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꺼짐 주민 보상 요구…집단 소송 가능성
입력 2025.08.19 (19:05)
수정 2025.08.19 (2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일대에선 땅꺼짐 현상이 최근 3년간 15차례나 발생했습니다.
주변 주택과 상가에 균열과 누수 피해까지 이어지면서 주민들이 직접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과 맞닿은 상가 건물.
지하 벽면 곳곳에 균열이 생겼고, 천장은 일부 내려앉았습니다.
[김영아/피해 건물 주인 : "(그동안) 문제가 없었는데 공사를 하면서부터 굉장히 불안하고 피해가 큽니다."]
이 같은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 수십 명이 부산교통공사에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변형대/피해 주민 : "근본적인 원인이 도시철도 공사 때문이잖아요. 파니까, 물이 빠지니까 무너지기 때문에 균열이 가고 땅이 갈라진 거예요."]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보험사를 통해 굴착이 끝난 구간부터 보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의식/부산교통공사 시설공사처장 : "건설공사보험으로 처리하는 부분은 저희 교통공사에서 적극 지원해서 주민 여러분들이 입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지만 보상이 원만히 이뤄질지는 불투명합니다.
보험사 손해사정 과정에서 '공사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나면, 보상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기정/피해 상인 : "교통공사가 잘못했다. 수도가 잘못됐다. 여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저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서로 미루던데요."]
부산시는 늦어도 다음 달까지 원인 조사 결과와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습니다.
[하치덕/부산시 철도시설과장 : "사고 조사위원회와 부산시 감사에서 결과를 도출해서 그 대책과 아울러서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봐 주시면…."]
사상~하단선 공사는 기간이 1년 연장돼 완공이 2027년으로 미뤄졌습니다.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주민들은 집단 소송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일대에선 땅꺼짐 현상이 최근 3년간 15차례나 발생했습니다.
주변 주택과 상가에 균열과 누수 피해까지 이어지면서 주민들이 직접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과 맞닿은 상가 건물.
지하 벽면 곳곳에 균열이 생겼고, 천장은 일부 내려앉았습니다.
[김영아/피해 건물 주인 : "(그동안) 문제가 없었는데 공사를 하면서부터 굉장히 불안하고 피해가 큽니다."]
이 같은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 수십 명이 부산교통공사에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변형대/피해 주민 : "근본적인 원인이 도시철도 공사 때문이잖아요. 파니까, 물이 빠지니까 무너지기 때문에 균열이 가고 땅이 갈라진 거예요."]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보험사를 통해 굴착이 끝난 구간부터 보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의식/부산교통공사 시설공사처장 : "건설공사보험으로 처리하는 부분은 저희 교통공사에서 적극 지원해서 주민 여러분들이 입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지만 보상이 원만히 이뤄질지는 불투명합니다.
보험사 손해사정 과정에서 '공사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나면, 보상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기정/피해 상인 : "교통공사가 잘못했다. 수도가 잘못됐다. 여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저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서로 미루던데요."]
부산시는 늦어도 다음 달까지 원인 조사 결과와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습니다.
[하치덕/부산시 철도시설과장 : "사고 조사위원회와 부산시 감사에서 결과를 도출해서 그 대책과 아울러서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봐 주시면…."]
사상~하단선 공사는 기간이 1년 연장돼 완공이 2027년으로 미뤄졌습니다.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주민들은 집단 소송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땅꺼짐 주민 보상 요구…집단 소송 가능성
-
- 입력 2025-08-19 19:05:49
- 수정2025-08-19 20:07:18

[앵커]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일대에선 땅꺼짐 현상이 최근 3년간 15차례나 발생했습니다.
주변 주택과 상가에 균열과 누수 피해까지 이어지면서 주민들이 직접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과 맞닿은 상가 건물.
지하 벽면 곳곳에 균열이 생겼고, 천장은 일부 내려앉았습니다.
[김영아/피해 건물 주인 : "(그동안) 문제가 없었는데 공사를 하면서부터 굉장히 불안하고 피해가 큽니다."]
이 같은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 수십 명이 부산교통공사에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변형대/피해 주민 : "근본적인 원인이 도시철도 공사 때문이잖아요. 파니까, 물이 빠지니까 무너지기 때문에 균열이 가고 땅이 갈라진 거예요."]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보험사를 통해 굴착이 끝난 구간부터 보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의식/부산교통공사 시설공사처장 : "건설공사보험으로 처리하는 부분은 저희 교통공사에서 적극 지원해서 주민 여러분들이 입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지만 보상이 원만히 이뤄질지는 불투명합니다.
보험사 손해사정 과정에서 '공사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나면, 보상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기정/피해 상인 : "교통공사가 잘못했다. 수도가 잘못됐다. 여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저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서로 미루던데요."]
부산시는 늦어도 다음 달까지 원인 조사 결과와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습니다.
[하치덕/부산시 철도시설과장 : "사고 조사위원회와 부산시 감사에서 결과를 도출해서 그 대책과 아울러서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봐 주시면…."]
사상~하단선 공사는 기간이 1년 연장돼 완공이 2027년으로 미뤄졌습니다.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주민들은 집단 소송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 일대에선 땅꺼짐 현상이 최근 3년간 15차례나 발생했습니다.
주변 주택과 상가에 균열과 누수 피해까지 이어지면서 주민들이 직접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최위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과 맞닿은 상가 건물.
지하 벽면 곳곳에 균열이 생겼고, 천장은 일부 내려앉았습니다.
[김영아/피해 건물 주인 : "(그동안) 문제가 없었는데 공사를 하면서부터 굉장히 불안하고 피해가 큽니다."]
이 같은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 수십 명이 부산교통공사에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변형대/피해 주민 : "근본적인 원인이 도시철도 공사 때문이잖아요. 파니까, 물이 빠지니까 무너지기 때문에 균열이 가고 땅이 갈라진 거예요."]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보험사를 통해 굴착이 끝난 구간부터 보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의식/부산교통공사 시설공사처장 : "건설공사보험으로 처리하는 부분은 저희 교통공사에서 적극 지원해서 주민 여러분들이 입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지만 보상이 원만히 이뤄질지는 불투명합니다.
보험사 손해사정 과정에서 '공사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나면, 보상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기정/피해 상인 : "교통공사가 잘못했다. 수도가 잘못됐다. 여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저기는 우리 책임이 아니다. 서로 미루던데요."]
부산시는 늦어도 다음 달까지 원인 조사 결과와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습니다.
[하치덕/부산시 철도시설과장 : "사고 조사위원회와 부산시 감사에서 결과를 도출해서 그 대책과 아울러서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봐 주시면…."]
사상~하단선 공사는 기간이 1년 연장돼 완공이 2027년으로 미뤄졌습니다.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주민들은 집단 소송까지 거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
최위지 기자 allways@kbs.co.kr
최위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