정부 정책을 국민께 정확하게 설명하고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돈을 주고 홍보하는 것보다 직접 국민과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며 “공급자 편의보다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고민해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끝으로 이 대통령은 민감한 핵심 쟁점인 경우, 국민께 알리는 공론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면서 최대한 속도를 내더라도 졸속화되지 않게 잘 챙겨달라고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디지털 광고 비율에 대한 이야기가 유튜브 광고 집행을 늘린다는 뜻인가’를 묻는 말에는 “오늘은 보고 차원이었는데, 제가 말을 추상화한 게 아니라 정말 디지털, 이렇게 얘기가 나왔다”며 “구체적인 매체명이나 플랫폼 명이 나온 게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 대통령 “언론의 고의적 왜곡·허위 정보에는 책임 물어야”
-
- 입력 2025-08-18 16:54:16
- 수정2025-08-18 16:55:38

이재명 대통령은 “언론이 정부를 감시, 견제하는 역할도 중요하지만 고의적 왜곡 및 허위 정보는 신속하게 수정해야 하며, 그에 따른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게 마땅하다”고 밝혔습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문체부가 마련한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 보고·자유토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국무위원 자유토론에서) 캐나다, 영국 등 국가에서는 정부 광고 등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한다는 보고를 언급하며 정부 광고 효과를 제3의 기관이 검증해 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의 광고 집행이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될 경우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홍보 실적 평가 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각 부처의 자체 홍보 수단 및 운영 실태 파악해 보고해달라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정부 정책을 국민께 정확하게 설명하고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돈을 주고 홍보하는 것보다 직접 국민과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며 “공급자 편의보다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고민해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끝으로 이 대통령은 민감한 핵심 쟁점인 경우, 국민께 알리는 공론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면서 최대한 속도를 내더라도 졸속화되지 않게 잘 챙겨달라고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디지털 광고 비율에 대한 이야기가 유튜브 광고 집행을 늘린다는 뜻인가’를 묻는 말에는 “오늘은 보고 차원이었는데, 제가 말을 추상화한 게 아니라 정말 디지털, 이렇게 얘기가 나왔다”며 “구체적인 매체명이나 플랫폼 명이 나온 게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오늘(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며 문체부가 마련한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 보고·자유토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국무위원 자유토론에서) 캐나다, 영국 등 국가에서는 정부 광고 등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한다는 보고를 언급하며 정부 광고 효과를 제3의 기관이 검증해 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의 광고 집행이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될 경우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홍보 실적 평가 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각 부처의 자체 홍보 수단 및 운영 실태 파악해 보고해달라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정부 정책을 국민께 정확하게 설명하고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며 돈을 주고 홍보하는 것보다 직접 국민과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며 “공급자 편의보다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고민해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끝으로 이 대통령은 민감한 핵심 쟁점인 경우, 국민께 알리는 공론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면서 최대한 속도를 내더라도 졸속화되지 않게 잘 챙겨달라고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디지털 광고 비율에 대한 이야기가 유튜브 광고 집행을 늘린다는 뜻인가’를 묻는 말에는 “오늘은 보고 차원이었는데, 제가 말을 추상화한 게 아니라 정말 디지털, 이렇게 얘기가 나왔다”며 “구체적인 매체명이나 플랫폼 명이 나온 게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방준원 기자 pcbang@kbs.co.kr
방준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