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배터리 3사와 ‘전기차 안전성’ 협력 강화
입력 2025.08.22 (11:05)
수정 2025.08.22 (11: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현대차·기아가 국내 배터리 3사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하 배터리 3사)은 오늘(22일) 경기 화성시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안전 강화 기술 개발을 위한 지난 1년 간의 협업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협력을 더 고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현대차·기아는 연구개발, 생산공정, 품질, 특허 등에 걸쳐 ‘배터리 안전 확보 태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하자고 제안했고, 배터리 3사가 화답해 1년 동안 협업을 진행해왔습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협업의 일환으로 배터리 품질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5대 협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 품질 ▲소방 기술 등입니다.
안전 특허 과제는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가 각자 개발한 안전 특허기술 공유를 목표로 합니다. 각 사별로 배터리 셀이 비정상적으로 열화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소재, 설계, 부품구조 등 특허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TF는 지난 1년간 단락 방지 기술 등의 공유 특허를 냈고 앞으로도 신규 특허 리스트를 공유하는 등 협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디지털 배터리 여권은 유럽연합이 주도해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 및 재활용까지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입니다. 안전 특화 항목을 추가한 새 배터리 품질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입니다.
설계 품질 과제는 배터리 화재 원인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배터리 셀에 강건화 설계를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제조 품질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 신기술을 도입해 양산셀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과제입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셀 제조 공정을 점검해 생산 안정화 및 불량률을 줄이는 데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향후에는 제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AI를 활용해 분석 품질을 높인 지능형 제조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소방 기술 과제는 전기차 배터리 셀의 데이터를 국립소방연구원에 제공해 소방청에서 기초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실제 화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날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지난 1년간 운영해 온 TF가 종료된 후에도 5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 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현대차·기아-배터리 3사, 배터리 안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사는 안전 신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고 특허 지식재산권을 공유하는 등 협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 열전이 방지 기술, 소방 기술 등을 고도화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 표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하 배터리 3사)은 오늘(22일) 경기 화성시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안전 강화 기술 개발을 위한 지난 1년 간의 협업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협력을 더 고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현대차·기아는 연구개발, 생산공정, 품질, 특허 등에 걸쳐 ‘배터리 안전 확보 태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하자고 제안했고, 배터리 3사가 화답해 1년 동안 협업을 진행해왔습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협업의 일환으로 배터리 품질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5대 협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 품질 ▲소방 기술 등입니다.
안전 특허 과제는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가 각자 개발한 안전 특허기술 공유를 목표로 합니다. 각 사별로 배터리 셀이 비정상적으로 열화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소재, 설계, 부품구조 등 특허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TF는 지난 1년간 단락 방지 기술 등의 공유 특허를 냈고 앞으로도 신규 특허 리스트를 공유하는 등 협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디지털 배터리 여권은 유럽연합이 주도해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 및 재활용까지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입니다. 안전 특화 항목을 추가한 새 배터리 품질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입니다.
설계 품질 과제는 배터리 화재 원인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배터리 셀에 강건화 설계를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제조 품질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 신기술을 도입해 양산셀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과제입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셀 제조 공정을 점검해 생산 안정화 및 불량률을 줄이는 데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향후에는 제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AI를 활용해 분석 품질을 높인 지능형 제조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소방 기술 과제는 전기차 배터리 셀의 데이터를 국립소방연구원에 제공해 소방청에서 기초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실제 화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날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지난 1년간 운영해 온 TF가 종료된 후에도 5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 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현대차·기아-배터리 3사, 배터리 안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사는 안전 신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고 특허 지식재산권을 공유하는 등 협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 열전이 방지 기술, 소방 기술 등을 고도화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 표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현대차그룹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대차·기아, 배터리 3사와 ‘전기차 안전성’ 협력 강화
-
- 입력 2025-08-22 11:05:45
- 수정2025-08-22 11:11:20

전기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현대차·기아가 국내 배터리 3사와 협력을 강화하기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하 배터리 3사)은 오늘(22일) 경기 화성시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안전 강화 기술 개발을 위한 지난 1년 간의 협업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협력을 더 고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현대차·기아는 연구개발, 생산공정, 품질, 특허 등에 걸쳐 ‘배터리 안전 확보 태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하자고 제안했고, 배터리 3사가 화답해 1년 동안 협업을 진행해왔습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협업의 일환으로 배터리 품질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5대 협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 품질 ▲소방 기술 등입니다.
