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차 “미러회담 ‘빈손’ 트럼프, 한미 정상회담 성공 원할 것”

입력 2025.08.19 (02:21) 수정 2025.08.19 (0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서 외교 성과를 내지 못한 만큼 오는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뚜렷한 성과를 원할 것이라고 미국 전문가가 관측했습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현지 시각 18일 CSIS 주최 팟캐스트에서 지난 15일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을 "트럼프 대통령의 큰 승리는 아니었다"고 평가하고서는 이 회담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노딜'로 끝난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 비유했습니다.

차 석좌는 미·러 정상이 원래 계획했던 오찬도 하지 않고 회담을 종료한 점을 언급하고서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에서 김정은에게 한 것과 다르지 않다. 당시 그는 협상 타결이 없다면서 회담(장)을 일찍 떠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런 차원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 다음 주 성공을 원할 것이다. 그는 연달아 실패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니 그는 아마 다음 주에 어떤 종류의 성공을 원할 것이며 그게 회담(한미 정상회담)에 좋은 징조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차 석좌는 미국과의 양자 회담은 미국이 관련된 다른 모든 현안의 맥락을 고려하면서 봐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시드 사일러 CSIS 선임고문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분위기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난 두 정상이 어떤 수준에서 관계를 잘 맺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는 최소한 이재명(대통령)이 여느 보수주의자 못지않게 미국 대통령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이미지를 보여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지난 2월 백악관 회담 같은 외교 참사가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는 "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존중한다고 생각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까지 걸어온 길을 알기 때문에 그가 믿을 만한 상대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대북 정책 공조가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가 될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그는 한미 정상 모두 북한과 정상외교를 추진할 의향이 있다고 평가하고서는 "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어떤 상호작용을 신속하게 하려고 노력하는 데 있어서 이재명 대통령의 편을 드는 것을 편하게 여길 것이라 생각하고, 그게 이재명 대통령 관점에서는 성과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견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으로부터 더 강경한 공개 입장 표명을 요구할 경우 갈등이 빚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빅터차 “미러회담 ‘빈손’ 트럼프, 한미 정상회담 성공 원할 것”
    • 입력 2025-08-19 02:21:41
    • 수정2025-08-19 02:22:26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서 외교 성과를 내지 못한 만큼 오는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뚜렷한 성과를 원할 것이라고 미국 전문가가 관측했습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현지 시각 18일 CSIS 주최 팟캐스트에서 지난 15일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을 "트럼프 대통령의 큰 승리는 아니었다"고 평가하고서는 이 회담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노딜'로 끝난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에 비유했습니다.

차 석좌는 미·러 정상이 원래 계획했던 오찬도 하지 않고 회담을 종료한 점을 언급하고서 "트럼프 대통령이 하노이에서 김정은에게 한 것과 다르지 않다. 당시 그는 협상 타결이 없다면서 회담(장)을 일찍 떠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런 차원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 다음 주 성공을 원할 것이다. 그는 연달아 실패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니 그는 아마 다음 주에 어떤 종류의 성공을 원할 것이며 그게 회담(한미 정상회담)에 좋은 징조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차 석좌는 미국과의 양자 회담은 미국이 관련된 다른 모든 현안의 맥락을 고려하면서 봐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시드 사일러 CSIS 선임고문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분위기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난 두 정상이 어떤 수준에서 관계를 잘 맺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는 최소한 이재명(대통령)이 여느 보수주의자 못지않게 미국 대통령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이미지를 보여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지난 2월 백악관 회담 같은 외교 참사가 일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는 "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존중한다고 생각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까지 걸어온 길을 알기 때문에 그가 믿을 만한 상대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일러 선임고문은 대북 정책 공조가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가 될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그는 한미 정상 모두 북한과 정상외교를 추진할 의향이 있다고 평가하고서는 "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어떤 상호작용을 신속하게 하려고 노력하는 데 있어서 이재명 대통령의 편을 드는 것을 편하게 여길 것이라 생각하고, 그게 이재명 대통령 관점에서는 성과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견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으로부터 더 강경한 공개 입장 표명을 요구할 경우 갈등이 빚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