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미국 추방 이민자 수용 세부 절차 논의중”
입력 2025.08.21 (17:46)
수정 2025.08.21 (17: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부 아프리카의 우간다가 미국이 추방하는 이민자를 수용하기로 합의했다고 AP통신이 현지 시각 21일 보도했습니다.
우간다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이같이 밝히고 “양측이 협정 이행을 위한 세부 절차를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간다는 범죄 기록이 없고 동반 미성년자가 없는 이민자만 수용되며 아프리카 국가 국적자를 선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르완다도 최근 미국 정부와 추방 이민자 최대 250명을 수용하는 협정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에 나서며 불법체류자 출신국이 송환을 거부할 경우 제3국으로 추방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에 베트남, 라오스, 태국, 파키스탄 등에서 온 이민자 10명이 남수단으로 추방됐고 지난달 15일에는 이민자 5명이 아프리카 소국 에스와티니로 보내졌습니다. 이들 추방된 이민자 가운데 남수단, 에스와티니 출신은 1명도 없습니다.
인권 활동가들은 이민자들이 해를 입을 수 있는 나라로 보내질 위험에 처했다며 이 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베네주엘라 내무부 제공]
우간다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이같이 밝히고 “양측이 협정 이행을 위한 세부 절차를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간다는 범죄 기록이 없고 동반 미성년자가 없는 이민자만 수용되며 아프리카 국가 국적자를 선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르완다도 최근 미국 정부와 추방 이민자 최대 250명을 수용하는 협정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에 나서며 불법체류자 출신국이 송환을 거부할 경우 제3국으로 추방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에 베트남, 라오스, 태국, 파키스탄 등에서 온 이민자 10명이 남수단으로 추방됐고 지난달 15일에는 이민자 5명이 아프리카 소국 에스와티니로 보내졌습니다. 이들 추방된 이민자 가운데 남수단, 에스와티니 출신은 1명도 없습니다.
인권 활동가들은 이민자들이 해를 입을 수 있는 나라로 보내질 위험에 처했다며 이 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베네주엘라 내무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간다 “미국 추방 이민자 수용 세부 절차 논의중”
-
- 입력 2025-08-21 17:46:47
- 수정2025-08-21 17:47:31

동부 아프리카의 우간다가 미국이 추방하는 이민자를 수용하기로 합의했다고 AP통신이 현지 시각 21일 보도했습니다.
우간다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이같이 밝히고 “양측이 협정 이행을 위한 세부 절차를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간다는 범죄 기록이 없고 동반 미성년자가 없는 이민자만 수용되며 아프리카 국가 국적자를 선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르완다도 최근 미국 정부와 추방 이민자 최대 250명을 수용하는 협정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에 나서며 불법체류자 출신국이 송환을 거부할 경우 제3국으로 추방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에 베트남, 라오스, 태국, 파키스탄 등에서 온 이민자 10명이 남수단으로 추방됐고 지난달 15일에는 이민자 5명이 아프리카 소국 에스와티니로 보내졌습니다. 이들 추방된 이민자 가운데 남수단, 에스와티니 출신은 1명도 없습니다.
인권 활동가들은 이민자들이 해를 입을 수 있는 나라로 보내질 위험에 처했다며 이 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베네주엘라 내무부 제공]
우간다 외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이같이 밝히고 “양측이 협정 이행을 위한 세부 절차를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우간다는 범죄 기록이 없고 동반 미성년자가 없는 이민자만 수용되며 아프리카 국가 국적자를 선호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르완다도 최근 미국 정부와 추방 이민자 최대 250명을 수용하는 협정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에 나서며 불법체류자 출신국이 송환을 거부할 경우 제3국으로 추방할 수 있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에 베트남, 라오스, 태국, 파키스탄 등에서 온 이민자 10명이 남수단으로 추방됐고 지난달 15일에는 이민자 5명이 아프리카 소국 에스와티니로 보내졌습니다. 이들 추방된 이민자 가운데 남수단, 에스와티니 출신은 1명도 없습니다.
인권 활동가들은 이민자들이 해를 입을 수 있는 나라로 보내질 위험에 처했다며 이 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베네주엘라 내무부 제공]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