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첫 디스플레이 탑재 스마트안경 다음 달 출시”

입력 2025.08.19 (07:50) 수정 2025.08.19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첫 스마트 안경을 다음 달 출시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현지 시각 18일 보도했습니다.

‘하이퍼노바(Hypernova)’로 알려진 메타의 차세대 스마트 안경은 다음 달 열리는 메타 연례 제품 발표 행사 ‘커넥트’에서 공개될 예정이라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메타는 현재 레이밴 스마트 안경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스마트 안경은 내장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어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됩니다.

이 스마트 안경은 인공지능(AI) 음성 비서는 물론,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렌즈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고 손목 밴드를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새로운 스마트 안경의 가격은 800달러(111만 원)부터 시작된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는 최소 1천 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당초 예상보다 크게 낮아진 수준입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가격 변경은 수요를 늘리기 위해 메타가 일부러 낮은 이윤을 감수한 것”이라며 “이는 신제품 출시 때 흔히 쓰이는 전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메타는 지난해 9월 새로운 증강현실(AR) 스마트 안경 ‘오라이언(Orion)’의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오라이언은 스마트폰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기기입니다.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지금까지 AR 기기에 대한 모든 시도는 헤드셋, 고글, 헬멧이었다”며 “오라이언이 스마트폰 다음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라이언’은 안경처럼 쓰면서 문자 메시지는 물론, 화상 통화, 유튜브 동영상까지 볼 수 있습니다.

또 마이크로 렌즈가 장착돼 프로젝터를 통해 3D 이미지를 투사시켜 홀로그램의 증강 현실(AR) 기능이 구현됩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메타, 첫 디스플레이 탑재 스마트안경 다음 달 출시”
    • 입력 2025-08-19 07:50:02
    • 수정2025-08-19 07:55:13
    국제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첫 스마트 안경을 다음 달 출시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현지 시각 18일 보도했습니다.

‘하이퍼노바(Hypernova)’로 알려진 메타의 차세대 스마트 안경은 다음 달 열리는 메타 연례 제품 발표 행사 ‘커넥트’에서 공개될 예정이라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메타는 현재 레이밴 스마트 안경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스마트 안경은 내장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어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됩니다.

이 스마트 안경은 인공지능(AI) 음성 비서는 물론,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렌즈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고 손목 밴드를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새로운 스마트 안경의 가격은 800달러(111만 원)부터 시작된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는 최소 1천 달러를 넘을 것이라는 당초 예상보다 크게 낮아진 수준입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가격 변경은 수요를 늘리기 위해 메타가 일부러 낮은 이윤을 감수한 것”이라며 “이는 신제품 출시 때 흔히 쓰이는 전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메타는 지난해 9월 새로운 증강현실(AR) 스마트 안경 ‘오라이언(Orion)’의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오라이언은 스마트폰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기기입니다.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지금까지 AR 기기에 대한 모든 시도는 헤드셋, 고글, 헬멧이었다”며 “오라이언이 스마트폰 다음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라이언’은 안경처럼 쓰면서 문자 메시지는 물론, 화상 통화, 유튜브 동영상까지 볼 수 있습니다.

또 마이크로 렌즈가 장착돼 프로젝터를 통해 3D 이미지를 투사시켜 홀로그램의 증강 현실(AR) 기능이 구현됩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