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기 50%만” 제한급수 돌입…폭염 속 불편 본격화

입력 2025.08.20 (19:31) 수정 2025.08.20 (1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도 강릉시가 오늘부터 생활용수 제한 급수에 들어갔습니다.

수도 계량기 밸브를 50% 잠가 절수 효과를 노린 건데, 폭염 속에 물도 제대로 쓸 수 없는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부터 마을 통장이 가정집을 찾아갑니다.

마당에 있는 수도 계량기함을 열고 밸브를 절반가량 잠급니다.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서 오늘부터 수도 계량기 용량의 50%를 잠그는 제한 급수에 들어갔습니다.

마을 통장을 중심으로 집집마다 방문해 수도 계량기를 직접 잠그는 제한 조치에 들어간 겁니다.

[최찬원/강릉시 강남동22통 통장 : "계량기 잠금 50% 시행하고 있어서, 주민들 동참해 주십사 이렇게 나왔고요."]

750여 세대가 사는 아파트 단지.

1100톤 규모의 물탱크에 물이 저장돼 상대적으로 형편이 낫지만 예외가 없습니다.

각 가정으로 보내는 수도 밸브를 평소의 40%만 개방했습니다.

[아파트 안내방송 : "각 세대 입주민께서도 양치 컵 사용하기, 빨래 모아서 하기, 샤워 시간 줄이기…"]

공동 급식을 제공하는 이 경로당은 물 사용을 줄이기 위해 당분간 점심 식사를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최남운/아파트 주민 : "평일에는 국수도 삶아 먹고 모이는 대로 해 먹었는데 이제는 오후에 문 열기로 해서."]

일부 아파트는 가뭄 해갈 때까지 단지 내 사우나 시설을 폐쇄했습니다.

강릉시는 손님을 상대로 영업을 해야 하는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도 제한 급수에 자발적으로 동참해 주길 기대합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혼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이승희/숙박업소 운영자 : "이런 경우가 처음이니까 저도 걱정은 되는데 손님을 반만 받아야 하는지, 뭐 어떻게 해야 할지…"]

열대야가 일주일째 이어지며 낮 기온이 35도까지 치솟는 폭염 속에 시행된 제한 급수.

시민들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노지영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계량기 50%만” 제한급수 돌입…폭염 속 불편 본격화
    • 입력 2025-08-20 19:31:45
    • 수정2025-08-20 19:53:11
    뉴스 7
[앵커]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도 강릉시가 오늘부터 생활용수 제한 급수에 들어갔습니다.

수도 계량기 밸브를 50% 잠가 절수 효과를 노린 건데, 폭염 속에 물도 제대로 쓸 수 없는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부터 마을 통장이 가정집을 찾아갑니다.

마당에 있는 수도 계량기함을 열고 밸브를 절반가량 잠급니다.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서 오늘부터 수도 계량기 용량의 50%를 잠그는 제한 급수에 들어갔습니다.

마을 통장을 중심으로 집집마다 방문해 수도 계량기를 직접 잠그는 제한 조치에 들어간 겁니다.

[최찬원/강릉시 강남동22통 통장 : "계량기 잠금 50% 시행하고 있어서, 주민들 동참해 주십사 이렇게 나왔고요."]

750여 세대가 사는 아파트 단지.

1100톤 규모의 물탱크에 물이 저장돼 상대적으로 형편이 낫지만 예외가 없습니다.

각 가정으로 보내는 수도 밸브를 평소의 40%만 개방했습니다.

[아파트 안내방송 : "각 세대 입주민께서도 양치 컵 사용하기, 빨래 모아서 하기, 샤워 시간 줄이기…"]

공동 급식을 제공하는 이 경로당은 물 사용을 줄이기 위해 당분간 점심 식사를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최남운/아파트 주민 : "평일에는 국수도 삶아 먹고 모이는 대로 해 먹었는데 이제는 오후에 문 열기로 해서."]

일부 아파트는 가뭄 해갈 때까지 단지 내 사우나 시설을 폐쇄했습니다.

강릉시는 손님을 상대로 영업을 해야 하는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도 제한 급수에 자발적으로 동참해 주길 기대합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혼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이승희/숙박업소 운영자 : "이런 경우가 처음이니까 저도 걱정은 되는데 손님을 반만 받아야 하는지, 뭐 어떻게 해야 할지…"]

열대야가 일주일째 이어지며 낮 기온이 35도까지 치솟는 폭염 속에 시행된 제한 급수.

시민들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노지영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