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로 옆 이동…“열차 운행 확인한 무전 기록 없어”
입력 2025.08.21 (21:27)
수정 2025.08.21 (22: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작업자들은 길이 좁은 구간에서 이동로가 아닌 선로 옆을 걷다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런 경우 코레일 수칙은 인접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 무전을 한 기록도 없는 걸로 드러났습니다.
이어서,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물차가 사고가 난 철길 위를 지나갑니다.
이 선로의 폭은 155cm, 이를 토대로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2미터 밖 공간을 따져보면 한눈에 보기에도 수풀에 가려집니다.
[안중만/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장/어제 : "공간은 그렇게 넉넉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온다고 예측하고, 그랬다면은 충분하게 피할 수 있는 여지는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런 상황은 작업계획서에도 상세히 담겨있습니다.
"가파른 경사가 있으니 미끄러지지 않게 주의"하라는 데 이어 “발 디딜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인하고,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하라"고 돼 있습니다.
길이 좁고 험하니 각별히 주의하라는 얘깁니다.
특히, 열차가 지나가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작업장 이동 수칙을 보면, "노반, 즉 이동로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인접 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 후 이동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사고 발생 전 작업자와 인근 역, 기관사 사이에 어떠한 무전도 없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게다가 사고 구간은 곡선이 많아 육안으로는 확인이 늦을 수밖에 없는데 열차가 지나간다는 사실을 누구도 미리 알리지 않은 겁니다.
[이연희/국회 국토교통위원회/더불어민주당 : "안전 매뉴얼이랄지 지침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너무나 명백히 드러난 그런 인재였다고 생각합니다."]
작업자들이 열차 경보를 울리는 단말기도 4대 갖고 있었는데 이중 3대만 켜진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최창준
작업자들은 길이 좁은 구간에서 이동로가 아닌 선로 옆을 걷다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런 경우 코레일 수칙은 인접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 무전을 한 기록도 없는 걸로 드러났습니다.
이어서,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물차가 사고가 난 철길 위를 지나갑니다.
이 선로의 폭은 155cm, 이를 토대로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2미터 밖 공간을 따져보면 한눈에 보기에도 수풀에 가려집니다.
[안중만/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장/어제 : "공간은 그렇게 넉넉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온다고 예측하고, 그랬다면은 충분하게 피할 수 있는 여지는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런 상황은 작업계획서에도 상세히 담겨있습니다.
"가파른 경사가 있으니 미끄러지지 않게 주의"하라는 데 이어 “발 디딜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인하고,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하라"고 돼 있습니다.
길이 좁고 험하니 각별히 주의하라는 얘깁니다.
특히, 열차가 지나가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작업장 이동 수칙을 보면, "노반, 즉 이동로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인접 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 후 이동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사고 발생 전 작업자와 인근 역, 기관사 사이에 어떠한 무전도 없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게다가 사고 구간은 곡선이 많아 육안으로는 확인이 늦을 수밖에 없는데 열차가 지나간다는 사실을 누구도 미리 알리지 않은 겁니다.
[이연희/국회 국토교통위원회/더불어민주당 : "안전 매뉴얼이랄지 지침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너무나 명백히 드러난 그런 인재였다고 생각합니다."]
작업자들이 열차 경보를 울리는 단말기도 4대 갖고 있었는데 이중 3대만 켜진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선로 옆 이동…“열차 운행 확인한 무전 기록 없어”
-
- 입력 2025-08-21 21:27:58
- 수정2025-08-21 22:19:38

[앵커]
작업자들은 길이 좁은 구간에서 이동로가 아닌 선로 옆을 걷다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런 경우 코레일 수칙은 인접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 무전을 한 기록도 없는 걸로 드러났습니다.
이어서,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물차가 사고가 난 철길 위를 지나갑니다.
이 선로의 폭은 155cm, 이를 토대로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2미터 밖 공간을 따져보면 한눈에 보기에도 수풀에 가려집니다.
[안중만/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장/어제 : "공간은 그렇게 넉넉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온다고 예측하고, 그랬다면은 충분하게 피할 수 있는 여지는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런 상황은 작업계획서에도 상세히 담겨있습니다.
"가파른 경사가 있으니 미끄러지지 않게 주의"하라는 데 이어 “발 디딜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인하고,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하라"고 돼 있습니다.
길이 좁고 험하니 각별히 주의하라는 얘깁니다.
특히, 열차가 지나가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작업장 이동 수칙을 보면, "노반, 즉 이동로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인접 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 후 이동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사고 발생 전 작업자와 인근 역, 기관사 사이에 어떠한 무전도 없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게다가 사고 구간은 곡선이 많아 육안으로는 확인이 늦을 수밖에 없는데 열차가 지나간다는 사실을 누구도 미리 알리지 않은 겁니다.
[이연희/국회 국토교통위원회/더불어민주당 : "안전 매뉴얼이랄지 지침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너무나 명백히 드러난 그런 인재였다고 생각합니다."]
작업자들이 열차 경보를 울리는 단말기도 4대 갖고 있었는데 이중 3대만 켜진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최창준
작업자들은 길이 좁은 구간에서 이동로가 아닌 선로 옆을 걷다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런 경우 코레일 수칙은 인접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하라고 돼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 무전을 한 기록도 없는 걸로 드러났습니다.
이어서,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물차가 사고가 난 철길 위를 지나갑니다.
이 선로의 폭은 155cm, 이를 토대로 작업자들이 이동할 수 있는 2미터 밖 공간을 따져보면 한눈에 보기에도 수풀에 가려집니다.
[안중만/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장/어제 : "공간은 그렇게 넉넉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온다고 예측하고, 그랬다면은 충분하게 피할 수 있는 여지는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런 상황은 작업계획서에도 상세히 담겨있습니다.
"가파른 경사가 있으니 미끄러지지 않게 주의"하라는 데 이어 “발 디딜 수 있는 공간을 미리 확인하고, 안전한 이동로를 확보하라"고 돼 있습니다.
길이 좁고 험하니 각별히 주의하라는 얘깁니다.
특히, 열차가 지나가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작업장 이동 수칙을 보면, "노반, 즉 이동로의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인접 역과 무전을 통해 열차가 없는지 확인 후 이동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KBS 취재 결과 사고 발생 전 작업자와 인근 역, 기관사 사이에 어떠한 무전도 없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게다가 사고 구간은 곡선이 많아 육안으로는 확인이 늦을 수밖에 없는데 열차가 지나간다는 사실을 누구도 미리 알리지 않은 겁니다.
[이연희/국회 국토교통위원회/더불어민주당 : "안전 매뉴얼이랄지 지침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너무나 명백히 드러난 그런 인재였다고 생각합니다."]
작업자들이 열차 경보를 울리는 단말기도 4대 갖고 있었는데 이중 3대만 켜진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김유진/그래픽:김지혜 최창준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