안전 특허 과제는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가 각자 개발한 안전 특허기술 공유를 목표로 합니다. 각 사별로 배터리 셀이 비정상적으로 열화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소재, 설계, 부품구조 등 특허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TF는 지난 1년간 단락 방지 기술 등의 공유 특허를 냈고 앞으로도 신규 특허 리스트를 공유하는 등 협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디지털 배터리 여권은 유럽연합이 주도해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 및 재활용까지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입니다. 안전 특화 항목을 추가한 새 배터리 품질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입니다.
설계 품질 과제는 배터리 화재 원인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배터리 셀에 강건화 설계를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제조 품질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 신기술을 도입해 양산셀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과제입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셀 제조 공정을 점검해 생산 안정화 및 불량률을 줄이는 데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향후에는 제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AI를 활용해 분석 품질을 높인 지능형 제조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소방 기술 과제는 전기차 배터리 셀의 데이터를 국립소방연구원에 제공해 소방청에서 기초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실제 화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날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지난 1년간 운영해 온 TF가 종료된 후에도 5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 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현대차·기아-배터리 3사, 배터리 안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사는 안전 신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고 특허 지식재산권을 공유하는 등 협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 열전이 방지 기술, 소방 기술 등을 고도화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 표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이하 배터리 3사)은 오늘(22일) 경기 화성시 현대차·기아 남양연구소에서 전기차 배터리 안전 강화 기술 개발을 위한 지난 1년 간의 협업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협력을 더 고도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현대차·기아는 연구개발, 생산공정, 품질, 특허 등에 걸쳐 ‘배터리 안전 확보 태스크포스팀(TFT)’를 구성하자고 제안했고, 배터리 3사가 화답해 1년 동안 협업을 진행해왔습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협업의 일환으로 배터리 품질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5대 협업 과제를 선정했습니다. ▲안전 특허 ▲디지털 배터리 여권 ▲설계 품질 ▲제조 품질 ▲소방 기술 등입니다.
안전 특허 과제는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가 각자 개발한 안전 특허기술 공유를 목표로 합니다. 각 사별로 배터리 셀이 비정상적으로 열화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소재, 설계, 부품구조 등 특허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TF는 지난 1년간 단락 방지 기술 등의 공유 특허를 냈고 앞으로도 신규 특허 리스트를 공유하는 등 협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디지털 배터리 여권은 유럽연합이 주도해 배터리의 생산부터 폐기 및 재활용까지 모든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입니다. 안전 특화 항목을 추가한 새 배터리 품질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목표입니다.
설계 품질 과제는 배터리 화재 원인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배터리 셀에 강건화 설계를 적용하고, 궁극적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제조 품질은 배터리 제조 공정에 신기술을 도입해 양산셀의 안전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과제입니다.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셀 제조 공정을 점검해 생산 안정화 및 불량률을 줄이는 데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향후에는 제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AI를 활용해 분석 품질을 높인 지능형 제조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소방 기술 과제는 전기차 배터리 셀의 데이터를 국립소방연구원에 제공해 소방청에서 기초 연구 목적으로 활용하고, 실제 화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날 현대차·기아와 배터리 3사는 지난 1년간 운영해 온 TF가 종료된 후에도 5대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 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현대차·기아-배터리 3사, 배터리 안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를 통해 각 사는 안전 신기술을 추가로 개발하고 특허 지식재산권을 공유하는 등 협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 열전이 방지 기술, 소방 기술 등을 고도화해 전기차 배터리 안전 표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현대차그룹 제공]
-
-
이도윤 기자 dobby@kbs.co.kr
이도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