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들이 현행 바이오매스 발전 정책을 비판하며 정부에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그린피스와 서울환경연합, 기후솔루션, 불교환경연대 등 환경단체 14곳은 오늘(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이오매스는 대형 화력발전소에 연료를 투입한다는 점에서 화석연료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목재와 농업 부산물·가축 분뇨 등 유기성 자원을 연료로 활용하는 발전 방식으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때 발전사업자는 정부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받아 추가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단체들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때 나오는 목재의 탄소 배출량은 석탄, 석유보다 높다”며 “바이오매스를 신재생에너지로 둔갑시켜 석탄과 혼소하거나 멀쩡한 원목을 태워도 보조금이 지급되는 현 제도는 명백한 친환경 위장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린피스와 서울환경연합, 기후솔루션, 불교환경연대 등 환경단체 14곳은 오늘(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이오매스는 대형 화력발전소에 연료를 투입한다는 점에서 화석연료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목재와 농업 부산물·가축 분뇨 등 유기성 자원을 연료로 활용하는 발전 방식으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때 발전사업자는 정부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받아 추가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단체들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때 나오는 목재의 탄소 배출량은 석탄, 석유보다 높다”며 “바이오매스를 신재생에너지로 둔갑시켜 석탄과 혼소하거나 멀쩡한 원목을 태워도 보조금이 지급되는 현 제도는 명백한 친환경 위장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환경단체들 “바이오매스, 화석 연료와 다를 바 없어”
-
- 입력 2025-08-19 17:50:13
환경단체들이 현행 바이오매스 발전 정책을 비판하며 정부에 개선을 촉구했습니다.
그린피스와 서울환경연합, 기후솔루션, 불교환경연대 등 환경단체 14곳은 오늘(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이오매스는 대형 화력발전소에 연료를 투입한다는 점에서 화석연료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목재와 농업 부산물·가축 분뇨 등 유기성 자원을 연료로 활용하는 발전 방식으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때 발전사업자는 정부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받아 추가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단체들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때 나오는 목재의 탄소 배출량은 석탄, 석유보다 높다”며 “바이오매스를 신재생에너지로 둔갑시켜 석탄과 혼소하거나 멀쩡한 원목을 태워도 보조금이 지급되는 현 제도는 명백한 친환경 위장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린피스와 서울환경연합, 기후솔루션, 불교환경연대 등 환경단체 14곳은 오늘(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이오매스는 대형 화력발전소에 연료를 투입한다는 점에서 화석연료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목재와 농업 부산물·가축 분뇨 등 유기성 자원을 연료로 활용하는 발전 방식으로,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때 발전사업자는 정부로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받아 추가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단체들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때 나오는 목재의 탄소 배출량은 석탄, 석유보다 높다”며 “바이오매스를 신재생에너지로 둔갑시켜 석탄과 혼소하거나 멀쩡한 원목을 태워도 보조금이 지급되는 현 제도는 명백한 친환경 위장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
-
이슬기 기자 wakeup@kbs.co.kr
이슬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