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스마트폰 ‘진달래’ 수십만 대 자체 생산”
입력 2025.08.22 (07:32)
수정 2025.08.22 (0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연간 수십만 대의 휴대전화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보유했다면서 기술력을 선전했습니다.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진달래손전화기공장의 “정밀도와 생산성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공장은 2018년 3월 평양 만경대구역에 연건축면적 6,087㎡ 규모로 설립됐습니다.
조선신보는 “국내에서 자체로 설계하고 제작한 손전화기 ‘진달래3’ 생산으로 첫걸음을 뗀 공장은 수십 종의 지능형, 기능형 손전화기들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액정현시기 손접촉판(액정 터치스크린) 접합공정의 무진급수는 10급이며 생산 현장들의 공기청결도는 국제적 수준에 부합된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 정보통신(IT) 기업 연풍상업정보기술사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만물상’에 게재된 소개글에 따르면 이 공장은 “년간 수십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손전화기 생산과 관련한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공정, 주기판(메인보드) 조립공정 등 흐름선화된 생산 공정들과 제품 포장 공정, 검사 공정이 일식으로 꾸려져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이 휴대전화를 설계부터 생산까지 직접 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싱크탱크 크림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이 지난해 38노스에 공개한 ‘2024년 북한의 스마트폰’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모두 중국 기업이 생산하며, 북한 업체들은 이를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공급받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기본 설계부터 주문에 맞게 스마트폰을 생산해 북한 업체의 이름을 붙여 내놓는다는 것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신보 캡처]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진달래손전화기공장의 “정밀도와 생산성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공장은 2018년 3월 평양 만경대구역에 연건축면적 6,087㎡ 규모로 설립됐습니다.
조선신보는 “국내에서 자체로 설계하고 제작한 손전화기 ‘진달래3’ 생산으로 첫걸음을 뗀 공장은 수십 종의 지능형, 기능형 손전화기들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액정현시기 손접촉판(액정 터치스크린) 접합공정의 무진급수는 10급이며 생산 현장들의 공기청결도는 국제적 수준에 부합된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 정보통신(IT) 기업 연풍상업정보기술사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만물상’에 게재된 소개글에 따르면 이 공장은 “년간 수십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손전화기 생산과 관련한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공정, 주기판(메인보드) 조립공정 등 흐름선화된 생산 공정들과 제품 포장 공정, 검사 공정이 일식으로 꾸려져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이 휴대전화를 설계부터 생산까지 직접 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싱크탱크 크림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이 지난해 38노스에 공개한 ‘2024년 북한의 스마트폰’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모두 중국 기업이 생산하며, 북한 업체들은 이를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공급받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기본 설계부터 주문에 맞게 스마트폰을 생산해 북한 업체의 이름을 붙여 내놓는다는 것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신보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스마트폰 ‘진달래’ 수십만 대 자체 생산”
-
- 입력 2025-08-22 07:32:23
- 수정2025-08-22 08:30:54

북한이 연간 수십만 대의 휴대전화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보유했다면서 기술력을 선전했습니다.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진달래손전화기공장의 “정밀도와 생산성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공장은 2018년 3월 평양 만경대구역에 연건축면적 6,087㎡ 규모로 설립됐습니다.
조선신보는 “국내에서 자체로 설계하고 제작한 손전화기 ‘진달래3’ 생산으로 첫걸음을 뗀 공장은 수십 종의 지능형, 기능형 손전화기들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액정현시기 손접촉판(액정 터치스크린) 접합공정의 무진급수는 10급이며 생산 현장들의 공기청결도는 국제적 수준에 부합된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 정보통신(IT) 기업 연풍상업정보기술사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만물상’에 게재된 소개글에 따르면 이 공장은 “년간 수십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손전화기 생산과 관련한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공정, 주기판(메인보드) 조립공정 등 흐름선화된 생산 공정들과 제품 포장 공정, 검사 공정이 일식으로 꾸려져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이 휴대전화를 설계부터 생산까지 직접 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싱크탱크 크림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이 지난해 38노스에 공개한 ‘2024년 북한의 스마트폰’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모두 중국 기업이 생산하며, 북한 업체들은 이를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공급받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기본 설계부터 주문에 맞게 스마트폰을 생산해 북한 업체의 이름을 붙여 내놓는다는 것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신보 캡처]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진달래손전화기공장의 “정밀도와 생산성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 공장은 2018년 3월 평양 만경대구역에 연건축면적 6,087㎡ 규모로 설립됐습니다.
조선신보는 “국내에서 자체로 설계하고 제작한 손전화기 ‘진달래3’ 생산으로 첫걸음을 뗀 공장은 수십 종의 지능형, 기능형 손전화기들을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액정현시기 손접촉판(액정 터치스크린) 접합공정의 무진급수는 10급이며 생산 현장들의 공기청결도는 국제적 수준에 부합된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 정보통신(IT) 기업 연풍상업정보기술사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만물상’에 게재된 소개글에 따르면 이 공장은 “년간 수십만대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손전화기 생산과 관련한 액정표시장치(LCD) 생산 공정, 주기판(메인보드) 조립공정 등 흐름선화된 생산 공정들과 제품 포장 공정, 검사 공정이 일식으로 꾸려져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이 휴대전화를 설계부터 생산까지 직접 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것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미국 싱크탱크 크림슨센터의 마틴 윌리엄스 연구원이 지난해 38노스에 공개한 ‘2024년 북한의 스마트폰’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모두 중국 기업이 생산하며, 북한 업체들은 이를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공급받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기본 설계부터 주문에 맞게 스마트폰을 생산해 북한 업체의 이름을 붙여 내놓는다는 것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신보 캡처]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