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안전관리 비중 확대”
입력 2025.08.22 (09:30)
수정 2025.08.22 (09: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공공기관을 경영평가할 때 안전관리 비중을 크게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오늘(22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에서 산업안전 관련 공공기관 긴급간담회를 열고, 철도공사·도로공사 등 40개 주요 공공기관(안전관리중점기관)의 기관장들과 안전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안전관리중점기관은 ‘공공기관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에 따라 중대재해 발생 위험성이 높은 작업장·건설현장 등을 보유한 기관입니다.
구 부총리는 “안전경영을 공공기관 운영의 기본 원칙으로 법제화하고, 중대재해가 일어나면 공공기관장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습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안전관리 비중을 크게 확대하고, 안전관리등급제를 안전성과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안전사고와 관련된 경영 공시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공공기관들이 안전 담당 인력들에 대해 인센티브를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안전 관련 투자에 대한 우대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 공공입찰 제한 등 강력한 제재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는 등 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획재정부 제공]
구 부총리는 오늘(22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에서 산업안전 관련 공공기관 긴급간담회를 열고, 철도공사·도로공사 등 40개 주요 공공기관(안전관리중점기관)의 기관장들과 안전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안전관리중점기관은 ‘공공기관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에 따라 중대재해 발생 위험성이 높은 작업장·건설현장 등을 보유한 기관입니다.
구 부총리는 “안전경영을 공공기관 운영의 기본 원칙으로 법제화하고, 중대재해가 일어나면 공공기관장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습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안전관리 비중을 크게 확대하고, 안전관리등급제를 안전성과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안전사고와 관련된 경영 공시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공공기관들이 안전 담당 인력들에 대해 인센티브를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안전 관련 투자에 대한 우대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 공공입찰 제한 등 강력한 제재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는 등 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획재정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윤철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안전관리 비중 확대”
-
- 입력 2025-08-22 09:30:34
- 수정2025-08-22 09:32:53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공공기관을 경영평가할 때 안전관리 비중을 크게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오늘(22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에서 산업안전 관련 공공기관 긴급간담회를 열고, 철도공사·도로공사 등 40개 주요 공공기관(안전관리중점기관)의 기관장들과 안전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안전관리중점기관은 ‘공공기관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에 따라 중대재해 발생 위험성이 높은 작업장·건설현장 등을 보유한 기관입니다.
구 부총리는 “안전경영을 공공기관 운영의 기본 원칙으로 법제화하고, 중대재해가 일어나면 공공기관장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습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안전관리 비중을 크게 확대하고, 안전관리등급제를 안전성과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안전사고와 관련된 경영 공시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공공기관들이 안전 담당 인력들에 대해 인센티브를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안전 관련 투자에 대한 우대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 공공입찰 제한 등 강력한 제재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는 등 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획재정부 제공]
구 부총리는 오늘(22일) 오전 서울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에서 산업안전 관련 공공기관 긴급간담회를 열고, 철도공사·도로공사 등 40개 주요 공공기관(안전관리중점기관)의 기관장들과 안전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안전관리중점기관은 ‘공공기관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침’에 따라 중대재해 발생 위험성이 높은 작업장·건설현장 등을 보유한 기관입니다.
구 부총리는 “안전경영을 공공기관 운영의 기본 원칙으로 법제화하고, 중대재해가 일어나면 공공기관장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습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안전관리 비중을 크게 확대하고, 안전관리등급제를 안전성과 중심으로 개편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안전사고와 관련된 경영 공시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공공기관들이 안전 담당 인력들에 대해 인센티브를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안전 관련 투자에 대한 우대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중대재해가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 공공입찰 제한 등 강력한 제재를 실시하겠다고 밝히는 등 안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획재정부 제공]
-
-
최인영 기자 inyoung@kbs.co.kr
최인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