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추진…정상회담서 논의될 듯
입력 2025.08.21 (16:39)
수정 2025.08.21 (16: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다음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 양국의 원자력협정은 지난 2015년 개정돼 오는 2035년까지 유효한데, 이를 개정하는 것과 관련해 최근 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지난 14일 한미 원자력 협정과 관련해 "새로운 협상을 할 때가 다가오니 이번 기회에 어떤 것을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해서 한국 원전 산업을 더 활발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현행 한미원자력협정은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서만 연구 목적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와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금지돼 있고, 핵무기로 전용이 불가능한 재활용 기술의 연구만 일부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원전에 쓰이는 핵연료 제조를 위한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재처리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협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하지만 고농축 우라늄과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 얻는 플루토늄은 핵무기의 원료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이 아직 유효기간이 10년이나 남은 협정 개정에 동의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미 양국의 원자력협정은 지난 2015년 개정돼 오는 2035년까지 유효한데, 이를 개정하는 것과 관련해 최근 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지난 14일 한미 원자력 협정과 관련해 "새로운 협상을 할 때가 다가오니 이번 기회에 어떤 것을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해서 한국 원전 산업을 더 활발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현행 한미원자력협정은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서만 연구 목적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와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금지돼 있고, 핵무기로 전용이 불가능한 재활용 기술의 연구만 일부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원전에 쓰이는 핵연료 제조를 위한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재처리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협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하지만 고농축 우라늄과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 얻는 플루토늄은 핵무기의 원료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이 아직 유효기간이 10년이나 남은 협정 개정에 동의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추진…정상회담서 논의될 듯
-
- 입력 2025-08-21 16:39:34
- 수정2025-08-21 16:43:50

정부가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다음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미 양국의 원자력협정은 지난 2015년 개정돼 오는 2035년까지 유효한데, 이를 개정하는 것과 관련해 최근 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지난 14일 한미 원자력 협정과 관련해 "새로운 협상을 할 때가 다가오니 이번 기회에 어떤 것을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해서 한국 원전 산업을 더 활발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현행 한미원자력협정은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서만 연구 목적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와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금지돼 있고, 핵무기로 전용이 불가능한 재활용 기술의 연구만 일부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원전에 쓰이는 핵연료 제조를 위한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재처리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협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하지만 고농축 우라늄과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 얻는 플루토늄은 핵무기의 원료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이 아직 유효기간이 10년이나 남은 협정 개정에 동의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미 양국의 원자력협정은 지난 2015년 개정돼 오는 2035년까지 유효한데, 이를 개정하는 것과 관련해 최근 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지난 14일 한미 원자력 협정과 관련해 "새로운 협상을 할 때가 다가오니 이번 기회에 어떤 것을 우리가 미국 측에 요구해서 한국 원전 산업을 더 활발하게 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현행 한미원자력협정은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서만 연구 목적의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와 20% 미만 저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금지돼 있고, 핵무기로 전용이 불가능한 재활용 기술의 연구만 일부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원전에 쓰이는 핵연료 제조를 위한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재처리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 협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하지만 고농축 우라늄과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해 얻는 플루토늄은 핵무기의 원료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이 아직 유효기간이 10년이나 남은 협정 개정에 동의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